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시장적 요소를 둘러싼 남미공동시장의 지역개발협력: 노동⋅이주 분야 협력과 환경협력의 비교를 중심으로

        현민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2

        Purpose: This article deals with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hereinafter RDC) for labor as a special commodityand environment as regional public goods, which are non-market factors of the MERCOSUR. Originality: Reconstructing the aspect of RDC through the category of non-market factors, this paper comparesand analyzes the development cooperation in two areas of labor and environment. Methodology: This paper used data from the MERCOSU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related secondary literature to analyze RDC in the MERCOSUR. Result: MERCOSUR is both an economic development project and a social⋅political project. Evolution to 'social' MERCOSUR is revealed in the RDC in relation to labor and migration, whose subject, people is a component of production and a holder of rights. In the field of labor, MERCOSUR created regional norms and agendas through social-labor declarations. In particular the attempt to create the MERCOSUR citizenship has laid the foundation for a rights-based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RDC is relatively marginalized. This is because the polices of the member countries focusing on social redistribution is mainly based on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primary resource called 'Neo-extractivism'. Conclusion and Implication: MERCOSUR has institutionalized rights-based labor and migration cooperation and has undertaken various RDC in the relatively marginalized environment. Despite the numerous institutions, declarations and rights, however, the institutional enforcement and accountability of the MERCOSUR is not consistent.

      • KCI등재

        북미자유무엽협정하의 미국-멕시코 경제적 개발격차 그리고, 노동이주 및 이주협력에 대한 연구

        현민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본 연구는 지역경제통합에 있어서의 개발격차와 이주의 문제를 NAFTA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NAFTA의 특성, 개발격차, 노동이주 및 이주협력에 대해 1차 자료 및 2차 문헌 등에 기초하여 역사적 분석 및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자유무역협정에 기초한 NAFTA는 개발격차의 문제를 시장기제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개발격차(특히 미국과 멕시코)는 줄어들지 않았다. 시장에 위임된 개발격차의 문제는 개인소득으로 치환되어 나타났으나 시장기제는 미국과 멕시코의 소득불평등을 개선하지 못하였다. 또한 멕시코 내 소득불평등과 지방간 불평등은 오히려 확대되었다. 이러한 양국간 소득격차는 멕시코인들의 미국으로의 미등록이민의 증대를 가져왔지만 양국간 이주협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향후 NAFTA라는 경제적 공간이 지역적 수준의 사회・정치・경제적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회원국간 개발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적 협력방안과 인간의 이동 즉 노동력 상품의 이동에 대한 지역적 차원의 협력이 필요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gap and migration issues i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through NAFTA case.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historical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FTA, development gap, labor migration and cooperation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NAFTA, based on FTA, tries to solve the problem of development gap through market mechanisms. However the development gaps (especially between US and Mexico) have not decreased. The problem of the development gap entrusted to the market was replaced by inequality of individual income, the market mechanism did not improve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In addition income inequality and local inequality in Mexico have expanded. This income gap between two countries has served as a background for Mexica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but the migrant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relatively weak. In order for NAFTA to become a socio-political and economic space at the regional level, regional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gap among members and the movement of peoples, that is, the circulation of the labor commodity.

      • KCI등재

        북-남 지역경제통합과 노동·환경 격차 해소를 위한 개발협력: NAFTA 사례를 중심으로

        현민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2

        This paper deals with regional cooperation to narrow the development gap of non -market factors(labor and environment) in NAFTA. Labor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AFTA, which is characterized by detailed rules for economic and social areas rather than formation of transnational institutions, was based on the NAALC and NAAEC. Non-governmental actors, mainly unions, environmental groups, and civic groups, promoted cooperation and solidarity at the regional level by raising the issue of compliance and legitimacy of 'rules' through the citizen petition mechanism. While environmental cooperation showe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regional cooperation system, labor cooperation faced institutional limitations. Nonetheless, the 'politicizing of the rules' to reduce the development gap in the field of labor and environment has developed in the form of social movements. This aspect of NAFTA's regional cooperation is different from ordinary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n labor and environment such as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owever, as the main target of development cooperation concentrates on the labor(human resource) and environment(physical connectivity), we consider these civil-led dispute over the rules in NAFTA and regional cooperation as broad development cooperation. In short, NAFTA has show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rules' that originated from the trade linkage of the labor and environmental gap, providing social-economic spaces for private-centered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below. 본 논문은 자유무역협정에 기반한 NAFTA 지역경제통합의 비시장적 요소, 즉 노동과 환경의 개발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적 차원의 협력을 다룬다. 지역적 차원의 초국가적 제도 형성보다는 경제적· 사회적 영역에 대한 세세한 규칙에 기반한 NAFTA에서 노동·환경 협력은 북미노동협력협정, 북미환경협정에 의해 규정되었다. 노조, 환경단체, 시민단체 등 비정부행위자들은 시민청원제도를 통해 ‘규칙’ 준수에 대한 요청과 아울러 ‘규칙’의 정당성에 대해 문제제기를 함으로써 지역적 차원의 협력과 연대를 추진하였다. 규칙을 둘러싼 협력과 쟁투에 있어 노동협력이 민족적 제도의 한계에 부딪힌 반면, 환경협력은 준-지역적 협력체계의 구축과 비정부행위자의 권한 강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양자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회원국간 노동·환경 격차를 줄이기 위한 ‘규칙의 정치화’는 일종의 ‘사회정의’를 요구하는 사회운동의 형태로 전개된 점에 있어 유사하다. 이러한 지역적 협력의 양상은 인프라개발, 인적자원 개발 등 노동·환경에 대한 통상의 ‘국제개발협력’과는 차별적이다. 그러나 지역개발협력대상이 비시장적 요소인 노동과 환경에 집중된다고 할 때 우리는 NAFTA에서의 규칙을 둘러싼 민간주도의 쟁투와 지역협력으로서의 사회운동을 광의의 ‘개발협력’으로 포착할 수 있다. 요컨대 NAFTA는 노동·환경 격차와 무역연계에서 출발한 ‘규칙’들이 민간중심의 ‘아래로부터의’ 개발협력의 장을 제공하며 그 가능성과 한계를 보여준 사례이다.

      • KCI등재

        수산물먹거리를 통한 해양활동에 대한 실태연구

        현민,예동근,이춘수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2

        Previous studi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marine tourism, ocean logistics, and marine culture. However, research on the meaning of fisheries products was very insignificant. Among the reas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influence on the distinctive point of differentiation and perception of marine products is still insignific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preference,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Korean seafood. This will enable consumers to obtain information on a variety of aquatic food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future fisheries policies and strateg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verall index of aquatic food consumption was 74.9 points based on 100 points. Satisfaction with aquatic products and necessity of consumption were 74.1, 79.0 and 71.7, respectively. Therefore, a measure should be taken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arine products, which is relatively insufficient depending on the necessity of marine products. we can expec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marine products through development of franchise for marine products in Korea, safety of food for marine products, and improvement of image of marine products in Korea. 기존 연구들은 주로 해양관광, 해양물류, 해양문화 등의 측면에서 연구가 되어 왔다. 그러나 수산물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는 매우 미진하였다. 이유 중에 하나는 아직 수산물의 부가가치와 다양한 파급효과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이 미미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수산물 먹거리에 대한 선호도, 섭취필요성, 만족도 등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수산물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향후 나가야할 수산물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 수산물 먹거리에 대한 전반적인 지수는 100점 기준으로 74.9 점으로나타났다. 또한 수산물 선호도, 섭취필요성 만족도는 74.1, 79.0, 71.7 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따라서 수산물의 섭취필요성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수산물 만족도를 높이는방안이 강구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전략 방안으로 한국의 수산물에 대한 프렌차이즈 개발, 수산물에 대한 먹거리 안전성 보장, 한국수산물에 대한 이미지 개선 등을 통한 수산물 만족도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로스앤젤레스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 연계성

        현민,정호윤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태평양철도와 로스앤젤레스의 연계, 산페드로항의 건설과 철도의 연결 등을 통해 태평양 연안과 미대륙이 보다 긴밀히 연계되는 과정속에서 로스앤젤레스의 초기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역사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문헌검토 고찰 등을 통해 초기 로스엔젤레스 형성 과정에 대한 역사적 특수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내용: 골드러시 이후에도 그저 조그마한 마을에 불과하였던 로스앤젤레스는 미국 동부와 서부를 보다 빠르게 연결하여 환태평양 무역거점에 도달하고자 한 대륙횡단철도의 건설, 파나마운하 개통 등 환태평양 무역의 강화로 인해 대규모 항구의 필요성 등을 통해 20세기 초반 환태평양 무역의 중심지로 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캘리포니아 연안 도시연구 자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로스앤젤레스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다른 환태평양 연안 도시의 초기 형성과정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논의의 장을 확장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해양문화지수를 통한 해양실태조사와한류 시너지에 관한 소고

        현민,예동근,이춘수 한국무역통상학회 2019 무역통상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marine cultur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marine culture in Korea. Cultural contents for sustainable Korean Wave is now expanded, and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culture utilizing ocean and to develop contents, not the spread of Korean Wave based on killer contents through star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arine cul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marine culture in Korea.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lications for creating the synergy effect of Korean Wave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killer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possibility of expansion of marine culture and Korean wave culture. As a result, the marine culture index was 70.6 points.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sea on Korean culture, the preference of actual sea related culture contents and satisfaction of marine culture experience were relatively low, 67.0 and 67.3,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develop and pass the maritime culture by detailed items, and to util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combine with Korean Wave 4.0.

      • KCI등재

        UN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2030 의제’의 이행수단에 관한 연구: 개발재원과 개발주체의 변화를 중심으로

        현민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6 No.3

        In Sep. 2015. the UN adopted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implementation of ‘UN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key point is who development subject is and how development finance is mobilized. This study refines our understanding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2030 Agenda,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development subject and development finance. The crucial change of development finance is the shrinking of ODA and rapid growth of development finance in private sector. But private finance is basically exposed to uncertainties of political economy of world system, hence the instability of development finance also increases. At the same time, the changes of development finance imply the changes of development subjects which require global partnership or new global governance among the development subjects at different levels. According to this study, volatilities intrinsic to private finance, and tensions between private profits and public goals which are embedded contradictions in private development subjects, cast doubt on sustainability of global governance. So the future task depends on how to reconstitute development subject and finance in the new public frame, as well as how to answer the radical question about ‘development’ itself. 2015년 9월 국제연합은 향후 15년간 수행될 지속가능개발의제를 채택하였다. 범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의지를 담고 있는 본 의제 수행에 있어 핵심적 요소는 개발주체는 누구이며 개발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개발의제의 이행과 관련된 문제를 개발주체와 개발재원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그 변화와 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 개발재원에 있어 중대한 변화는 1990년대 세계화 이후 공적개발원조(ODA)의 약화와 민간재원의 급격한 증대이다. 해외직접투자, 포트폴리오 투자, 송금 등으로 대변되는 민간재원은, 그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세계정치경제의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재원의불안정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개발재원의 변화는 이를 동원하고 집행하는 개발주체의 변화를 동시에 시사한다. 변화된 개발재원의 지형 속에 새로운 민간 주체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다양한 수준에서 개발 주체들 사이의 ‘글로벌 파트너십’ 혹은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의 형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재원에 내재된 변동성, 사적 이윤과 공적 목표 사이의 긴장이라는 민간개발 주체에 내포된 모순은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점을 던지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개발’시대는 ‘개발(발전)’에 대한 근본적 질문과 함께, 개발재원과 개발주체를어떻게 새로운 ‘공공성’의 범주 속에서 재구성할 것인가라는 점을 지속적인 과제로 남겨 놓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