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육 및 식육가공품 섭취에 따른 안전성 및 식중독 위험성 인식

        최소정,박진화,김한솔,조준일,주인선,곽효선,허진재,윤기선,Choi, So Jeong,Park, Jin Hwa,Kim, Han Sol,Cho, Joon Il,Joo, In Sun,Kwak, Hyo Sun,Heo, Jin Jae,Yoon, Ki Su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4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perception of food safety and risk from foodborne illness and consumption pattern of meat and processed meat products in Korea. Methods: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by trained interviewers, surveying 1,500 adul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ix major provinces in Korea. Results: Mos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foodborne illness risk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raw meat but not related to heated meat and processed meat products. As respondents perceived the risk of food poisoning from raw meat, the purchase and intake decreased (p<0.001). Most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a low possibility of foodborne illness at home. Seventy-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bacteria and virus are the main causes of foodborne illness. Improper storage practice (40.7%) and unsafe food material (29.3%) were the main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foodborne illness. Perception and practice of food saf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residency area. The most preferred meat, processed meat, and processed ground meat products were pork (58%), ham (31.1%), and pork cutlet (40.4%), respectively. The most preferred cooking method was roast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meat, but the second preference for cooking metho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ype of meat (p<0.001): stir-fried pork, beef with seasoning, fried-chicken and boiled duck. Frequency of eating out was 0.75/day on weekdays and 0.78/day on weekends at the mainly Korean BBQ restaur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science-based education materials for consumer and the specific guideline of risk management of meat and processed meat products.

      • KCI등재

        국내 50가지 축산물 및 축산가공 식품의 섭취량 및 섭취빈도 조사

        박진화(Jin Hwa Park),조준일(Joon Il Cho),주인선(In Sun Joo),허진재(Jin Jae Heo),윤기선(Ki Sun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8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식중독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다양한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50가지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해 대한민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축산식품의 섭취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성별, 나이별, 지역크기별, 직업별, 지역별로 섭취량 및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축산식품의 섭취량과 섭취빈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역의 차이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높았으며, 나이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크기별로는 식육 및 그 가공품의 경우 대도시, 우유 및 유가공품과 알류 및 알 가공품은 중소도시에서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높았으며, 직업별로는 학생이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한 섭취량과 섭취빈도가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인천/경기, 부산/울산/경북에서 섭취량과 섭취빈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 전체(1,500명)의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한 달에 가장 자주 섭취하는 식육과 그 부산물류에서는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순이었고, 축산가공품에서는 햄, 양념된 돼지불고기, 소시지 순이었으며, 우유 및 유가공품에서는 우유, 액상 요구르트, 호상 요구르트 순이었고 알류 및 알 가공품에서는 계란말이, 계란찜, 삶은 계란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인구집단에 따른 50가지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섭취량과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인구집단에 따라 선호하는 축산식품의 종류가 다르며 섭취하는 양에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안전한 축산식품 섭취 관련 식중독 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며,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병원성 식중독균에 대한 위해평가 과정에서 노출평가에 필요한 섭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stimation of food consumption details, such as portion size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is needed for exposure assessment step i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s and frequencies of 50 kinds of consumed livestock products.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by trained interviewers in face-to-face interviews with 1,500 adults aged over 19,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even major provinces in Korea. Respondents received a picture of one serving size for each of the 50 livestock products, including meats, processed meat product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eggs and processed egg products. A t-test and general linear model were carried out using SPSS statistic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was residence area.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food was milk (2.6 times/week), followed by pork (1.4 times/week), liquid yogurt (1.3 times/week), rolled omelet (1.2 times/week), semisolid yogurt (1.0 times/week), steamed egg (1.0 times/week), ice cream (0.9 times/week), chicken (0.8 times/week), low fat milk (0.7 times/week), and beef (0.6 times/week). In the case of consumption amount, people living in a city consumed meat (beef, pork, chicken, and duck) 1.5 times more than those living in a village, wherea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eggs and processed egg products were consumed more frequently by people living in a town. When people eat meat, they consume twice the amount of one serving size. Students consumed livestock and processed livestock products more frequently with greater portions all at once. People living in Seoul, Incheon/Gyeonggi, and Busan/Ulsan/Gyeongnam consumed livestock products more frequently in large amounts. Data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risk assessment of livestock and processed livestock products as well as education for saf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 SCOPUSKCI등재

        식중독 위험성 인식이 높은 잠재적 위해식품 섭취실태조사

        박희진(Hee Jin Park),민경진(Kyung Jin Min),박나윤(Na Yoon Park),조준일(Joon Il Cho),이순호(Soon Ho Lee),황인균(In Gyun Hwang),허진재(Jin Jae Heo),윤기선(Ki Sun Yoon)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1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식품을 잠재적 위해식품이라 하며 이 식품들의 섭취행태가 정확이 파악되어야 정확한 미생물 위해평가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50가지 잠재적 위해식품을 선정하고 대한민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잠재적 위해식품의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5월과 8월에 나누어 설문조사를 하였다. 월 1회 이상 섭취하는 빈도를 보았을 때 쌈야채는 소비자의 91.3%가 월 1회 이상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데친 나물류는 72.3%, 닭튀김은 68.1%였으며 그 뒤로 파채(67.9%), 맛살/어묵(67.3%), 부추(65.3%), 삼각김밥(62.5%), 계란지단/찜(62.4%), 샐러드(59.8%), 오징어/문어(58.7%)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위험인식도가 가장 높은 식품은 조개로 4.36점으로 조사되었으며 홍합(4.35점), 생굴(4.30점), 육회(4.29점), 생선회(4.27점), 해삼/멍게(4.19점), 꼬막(4.16점), 참치회(4.10점), 초밥(4.08점), 날치알(3.95점)의 순서로 나타나 수산물 및 수산가공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위험인식도는 5월보다 8월이 더 높게 나타나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소비자들의 위험 인식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소비자는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식품으로는 부추가 1.9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쌈야채(2.00점), 파채(2.02점), 새싹채소/무순(2.12점), 생식/선식(2.40점), 샐러드(2.40점), 데친나물류(2.47점), 오징어채/포류(2.54점), 조미쥐포류(2.59점), 육포(2.63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생물의 오염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위험 인식도가 낮아 이들 식품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위해식품의 섭취실태조사는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식품의 위해도 분석 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위험 인식 수준에 대해 지각하고 식중독 예방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amount and consumption patterns of 50 potentially hazardous foods(PHF) along with consumers’ risk perceptions towards PHF in Korea.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through August by trained interviewers, surveying 1,000 adults aged over 18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ix major provinces in Korea. Consumers perceived seafood, including shellfish, mussel, sashimi and sushi, as the top foods with the highest risk, followed by raw sliced beef. The foo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take per month was leafy vegetables, which is used to wrap other foods, followed by blanched vegetables, fried chicken, etc. The group of middle aged individuals with economic stability had the highest frequency intake of sashimi and sushi. Respondents living in small regions consume greater PHF portions at once. Food safe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risk of PHF is essential for consumers, with high frequent intake of PH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