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혜숙 ( Han Hye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논문집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시간을 활용하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을 실시한 후 STEAM 교육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STEM 분야에 대한 진로 흥미도와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6년도에 한국과학창의재단/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자유학기제용 수학교과 중심의 STEAM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12주 동안 중학교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검사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수학 및 기술/공학 분야의 진로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에서도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사고력` 과 `설계 및 실행`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which was operated in free semester system clas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technology/engineering, and mathematics(STEM) career and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0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for 12 weeks using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developed for the use of free semester system classes by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KOFAC in 201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EM career interest survey,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TEM career. And it was also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

        예비수학교사의 수학적 문제제기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제기 전략

        한혜숙(Han, Hyesook),최희선(Choi, Heesun),김성열(Kim, Sungyeol),이재영(Lee, J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적 문제제기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문제제기 전략에 대해 조사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제기 인식 조사에서 연구 참여자 중 약 70%가 문제제기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문제제기 전략 및 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50% 이상이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문제제기 교육의 효과가 보고되어 지속적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제기 활동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문제제기 교육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BBM 과제 수행을 통해 제기 한 문제의 유형으로는 IP단계에서는 주로 조건 수용하기를 활용한 반면 AP단계에서는 조건 수용하기와 조건 변형하기의 비율이 같게 나타났고, 조건 변형하기의 경우 내재적 조건보다는 외재적 조건을 변형한 경우가 더 많았다. 마지막으로 문제제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전략으로 체계적 변화, 연쇄, What-if-not, 대칭 전략 순으로 발견되었는데, 이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체계적 변화 전략도 What-if-not 전략처럼 또 다른 전형적인 문제제기 전략으로 다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posing and their problem posing strategies. First, approximately 70%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know about mathematical problem posing, while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understand problem posing strategies and the effect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have long emphasized the educational value of problem posing and the activities has been strongly recommended by Korea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Nevertheless, the result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lack problem posing strategies o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problem posing implies the need of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posing problem using BBM task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tended to generate more problems by accepting the condition than manipulating the condition, and in the condition-manipulation problems, the proportions of problem generated by manipulating explicit conditions was much more than those by manipulating underly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problems posed by each participant were analyzed to find possible relationships among clusters of posed problems. The most prominent of which was systematic variation strategy, and the result implies that the strategy could be introduced as a formal problem posing strategy such as What-if-not instruction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혜숙(Han, Hyesook),주홍연(Joo, Hongyun),이화정(Lee, Hwajeong),이재영(Lee, J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과학적 재난안전관리’ 라는 주제로 총 12차시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44명 에게 3주간 적용하였다. 특히, 효과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이로부터 9주 후에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에 의하면,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창의적 사고 능력의 각 하위 요소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STEAM 수업이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수학불안 요소에 대한 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논리 · 비판적 사고 및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의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 기반의 창의적 사고 능력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에서도 수학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와 더불어 창의성 발달을 위해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이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on high school girl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thinking. We developed a 12 hour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containing 4 thematic modules that connect mathematical ideas to real-world applications such as scientific disaster management for a research period of 7 months,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44 high school girls for 3 week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for this study. A pretest was administrated before the instruction, and the same test was administrated 9 weeks after the pre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ll of the subcomponent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thinking. It means that the use of the STEAM program is effective in developing high school girls’ posit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creative thinking. In addition, the use of the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played a positive role in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based on mathematical knowledge. These results show that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should be used widely in high school to change students’ nega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 교육에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

        한혜숙(Han, Hye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의 한 사범대학에서 2018년도 1학기에 대학 기초 교양 강좌로 개설된 ‘창의융합교육의 이해’ 강좌의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그 강좌에서 제공된 다양한 학습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총 25명의 수학교육, 한문교육, 체육교육 전공의 예비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업은 2018년도 3월부터 6월까지 총 15주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예비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와 교원양성과정에 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지, 강좌 만족도 조사지, STEAM 수업 반성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 및 윌 콕슨 부호화순위검정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분석 결과에 의하면, ‘창의융합교육의 이해’ 강좌에서 제공된 다양한 학습 경험이 ‘STEAM 교육 지식’, ‘교과내용 지식’, ‘교수-학습 방법’, ‘학습 참여 유도’, ‘수업 상황 및 환경’, ‘학습자 평가’, ‘개인적 자질’ 그 리고 ‘STEAM 교육 태도’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을 발달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원양성과정에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이 도출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기 개발된 STEAM 수업 자료 활용, STEAM 수업 시연을 위해 실제 중등학교 수업 상황에 준하는 환경 조성 또는 학교 현장과 연계를 통한 수업 경험의 필요성, 원활한 팀 활동 수행을 위한 수업 설계 전략 등에 대한 내용이다. In this study, the case of the implementation of ‘Understanding of Creative․ Integrative Education’ course, which was established as a basic liberal arts cours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at one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was introduced and the effects of th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provided in the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were examined. A total of 25 pre-service tea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Sino-korean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major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course was held from March to June 2018 for a total of 15 week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pre and post tests, course satisfaction survey, and STEAM class reflection journ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pre-and post test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and Wilcoxon’s signed-ranks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iverse learning experiences provided in the course were very effective in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for STEAM education in terms of ‘STEAM education knowledg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environments and circumstances’, ‘learner evaluation’, ‘personal qualifications’, and ‘attitude toward STEAM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implications were draw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e main contents were about the use of previously developed STEAM class materials, the need for teaching practice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real secondary school classroom or in the real classroom,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to facilitate team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교육기부 활동에 관한 인식 조사

        한혜숙(Han, Hyesook),이화정(Lee, Hwa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교육기부 활동을 통해 대학생들의 ‘봉사 의식’, ‘학습동기 및 진로계획’, ‘핵심역량’, ‘행복지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관하는 ‘함성소리’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참여한 44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을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교육기부에 대한 인식, 교육기부 수행에 대한 자신감, 지역사회 참여 의식, 일반적인 봉사 의식에 대한 생각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비록 학습 동기 및 진로 계획측면에서는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에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긍정적인 변화를 제시한 응답 비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진로에 대한 생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학생들의 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창의성, 목표지향적 계획 수림 및 수행력, 자 기효능감, 자기존중감과 같은 핵심역량의 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통 능력의 경우 강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약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가장 낮게 나타나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는 대학생들의 소 통 능력의 강화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 후 대학생들의 행복지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iversity students’ changes in perceptions of voluntary consciousness, core competency,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and happiness after participating in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A questionnaire designed to uncover changes in students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was given to 447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called as ‘shouting sound’ on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houting sound’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s of awareness of Donation for Education, voluntary consciousness, self-efficacy for conducting donation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Second, in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although the ratio of responses indicating no change through the program was higher than the ratio of positive cha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s of the responses was very small. It tells us a potential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s of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Third, ‘shouting sound’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or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 creativity, establishment of goal-oriented plan and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Especially, participation in ‘shouting sound’ program was the most effective for strengthening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 Fourth, majority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ir happiness. It means that the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happiness.

      • KCI등재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혜숙(HyeSook Han),김영우(Kim, Yeong-Woo) 한국인사행정학회 2021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0 No.2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자본이 학교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리더십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중등 학교장의 진성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초등 대상에 비하여 많지 않은 편이다. 또한 신뢰 또는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역시 많지 않다. 따라서 학교장의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자본이 각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자본이 진성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자본은 각각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성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학교장의 양성과정과 현직자 교육훈련에 진성리더십을 포함하고, 신뢰의 제고나 네트워크의 강화 등 사회적 자본의 증대를 통한 조직몰입 방안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chool members. Although many studies on leadership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authentic leadership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ubjects. Also,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compared to the research on trust 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rincipal s authentic 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authentic 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it can be seen the need to include authentic leadership in the training process of principals a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incumbents. In addition, policy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obtained by increasing social capital, such as enhancement of trust or expanding networks.

      • KCI등재

        소집단 프로젝트 기반 평가 활동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박정은(Park, Jeong-eun),한혜숙(Han, Hye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지속됨에 따라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즉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평가와 같은 과정 중심 평가 방법에 많은 관심 이 쏠리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질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소집단 프로젝트 기반 평가가 수학 학습의 정의적, 인지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한 중학교의 1학년 2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루어졌고,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집단 프로젝트 기반 평가는 소집단 문제해결 기반평가 방법 보다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가치인식 함양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소집단 프로젝트 기반 평가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에 의하면, 소집단 프로젝트 기반 평가 활동에서 좋았던 점으로는 동료들과의 협업 및 의소사통과 관련된 응답이 가장 많았고, 어려웠던 점으로는 의견조율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의사소통 과정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 개선점으로는 시간적 제약 및 소집단 편성과 관련된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As interest and discussion on process-focused assessments continues, changes in the assessment paradigm are accelerating. In other words, the role of assessment for learning and assessment as learning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for this, much attention is being paid to process-focused assessment methods such as project assess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ssessment activities on the mathematics learning of 7th grade students in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gular mathematics class hours in two classes at a middl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by applying a heterogeneous control group design. The findings showed that small group project-based assessment is more effective for recognition of the value of mathematics than small group problem-solving based assessment meth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cognitive domai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on small group project-based assessment conducted by experimental group students, many students gave responses related to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s good experiences through small group project-based assessment. And the most difficult part that students experienced during small group project-based assessment was the communication process for coordination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In addition,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project-based assessments performed in this study, opinions related to time constraints and group composition were focused. These findings gave some implications for performing small group project-based assessment.

      • KCI등재

        수학적 융합 역량의 의미 분석

        주홍연(Hongyun Joo),한혜숙(Hyesook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에서의 융합 역량에 관한 문헌 분석을 통해 ‘수학적 융합 역량’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하위 요소를 추출하여 각 하위 요소의 의미와 예를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서 국내외 수학교육 분야에서 출판된 연결성, 융합 역량에 관한 연구 논문들과 국내외 교육과정, 현행 교과서 등을 수집하여 문헌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최종 추출된 23편의 문헌에 대한 면밀한 내용 분석을 통해서 수학적 융합 역량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도출하였고, 그 하위 요소를 추출⋅세분화 하였으며, 그 하위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 분석의 결과와 이해를 돕기 위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 내의 구체적인 예(교수⋅학습 상황 또는 평가 문항 등)를 제시하였다. 결과 수학적 융합 역량을 크게 수학 내적 융합 역량과 수학 외적 융합 역량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수학 내적 융합 역량은 ‘지식(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내용 영역 및 주제(수평적 구조, 수직적 구조)’, ‘표현 및 형식(대안 표상, 동치 표상)’ 간의 융합 역량으로 세분화하고, 수학 외적 융합 역량은 ‘맥락(수학사, 실생활 추출, 실생활 적용)’과 ‘타 교과’ 간의 융합 역량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결론 수학 교과에서 융합 역량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수학적 융합 역량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안내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해 수학적 융합 역량 및 그 하위 요소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각 하위 요소마다 지도 방법이나 평가 유형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는 수학적 융합 역량에 관한 세부적인 교육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수학적 융합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방향과 초점을 결정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 틀을 구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and derive its sub-elements to embody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research papers and literatures including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on mathematical connec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definition of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was developed and its sub-elements were derived, and instructional examples were presented to help understand the sub-elements. Results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internal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and external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The internal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consisted of three sub-elements: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content area and theme(horizontal structure, vertical structure)’, and ‘expression and form(alternative representation, equivalent representation)’, and the external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consisted of two sub-elements: ‘context(the history of mathematics, real life extraction, real life application)’ and ‘other subjects’. Conclusions Although interest in convergence competency in mathematics education is increasing, the concept of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is not clear, and guidance on teaching-learn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ie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the definition of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and the sub-element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provided instructional examples to help understand the sub-elements. This will help determine the direction and focu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by enabling detailed approaches to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and construct a specific evaluation framework for evaluate students’ ‘mathematical convergence competency’.

      • KCI등재

        예비수학교사의 MKT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옥보명 ( Ok Bo-myoung ),한혜숙 ( Han Hye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논문집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순열과 조합 영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MKT 수준을 알아보고, 예비교사들의 MKT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MKT-DP)을 개발·실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MKT 사전 검사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순열과 조합 영역의 MKT 수준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CK와 KCT의 수준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MKT 검사 분석 결과 KCT 범주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MKT-DP는 예비수학교사들의 KCT를 함양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가지 하위 범주(CCK, SCK, KCS)에 대해서는 사전, 사후 검사 간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어느 정도의 수준 상승이 이루 어진 것으로 나타나, MKT 전반에 걸쳐서 MKT-DP의 긍정적 영향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MKT level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area of permutations and combinations was investigated, and MKT-Development Program(MKT-DP) focused on improving the MK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MKT in the area of permutations and combinations. Twenty-nin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a four-week MKT-DP and MKT pre and post tests. According to the MKT pre test results for permutation and combination areas,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low levels of MKT in the permutation and combination areas, especially, the level of SCK and KCT was quite low.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MKT-DP, the results of pre- and post-MKT tests were analyzed,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s was found only in the KCT sub-category. This shows that the MKT-DP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s teachers’ KCT in the area of permutation and combina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remaining sub-categories(CCK, SCK, and KCS), the positive influence of MKT-DP can be expected throughout MKT, as a result of some level increase in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