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규직 노동조합 조직화와 친밀감의 정치: 금속노조 3개 사내하청지회 조직화 사례 연구

        홍석범 ( Suk Bum Ho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금속노조 산하 3개 사내하청 노동조합 사례를 통해 조직화의 토대가 취약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어떤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노동조합을 조직하고 생존해갈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조직화 단계’에서는 경험과 역량을 갖춘 활동가의 존재, 활동가와 뜻을 함께 하는 핵심세력인 초동주체의 형성, 개인들의 불만과 작업장 안팎의 정치적 기회-위협구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투쟁 및 교섭 단계’에서는 정규직 노동조합의 연대와 이를 이끌어내기 위한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연대동원전략, 사용자의 탄압방식과 탄압강도,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작업장 내 위치권력 등이 핵심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강조할 점은 비정규직 노동조합 조직화 및 투쟁과정 전반에 걸쳐 ‘친밀감의 정치’가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정규직 활동가들이 노동조합 조직화를 둘러싸고 작업장 내 여러 행위주체들과 대면하면서 이해관계와 행동양식을 조율해가는 일련의 정치과정 및 미시동원과정은 친밀감, 정서적 유대감, 인간적 신뢰관계라는 비경제적-심리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고 있었다. 이것은 비정규직 활동가 및 노동조합이 조직화 및 투쟁에 있어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감정의 동원을 전략적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non-regular workers can unionize and what factors affect the survival of their unions by analyzing three subcontractors branches cases of the Korean Metal Workers Union. As a result, in the stage of organizing, the existence of activists with experiences and competences, formation of beginning agents who are like-minded with the activist, individuals’ grievance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opportunity-threat structure of workplace we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And in the strife-bargaining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solidarity of regular workers’ union, strategies of non-regular workers’ union to mobilize the regular workers’ solidarity, the way and degree of employers’ suppression, and the positional power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workplace were key factors. But the point to emphasize above all is that the politics of intimacy works throughout the non-regular workers’ unionization and struggles. A series of political process and micromobilization, which various actors within the workplace coordinate their interests and behavior with regard to the non-regular workers’ unionization, was influenced by the non-economic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 sense of closeness, emotional bond, humane trust relationshi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non-regular workers’ unions and activists need to take a mobilization of emotions into consideration for successful unionization.

      • KCI등재

        산별노조 현장간부 재생산의 위기와 현장조직력 약화

        홍석범(Suk-Bum Hong)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4

        이 연구는 금속노조 산하 4개 자동차부품사지회 사례를 통해 산별노조의 현장간부 기피 현상 및 현장조직력 약화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조합원 개인적 측면, 산별노조의 조직구조적 측면, 작업장의 역사적 맥락과 투쟁 경험 측면에 천착했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합원 개인 측면에 있어 고령화에 따른 가족주의적 태도 및 도구주의적 태도가 현장간부 기피 현상의 중요한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조합원의 고령화는 신규채용 정체라는 작업장 고용관계 조건과 맞물리면서 선배 조합원들의 역량과 자산을 물려받을 상속자-후속 활동가 세대의 양성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었다. 둘째, 작업장 역사적 맥락에 있어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조합원들의 관심과 참여는 현장의 투쟁경험, 투쟁의제, 투쟁성과로부터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는데, 가령 조합원들 스스로가 주인이 된 투쟁을 경험해왔는지, 그러한 투쟁에 승리함으로써 노동조합에 대한 효능감과 자신감을 느껴왔는지 등이 현장조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기제로 확인된다. 그러나 현장간부 재생산의 위기는 다른 무엇보다도 셋째, 산별노조의 조직운영 그 자체로부터 비롯된 측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정서가 반영되지 않은 지침하달식 사업방식과 잦은 집회 동원은 기층 조합원의 공감을 불러오지 못하는 동시에 노동조합활동에 대한 피로감을 자아내고 있었고, 산별노조가 하부단위의 일부 대공장이 보이는 원심성을 규율하지 못함으로써 연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온 조합원들에게까지 산별노조 무용론이 퍼지는 심리적 동형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why the rank-and-file union members hesitate to take on the union officers’ role by analyzing four middle-size auto-parts company branches cases of the Korean Metal Workers Un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ree dimensions: i) individual aspect of union members, ii)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s of industrial union, iii) historical context and struggle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The result and implications are like below. First, in terms of individual members, the spread of familism and the intensification of instrumentalism derived from aging of union members were related to the avoidance of taking on a shop-floor union officer. And decrease in hiring of company and the absence of successor who might inherit the assets of senior members was serious problem, as well as the aging of members itself. Second, with regar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workplace, an absence of struggle that impedes the sense of independence and aliveness on the workplace-level branche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union activities were affected compositively from experiences, agendas and result of the struggle. Third, crisis of reproduction of shop-floor union officer, most of all, derived from the industrial unions’ organizational operation itself. The failure of the headquarters to control the centrifugal force of some large-size branches in the industrial union caused members who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solidarity activities the psychological isomorphism of the negative discourse on the industrial union(e.g., “Industrial unions are useless”). And top-down operations in industrial union and too many assemblies which is not reflecting the sentiments of rank-and-file members evoked feelings of exhaustion on overall union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철강업종의 산업재편과 노동시장 변화

        홍석범(Hong Suk-Bum)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7 노동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철강업종의 산업 내 가치사슬구조 및 주요 철강기업들의 경영활동을 검토하고, 산업재편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우리나라 철강업종 노동시장의 미래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가치사슬 지위를 대표하는 철강기업 네 곳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사슬 측면에서 볼 때 철강업종은 하공정의 단순가공업체, 상공정의 제강업체, 일관제철소로 갈수록, 즉 산업의 후방에 가까울수록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둘째, 후방교섭력의 구조적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연관수요산업의 종류와 그것의 경기변동, 기업차원의 수출 및 경영전략 등에 따라 개별 철강기업들의 경영성과는 가치사슬 지위와 다른 결과를 산출하기도 한다. 셋째, 수급불균형 관점에서 보면 철강업종은 당분간 2000년대 중반과 같은 호황국면을 맞이하기 어려우며, 사내하청 중심의 노동시장 또한 유지 ·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넷째, 수요산업의 부정적 전망을 상쇄하는 요인들, 작업장노사관계 이슈들의 전개과정에 따라 철강업종 노동시장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재편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This study purposes to review the value chain structure of steel industry and managerial activities of major steelmakers, and to forecast the future of the steel industry’s labor market, which is faced with a industrial restructuring. For this, a case study is conducted about four major steelmakers representing each of the value chain positions. The key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in terms of the value chain, the steel industry is more likely to make stable profits as close to the back of the industry. Second, however,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individual steel companies may differ from their value chain posi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steel-demand industry and their business cycle, corporate management strategies, and so on. Third, in terms of the demand-supply imbalance, the steel industry is unlikely to face a booming stage such as the mid 2000s, and the labor market, which contract workers are prevalent, is likely to be maintained or strengthened. But, final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eel industry will be reorganized in a positive direction, depending on the factors that offset the negative prospects for the steel-demand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relations issues.

      • KCI등재

        정규직-비정규직의 연대정치

        이병훈(Byoung-Hoon Lee),홍석범(Suk-Bum Hong),권현지(Hyunji Kwon)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4

        이 연구는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 노조의 상호관계가 연대와 배제 그리고 갈등으로 복잡하게 전개되어온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2003년 사내하청 노동자의 조직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규직 노조와 비정규직 활동가들이 통합적인 노조체계를 구축한다는 기본 방향에 대해 공감대를 보여주었으나, 조직화의 일정과 절차를 둘러싼 입장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비정규직 노조가 독자적으로 결성됨으로써 정규직-비정규직의 연대정치는 초기 단계부터 균열의 조짐을 드러냈다. 그 이후 1차 불법파견투쟁, 1사1조직 규약개정, 그리고 2차 불법파견투쟁을 거치면서 정규직-비정규직 노조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호 거리감(inter-group distancing)이 확대됨으로써 탈연대(de-solidarity)의 궤적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정규직-비정규직 노조의 지도부 및 활동가들이 자신의 노조 조직이 처한 상황논리에 사로잡혀 상호 연대를 위한 상황인식 공유와 공동의 실천적 대응을 도모하기 보다는 자기중심의 활동전략에 입각하여 서로 배제하는 어긋남의 탈구적 관계(disarticulated relationship)를 확대시켜온 연대정치의 실패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정규직-비정규직 노조의 지도부들은 노동자연대의 대의명분을 공유-천명해오고 있지만, 각자 조직의 처한 상황과 운동적 경험 차이 등에서 비롯되는 상이한 위치적 활동프레임의 덫(trap of positional activism framing)에 갇혀 당면한 과제들에 대해 공통 진단·해석과 공동대응의 전략적 연대를 도모하기보다 각개적 또는 배타적인 실천전략을 구사하며 상호 각축과 불신의 악순환을 심화시켜 온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분절적 고용관계의 확산을 통해 이질적 노동자집단들이 혼재하는 생산현장이 날로 늘어나는 작금의 노동시장 현실 속에서 노동자연대의 성사를 위해서는 노동자집단들의 실재적 차이를 넘어서 계급적 동류의식을 구현하려는 노조 지도부 및 활동가들의 공통 운동비전과 상호 소통-조율기제가 확보-실천되는 것이 관건적인 조건이라 강조케 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unions at Hyundai Motors Ulsan plants have interacted over the past 10 years. In 2003, the regular workers union and non-regular activists agreed upon the building of an integrated union, embracing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but took differing positions concerning the timing and procedure of the integrated unionization. As a result, non-regular activists disregarded the regular union’s stance and organized their independent union, which created a significant schism in the early stage of solidarity politics evolving at the auto plants. The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unions have since shown the widening of inter-group distancing in the processes of the 1st illegal dispatched labor struggle (2004∼2006), the union bylaw revision for organizational integration (2007∼2008), and the 2nd illegal dispatched labor struggle (2010∼present), thereby resulting in the de-solidarity, rather than solidarity, between the two unions. This case study observes that leaders and activist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unions were dominated by situational logics of each organization and have undertaken self-centered strategies mutually excluding each other and intensifying the disarticulated inter-relationship, rather than building common situational awareness and strategic plans. In other words, leaders and activists of the two unions have been entrapped by distinct positional activism framing, derived from different organizational situation and background, so that they failed to develop common interpretation of confronted issues and mobilize joint reactions against management’s divide-and-rule strategies. An implication, drawn from our case study is that it is the very success factor to formulate and develop the common movement vis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as well as mutual coordination mechanisms between leaders and activists of regular and non-regular unions, in order to overcome workers differentiations and advance workers solidarity under the growing presence of blended workplaces and segmented employment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