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양교육사에 나타난 아동의 모국어와 외국어교육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5 社會科學 Vol.34 No.2

        In recent years, a trend toward an emphasis an globalization has emerged in every sector of this society. This trend directs much of attention to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view of language instuction reflects the functionalist approach to language. However, some educaters concern that it would impede the development of asense of a national identity of young children putt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nto practice without a systematic speculation on the nature of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history of language instruction in the Western society. Some relevant questions concerning this topic were attempted to answer: (1)What was the goal of education?: (2)What was held to the nature of language?: (3)How much emphasis was on a mother tongue and a foreign language? The Western history showed that the use and instruction of language have changed in response to social and political forces. The trend toward emphasis on a mother tongue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sweeping 17th- and 18th- century educational revolutions. In that period, it spreaded out among prominent educational scholars that a mother tongue was an essence of a human being and a national identity. They argued that children should learn a mother tongue enough to express their thoughts correctly before learning a foreign language which was mostly Latin. In conclusion, drawing on the insights of the past,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nature of language as our heredity as well as a communication tool.

      • KCI등재

        청소년 찬양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내용 분석 ; 래드(George. E. Ladd)의 하나님 나라 이해 중심으로

        현은자,이란 기독교학문연구회 2015 신앙과 학문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s of praise songs concerned with the Kingdom of God and to discuss the adequateness of those that adolescents are frequently singing in their wor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otal 31 songs by the survey through 107 religious workers serving in church department for adolescents. Those song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a segmentation into meaning elements, open coding, topicalization and categorization. The categorized contents were discussed based on Ladd(1982; 1997; 2000)’s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As a result, there was a balanced reflection in the notions of futurity, nowness and duplicity of the Kingdom. Among them, the songs dealing with the futurity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nd this result were interpreted as an exact reflection for the Ladd’s idea of that the ultimate future Kingdom of God is fundamentally apocalyptic. And, there were both common and different descriptions between two kinds of notions on Kingdom in the phenomenological portrayals. There were love, rightness, healing, peace in the texts on both Kingdoms. On the contrary, one comes out as a God’s complete and visible reign; the other in secret. One is characterized by the perfect realization of rightness; the other by a limited form. Also, the condition for entering the Kingdom was obviously presented in the songs: that is the faith only towards Jesus Christ and there is no exception. The present Kingdom of God is depicted as growing in itself; however, the co-work with God and the determination of Christians to put forward the Kingdom were strongly reflected as a necessity in those texts. Finally, the texts of the praise songs showed the earnest wish and confidence for the advent of the apocalyptic Kingdom of God and they were understood as a prayer and a driving action for the fulfilling the wish. However, the contents inadequate for the analysis frame above, such as the emphasis on our contribu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hrases of bible and Ladd’s understandings of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ose findings, this study speculat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praise songs in adolescents’ wo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성도들이 예배와 모임에서 자주 부르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찬양들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적절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개혁주의 교단 소속의 교회 주일학교에서 사역하는 사역자들 107인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주제와 관련하여 교회 예배나 모임 중 자주 부르는 찬양을 추천하도록 설문하여 총 31곡을 그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표집된 찬양 가사는 의미 단위로 분절된 뒤, 코딩과 주제화, 범주화 과정을 거쳐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 범주화된 내용들은 성경적 관점과 래드(Ladd, 1982; 1997; 2000)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내용의 적절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미래성, 현재성, 그리고 이중성의 이해가 총체적이며 다층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이 중 미래성에 관한 찬양의 비중이 다소 두드러지는 점은 궁극적인 하나님 나라가 종말론적이라는 래드의 관점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되었다. 둘째로 찬양 가사에 반영된 하나님 나라의 묘사적 표현들에 있어서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과의 교제라는 두 측면을 공통적으로 공유하면서 두 나라가 각각 하나님의 통치가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점과 비밀스럽게 전개되는 점, 그리고 그 의의 구현에 있어서 각각 완전성과 제한성이라는 특징을 보여줌으로써 그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또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길로서 오직 예수에 대한 믿음이 그 유일한 조건임이 강조되었고 하나님 나라는 그 자체가 생명력이 있어 성장해 가나 이에 더하여 하나님 나라의 임함에 동역하고자 하는 성도들의 삶의 결단이 공로성이 아니라 당위성의 측면에서 가사 속에 다수 구현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확신이 찬양 가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확신은 기도로써 드려지는 찬양의 속성을 고려할 때 하나의 그 나라를 앞당기는 간절한 행위로써 이해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의 틀에 적합하지 않은 가사들은 성경과 래드의 이해에 기초를 두고 비판적으로 논의되었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주일학교 청소년들을 위한 찬양 선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강경수 작가의 [고민 해결사 펭귄 선생님] 평론

        현은자,이지운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1

        최근 그림책 독자의 연령과 범위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으나, 그림책의 주 독자가 어린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그림책 독자의 크로스오버 현상 중의 하나는 외형적으로는 어린이 독자를 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은 어린이가 아니라 성인을 내포독자로 설정하는 텍스트의 출현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경수(2020)의 고민 해결사 펭귄 선생님의 평론을 통해 이 텍스트에 투영된 이 시대의 세계관을 밝히고 그것이 어린이 문학교육과 그림책 평론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Vanhoozer의 문화해석 방법론에 따라 텍스트 자체의 세계, 텍스트 앞의 세계, 그리고 텍스트 뒤의 세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이 텍스트에 투영된 냉소주의가 허무주의 세계관과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그것이 어린이 문학 교육에 미치는 인식론적, 윤리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그림책 평론가의 책무성이 그림책을 어린이에게 소개하는 성인 독자들의 읽기 역량을 높이는 것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현은자,김세희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있는 세개의 유치원의 유치반에서 무선으로 표집한 160명의 5세와 6세의 유아였다. 각 학급마다 각각 한편의 전래동화와 이솝우화를 구연동화로 들려주고 난 후 개인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는 이솝우화보다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해 더 뚜렷한 선호반응을 보였으며. 둘째, 이솝우화보다 전래동화의 주인공에 더 쉽게, 동일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전래동화와 이솝우화간 유아의 인물 선택기준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tories influence a person as a whole. Good stories provide us with codes of conduct(honesty, courage, kindness) and good examples(King David, Abraham Lincoln). Positing that there is a contrast between fairy tales and Aesop's fables in terms of ethical codes and charac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the characters in fairy tales with their responses to those in Aesop's fables. The subjects were 160 five and six-year old children (80 girls, 80 boys) randomly selected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each child after a group story-telling of a fairy tale and an Aesop's fable. The fairy tales used in this study were Hansel and Gretel and The Sun and the Moon. The fable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ox and the Stork and The Ant and the Glasshopper.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 showed stronger feelings of liking and disliking for the characters in fairy tales than for those in Aesop's fables. 2.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identify with the main characters of fairy tales than with those of Aesop's fables. 3.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in some young children's criteria for liking, disliking, or identifying with the characters of fairy tales and of Aesop's fables: they tended to judge characters in terms of gender and good/bad behavior in fairy tales and by external features and morality in Aesop's fables.

      • KCI등재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창의극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현은자,최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창의성의 통합적 접근에 기초하여 유아 창의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창의성이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난 통합적 결과라고 보는 통합적 접근에 기초하여 그림책을 읽고 다양한 창의극 활동들을 경험하는 창의극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창의극은 언어, 미술, 신체 활동 등 여러 영역의 활동들이 전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종합 예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창의극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인 J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17명에게는 10주 동안 30회의 창의극 활동을, 비교집단인 T어린이집의 유아 17명에게는 기존의 언어(동극), 미술, 신체 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극 프로그램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문제 해결력과 같은 창의성의 인지적 요소와 민감성, 호기심과 같은 창의적 인성 등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극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인지적·정의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developed a creative drama program which focuses on enhancing young children's confluent creativity and then investigated whether this confluent approach to creativity synthetically influenced specific cognitive, emotional and environmental creativity factors. The study's 34 subjects were all 4 years old. An experimental group of 17 children participated in a creative drama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s media for 30 sessions over a 10 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of 17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non- creative dramatics program. To monitor the effects of the confluent creativity activities, a K-CTTY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a KCTC were used as pre and post tests instruments. The Mann-Whitney U Testwas used for analyses. The pretests of the assessment instruments foun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post test scoring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creative thinking component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us, the pre-and post-tests demonstrate that a creative drama program focusing on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confluent creativity can synthetically improve specific cognitive, emotional and environmental creativity factors.

      • KCI등재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노인 등장인물 분석

        현은자,장혜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2

        노인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고령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현대의 많은 아동이 노인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노인의 삶과 노화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적 매체로서 그림책은 아동이 노인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아동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그림책에서 노인의 모습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작그림책 116권에 등장한 노인 등장인물을 분석한 결과 첫째, 노인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경험보다 죽음이나 질병, 소외나 노화와 같은 부정적인 경험을 더욱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의 배경으로는 시골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에 나타난 시점을 분석한 결과 전지적 작가시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대인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관계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노인의 사회적 관계는 미비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With a rapidly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aging has emerged as a veryimportant issue in modem society. Children are likely to have neg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is study analyzes how the elderly person is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since they are one of the effective media to introduce young children to positive perspectives on life arid people. For this purpose, 116 titles of picture books portraying an elderly person as the main character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in character's experience, spatial background, point of view and personal relationshi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the main characters have is more likely to be featured in negative events such as death, illness, aging and alienation rather than in daily life. 2) The country-side and wildemess appear most frequently as the background for the picture book stories. 3) An omniscient viewpoint appears morefrequently than any other viewpoint in the picture books. 4) The social lives of the elderly main characters are likely to be limited to immediate family rather than to neighbours or commurut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studies and for the writing of picture books featuring an elderly protagonist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