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에서의 온라인 수업 방안

        홍주희(Hong Joohee),김유희(Kim Youhee)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3

        2019년 말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COVID-19)의 상황을 맞은 지 1년 넘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전 세계 각국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계에서도 혼란의 시기를 벗어나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된 요즘,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적극 활용,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온택트’ 다문화음악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 관련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비대면 다문화음악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파악하였으며,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 중국의 동요 <수건돌려라>를 선정하여 악곡을 분석하고 중국 현지에서 불려지고 있는 노래에 근접하도록 악보와 노랫말을 수정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부에서 마련한 온라인 수업의 유형에 따라 1~2차시 실시간 쌍방향으로 다문화 가정의 학부모님을 초청하여 문화를 이해하고 노랫말의 원어를 배우는 수업, 3차시는 교사 자체 제작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으로, 마지막 4차시는 노래부르는 영상을 수행 과제로 제출하는 수업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학습과정안을 제시하였다. Over a year has pass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began and, countries worldwide are making continue to make efforts to overcome it. Educational communities have met the early challenges posed by the virus and online classes have now become commonplace. This study is to actively utilize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and seek ways to continue ‘On-tact’ multicultural music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To this end, ou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online classes in the Corona era. The music and lyrics of the Chinese children"s song Drop the Handkerchief was selected for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online lesson plan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aradigm of the post-Corona era, which can be used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아동기 공간지능발달을 위한 자연 환경 VR 체험에 관한 연구

        홍주희 ( Joohee Hong ),조택연 ( Taigyoun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에 아동의 소규모 교육공간은 인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공간 속 아동들은 공간지능발달을 제한 받고 있다. 도시라는 환경에서 자연은 찾아보기 힘들고 아동들은 자연형상구조에 제한된 공간에서 교육받게 된다. 아동기에 이러한 비(非)자연적 공간은 아동들에게 적합한 공간이 아니다. 시간이나 공간, 거리의 제한을 받는 현대 사회의 아동의 교육공간에서 자연형상구조의 부재를 대안하기 위하여 자연형상구조가 담긴 VR영상을 체험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시기아동기의 공간지능발달에 있어 VR 시각적 환경 체험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여 아동들의 공간지능발달이 형성되는 환경에 이론적 바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자연형상구조에 노출이 적은 현대사회 아동들에게 VR체험을 이용하여 공간지능발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 특정시기 아동의 공간지능이 가상현실 속 자연형상구조를 통해 발달되는지 연구하였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에 의하면 아동 지능에 있어 공간지능과 자연환경지능이 있다고 보았고, 몬테소리와 피아제에 의하면 아동의 공간지능발달이 극대화되는 시기가 있다고 보았다. 자연의 형상구조에 따른 자연의 체계와 구조를 알아보고 이로 인해 특정시기아동들은 자연의 형상구조와 법칙을 관찰하면서 공간능력이 발달한다고 가정하였다. 자연형상구조의 영상과 이미지를 VR로 체험시켜 아동의 공간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안하고자한다. 현재 VR은 인간의 체성감각과 일치가 어려워 인간의 감각 중 시각체험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지능발달이 활성화되는 시기를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인 7-11세, 몬테소리는 제 2단계인 6-12세까지로 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만 8-12세까지 실험 대상의 범위를 정하였고 공간발달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영적 공간 개념과 위상적 공간 개념을 나누었으며 선행 연구 실험을 참고하여 사영적 공간을 측정하기 위해 도형 그리기와 위상적 공간을 측정하기 위해 피아제가 공간지능발달의 측정을 위해 실험하였던 3차원적 영상 실험을 사용하였다. 자연형상구조가 담긴 VR 영상을 본 아동과 보지 않은 아동의 공간지능을 비교해 보았다. 본 실험은 80명의 소규모 학원에 다니고 있는 만8-12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연형상구조가 담긴 VR 영상을 본 아동 집단 40명과 영상을 보지 않은 아동 집단 40명을 대상으로 나누고 공간지능을 평가할 수 있는 문제의 실험지를 풀게 하게 하였다. (결론) 실험 결과 자연형상구조가 담긴 VR 영상을 본 아동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공간지능 실험점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특정시기 아동의 공간지능이 자연형상구조가 담긴 영상을 VR로 체험함으로써 발달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자연의 부재로 공간지능발달이 제한을 받고 있는 현대사회 도시에 거주하는 아동이 자연형상구조가 담긴 VR영상 체험을 통해 공간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society, small private educational spaces for children are artificially composed, and the development of space intelligence among children is limited in such spaces. In urban environments, nature has disappeared, and children are educated with the limited exposure to the elements of natural shapes. Such non-natural spaces are not suitable for children. To substitute for the absence of natural shapes in educational spaces for children in modern society with limitations of time, space, and distance, children were exposed to VR images containing elements of natural shape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an environment where the development of space intelligence among children is formed by researching the effects of experience with a VR visual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space intelligence during a specific period of childhood. It also aimed to facilitate to the development of space intelligence with the use of VR experiences among children in modern society who are less exposed to elements of natural shape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pace intelligence of children during a specific period of childhood is developed through exposure to elements of natural shapes in VR. According to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children's intelligence includes intelligence regarding spac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ccording to Montessori and Piaget, there is a time when the development of space intelligence for children is maximized. Understanding the system and structure of nature in accordance with structure as an element of natural shapes, it was supposed that the space perceptual ability of children in a specific developmental period would be developed through observation of the structure and laws of natural shapes. The development of space intelligence among children is facilitated by realizing images with elements of natural shapes in VR. As current VR technology cannot accord with humans' somesthetic sensibility, among humans' senses, the visual experience was focused on. (Results) Regarding the period in which the development of space intelligence is activated, Piaget considered it to occur at 7-11 years old during the concrete operational stage, and Montessori considered it to occur at 8-12 years old during stage 2. Based on this, subjects of 6-12 years old were used. To measure space development ability, the projective space concept was differentiated from the topological space concept.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drawing figures were used to measure the projective space, and to measure the topological space, the 3-dimensional image experiment that Piaget used to measure space development was employed. The spatial development between children who viewed the VR images containing elements of natural shapes and children who did not view them was compared. Among 80 children of 8-12 years old from a small-sized private institute, 40 were assigned to a group that viewed the VR images containing elements of natural shapes, and 40 were assigned to a group that did not view them. They were then asked to solve questions for evaluating space intelligence in a questionnair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children who viewed the VR images containing elements of natural shapes had higher space perceptual ability than the children who did not. The space intelligence of children in a specific period was developed through exposure to VR images containing elements of natural shapes. Thus, children residing in cities of modern society with limited development of their space intelligence owing to the absence of nature could improve their space intelligence by experiencing VR images containing elements of natural sha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