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내 난과(Orchidaceae) 보춘화속(Cymbidium)식물의 분포 및 자생지의 식생 구조

        현화자 ( Hwa Ja Hyun ),김해란 ( Hae Ran Kim ),최형순 ( Hyung Soon Choi ),김찬수 ( Chan Soo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난과 희귀식물인 보춘화속의 제주도 분포범위와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보춘화속은 전 세계적으로 아시아 및 호주 북부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란, 소란, 대흥란, 죽백란, 녹화죽백란, 보춘화 등 총 6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6종은 모두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 내 보춘화속은 해발 16-547m사이에 분포하였는데, 이 중 대흥란은 해발 16-547m사이에 분포하여 가장 넓은 해발 분포 범위를 나타냈다. 반면에 죽백란, 녹화죽백란, 소란 등은 한라산 남사면의 돈내코 계곡 및 효돈천계곡 등 좁은 해발 분포 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종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서 기후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제주도내에서의 해발 분포 범위 확대와 한반도 내륙으로의 자생지 확산이 예측된다. 한편, 제주도내에서 보춘화속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구실잣밤나무 군락과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 곰솔-상수리나무 군락, 곰솔군락, 종가시나무-푸조나무 군락 등 5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내에서 자라는 보춘화속 중 한란과 소란 및 죽백란 등 3종은 구실잣밤나무 군락에서만 출현하였으며, 녹화죽백란은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에서 출현하였고, 대흥란은 곰솔-상수리나무 군락과 곰락 군락 및 종가시나무-푸조나무 군락 등 3개 군락에 분포하였다. 반면 보춘화는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 곰솔-상수리나무 군락에서 출현하였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보춘화속은 불법 채취에 의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한란, 죽백란, 녹화죽백란, 소란등은 식생학적으로 분포 범위가 매우 협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종에 대한 보전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ange of distribu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genus Cymbidium which is distributed in Jeju Island, Korea. This genus is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Asia and North Australia. In Korea, there are six species [i. e. C. goeringii (Rchb. f.) Rchb. f., C. kanran Makino, C. lancifolium Blume var. aspdistrifolium (Fukuy.) S. S. Ying., C. macrorhizum Lindl., C. nagifolium Masam. and C. ensifolium L.], which were also distributed in Jeju Island. The habitats of this genus ranged between 16 meter and 574 meter above sea level in Jeju Island. C. macrorhizum had the broadest altitudinal range (16-574 meter above sea level), whereas C. ensifolium, C. nagifolium and C. lancifolium var. aspidistrifolium had the narrow altitudinal rang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alysis by TWINSPAN,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of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Castanopsis sieb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Quercus glauca- Aphananthe aspera community. Three species, C. kanran, C. nagifolium, and C. ensifolium inhabited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nd C. lancifolium var. aspdistrifolium inhabited Castanopsis sieb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C. macrorhizum inhabited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Quercus glauca-Aphananthe aspera community. C. goeringii inhabitated Castanopsis sieb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The populations of the genus Cymbidium have been extremely decreased due to illegal collection in Jeju Islan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range of C. kanran, C. nagifolium, and C. ensifolium was narrow and limited 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therefore, conservation plans are needed for the protection of these species.

      • KCI등재

        국내 개가시나무 개체군의 분포 및 동태

        현화자 ( Hwa Ja Hyun ),송국만 ( Kuk Man Song ),최형순 ( Hyung Soon Choi ),김찬수 ( Chan So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국내 멸종위기식물인 개가시나무의 분포 범위와 국내 자생지 내에서의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개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 교목으로서 일본, 대만, 중국, 한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자라는 난대성 수종이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의 해발 80~350 m 내에 분포하였으며, 대부분 제주도 서남부지역의 해발 100~200m에 집중 분포하였다. 개가시나무의 수고는 평균 9.8±1.9 m로 9~12m 사이의 개체가 가장 많았으며, 흉고직경은 평균 22.6±6.8㎝로 20~30㎝의 개체가 가장 많았다. 또한 맹아지의 발생으로 다수의 분지가 형성 되었으며, 평균 3.8±2.1개의 맹아로 이루어졌다. 자생지 내에 분포하는 개가시나무의 96.2%에 덩굴식물이 부착되어있으며, 덩굴식물은 15과 18종으로 상록성 덩굴식물인 마삭줄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덩굴식물이 개가시나무의 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9~12 m의 개가시나무에서 수관형성에 영향을 주어 고사된 가지가 확인된 개체가 가장 많았으며, 부착된 덩굴식물의 종 수가 많을수록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생지 내에서 개가시나무의 보존을 위해서 는 이들 덩굴식물의 생육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Quercus gilva Blume is an evergreen-leaved tree that belongs to Facaceae and grows in tropical and warm-temperate regions, such as Japan, Taiwan, China and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Q. gilva in the native range. In Korea, this species was distributed in Jeju Island between 80 and 350 meter above sea level, and mainly in the south-western regions of the island from 100 to 200 meter above sea level. The average height of Q. gilva was 9.8±1.9 meter, with most trees 9 and 12 meter tall. The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was 22.6±6.8 centimeter, with the majority between 20 and 30 centimeter. Several coppice shoots (3.8±2.1 pieces) were formed from stumps and inferred by frequent cuttings for use. Almost Q. gilva individuals(96.2%) were covered with kinds of vines(18 species), and evergreen Trachelospermim asiaticum (Siebold et Zucc.) Nakai was major species. The analysis of damage of vines revealed that the most dead branches were found with 9 to 12 meter height of Q. gilva, and the more vines attached, the larger damage to Q. gilva individuals. A continuous monitoring and investigation would be required to preserve this species in their habitats.

      • KCI등재

        곶자왈 용어 정의를 위한 고찰

        최수정(Choi, Su-Jung),현화자(Hyun, Hwa-Ja)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1

        본 연구는 제주도와 관련된 문헌 검토를 통해 곶자왈이 정의되어진 과정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곶자왈’ 개념이 지질학, 생태학 분야를 포괄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 정의되어야 함을 논의하고자 한다. 곶자왈은 제주도의 탄생과 같이 시작되었지만 인간의 활동에 의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하지만 ‘곶자왈’이라는 단어는 최근에서야 만들어지고 정의되었다. 현재 곶자왈의 정의는 추상적이다. 제주도에 존재하는 곶자왈 모든 세부적인 특성을 다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인들은 선조로부터 곶자왈에 대한 정보를 얻어 몸소 체득하였기 때문에 제주인들이 곶자왈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용하였는지는 그들이 남긴 기록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고문헌(古文獻)이나 고지도(古地圖)를 통해서 부분적으로 그 당시 곶자왈 지역의 지리적 개념과 곶자왈 지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곶자왈이 묘사되어 있는 4개의 문헌을 살펴본 결과,‘곶’과 ‘자왈’로 따로 불리어지던 숲이 ‘곶자왈’이라는 용어로 새롭게 이름 붙여졌다. 곶자왈의 정의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보전 및 관리에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곶자왈 보전 및 관리를 위해 ‘곶자왈 보전 조례’에 관리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관련 제도를 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곶자왈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곶자왈의 생태계서비스 측면에 대한 연구와 곶자왈용어 정의를 위한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process and meaning of ‘Gotjawa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 addiation, the concept of ‘Gotjawal’ should be discussed for its comprehensive perspective including geology and ecology. Gotjawal began as the birth of Jeju Islands, the current landscape of Gotjawal has been made by human activity. However, the term ‘Gotjawal’ was expressed and defined recently. The term of ‘Gotjawal’ is conceptual meaning now and does not consider all characteristics of Gotjawal distributed in Jeju Island. Since people in Jeju Island have learned Gotjawal from their ancestors, it can be inferred how the Jeju people perceive and utilize Gotjawal through historical records.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or maps, the geographical knowledge of Gotjawal area and the change of the area can be confirm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documents that Gotjawal is described, the forest called ‘Got’ and ‘Jawal’ was renamed to ‘Gotjawal’. since the term of Gotjawal is not systematically defined it can cause many problems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us, the details of ‘Gotjawal conservation ordinance’ and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conserve and manage Gotjawal.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ecosystem service for estimating economic value of Gotjawal and to organize concepts for defining Gotjawa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