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한형주(Han Hyung-ju)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28 No.-

        본 연구는 15세기 朝-明관계를 외교의례의 시행과정과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조공-책봉관계의 성격을 찾아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려 말 여-명 교류는 원명교체라는 대륙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공민왕이 국권 수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양국관계는 명의 세력 확대와 고려의 자주적 입장이 상호 출동하면서 이후 우호와 갈등이 상호 교차되는 과정을 겪었다. 국가의례의 전래 역시 마찬가지여서, 祀典정비를 통해 새로운 천하질서를 모색하고 이를 蕃國에 강요하려는 명의 의도는 고려전기의 자주적 의례로 복구하려는 고려의 입장과 서로 충돌하였다. 親明事大를 내세운 조선왕조의 개창은 조-명 관계의 새로운 계기가 되었다. 그렇지만 초창기의 양국관계는 여진족의 주도권 쟁탈로 원만하지 못했고, 그 결과 태조 이성계는 誥命조차 받지 못하였다. 그런데 대조선 강경책을 썼던 주원장이 사망하고 곧이어 叔姪간에 피비린내 나는 내전에 휩싸이면서 명의 대조선 정책은 바뀌었다. 새로 즉위한 혜제는 戰馬를 비롯한 조선의 도움을 받기 위해 서둘러 태종의 고명을 보내는 동시에 조선왕의 위차를 親王으로 높였다. 親王禮의 사여는 명의 外蕃중에서 최혜국 대우로, 조선에 대한 일체의 간섭을 배제했음을 뜻한다. 아울러 문종 즉위년에는 세자의 位次 역시 친왕 세자에 맞추어 인정하였다. 이 과정을 겪으면서 조선의 국가의례는 親王禮를 기준으로 모색·정비되었던 것이다. 대명의례는 양국 사신의 평화로운 내왕과정에서 明禮가 참작되어 제정되었다. 현재 『세종실록』오례와 『국조오례의』에는 명과 관련된 의식이 빈례조와 가례조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고려사』에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의식이 모두 빈례조에 수록된 반면 조선의 빈례에서는 명 사신과의 宴會 및 일본, 유구 등 사신과의 의식들만이 보일 뿐 정작 명과의 사대관계를 보여주는 의식은 가례조에 수록되었다. 빈례와 가례의 구분은 조선왕조의 이중적인 세계관이 국가의례를 통해 드러난 것이다. 가례에 수록된 望闕·迎詔·迎勅·拜表 등의 의식은 황제의 권위를 바탕으로 시행됨으로써 명 중심의 동아시아 세계질서를 인정하였다. 반면에 정작 외교의례인 빈례에서는 명 사신과의 대등한 의식 및 일본, 유구, 여진 등을 대상으로 조선왕의 우월적 입장을 보이는 의식만을 수록함으로써 조선 중심의 세계관을 보인 것이다. Koryŏ-Ming interstate relations began with King Kongmin's struggle to recover Koryŏ autonomy from Yuan rule in dynastic shift from Yuan to Ming. since then, Ming's expansion to the east and Koryŏ's autonomous policy were often confronted. Subsequently, when it comes to state rites, Ming's policy to control its vassals by forcing them to follow degraded code of state ritual, and Koryŏ's struggle to avoid Ming policy delineating Koryŏ's own Koryŏ-centered state ritual code, often confronted each other. This situation went on in the very early stage of Chosŏn too. Chosŏn and Ming both claimed suzerainty over those Jurchen tribes in Manchuria and Chosŏn's founder could not even expect Ming's designation as Chosŏn's legitimate king. However, as the throne of Ming court became threatened by powerful Yen King(燕王) who was a brother of Jianwen emperor(建文帝) and Both side of Jianwen Emperor and Yen King eventually went to a civil war, Chosŏn King could make use of this situation to take better position. Ming Jianwen Emperor sent official designation of Chosŏn king as its vassal and put Chosŏn King into very exceptional position of Imperial Prince(親王) which were given only to emperor's brothers in its sino-centric east asian world order. Giving Chosŏn king Imperial Prince means most-favored treatment for Chosŏn king. According to this, Chosŏn delineated frames of state ritual codes and elevated Chosŏn Kings position. Since then, while both side exchanged emissaries, state ritual codes related to the whole process of receptions for Ming emissaries began to be formulated in Chosŏn. Those codes of rituals for Ming emissaries were included in these two major ritual manuals, Sejongsillok Orye and Kukcho Oryeūi compiled by Chosŏn court. Interestingly, Chosŏn court put only those ritual codes which were directly relevant to the process of receiving Emperor's order, into the chapter of Felicitous rites, and put the rest of those ritual codes dealing with Ming emissaries, into the chapters of felicitous rites which originally deals with the Chosŏn-centered ritual codes for the receptions of Japan, Jurchen, and Okinawa envoys. In this way Chosŏn's ruling elites signifies Chosŏn's own point of view on Sino-centric east Asian world order. Even though Chosŏn admitted Ming Emperor's authority above Chosŏn king, by putting those rituals directly relevant to receiving Emperor's order itself into the chapter of Felicitous rites, at the same time Chosŏn tried to signify Chosŏn king's equal or superior positions over those Chinese emissaries by putting those ritual codes for Ming emissaries into the chapter of Guest rites, just like Chosŏn's ruling elites delineated those ritual codes for Japan, Jurchen, and Okinawa envoys they looked down on, in the chapter of Guest rites.

      • KCI등재

        조선시대 선잠의례와 왕비의 친잠

        한형주(Han, Hyung Ju)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70 No.-

        선잠제는 고대 중국의 『예기』에 기록되어 있고, 역사적으로 사마천의『사기』에 한의 경제 때에 처음 시행된 것으로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에 관료들이 시행하는 의례가 설정되어 있고, 조선에서는 정종대부터 시작되었지만 중국의 사례와 달리 왕비가 직접 시행하는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 선잠제는 누에를 처음으로 키웠던 서릉씨를 제사하는 선잠례와 왕비가 직접 누에치기를 하는 친잠례로 구분되지만 이중 선잠례는 조선초기부터 관료들이 매년 한 차례씩 시행했지만 왕비가 시행하는 친잠은 전체 8번밖에 시행되지 않았는데 그것도 제단이 궁궐밖에 있다는 이유로 중국과 달리 직접 제사를 드리지 않았다. 그나마 유일하게 영조대에 임시로 경복궁에 제단을 만들어 왕비가 제사를 지내고 곧이어 친잠을 했지만 이것 역시 궁밖으로 나가서 의례를 진행한 것은 아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잠제를 선잠례와 친잠례를 구분하여 이것들의 기원부터 조선후기로 이어지는 시기에 어떠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는지 살펴보았다. 『고려사』에서는 선잠제를 지내는 제단을 唐史에 의거하여 만들었고 서능씨에게 제사를 드리는 의례는 왕비가 아닌 太常卿 이하가 제관을 구성하는 신하들의 의례만 기록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제단의 규모를 제후국의 제도로 대폭 축소하여 시행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에 더하여 왕비의 친잠을 처음으로 시행하였다. 성종대에 처음 시행된 왕비의 친잠은 백성들의 누에치기에 모범을 보인다는 명문으로 실시되었는데, 그렇지만 이때에도 궁궐 밖 동교와 북교사이에 위치한 선잠단에 왕비가 직접 가서 제사를 드리는 방식은 할 수 없다는 입장에서 선잠제는 신하들이 대행하는 것으로, 왕비의 친잠은 궁궐에서 시행하는 제도로 각각 구분하여 실시했던 것이다. 정 1품의 신하가 대행하여 제사하는 선잠제와 왕비가 친잠하는 친잠례로 구분되어진 선잠 관련의례는 1767년에 이르러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니, 이때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창덕궁에서 나와 경복궁에서 별도로 선잠단을 만들어 왕비가 직접 제사를 드린 후에 채상단에 가서 뽕잎을 땄던 것이다. 이때의 기록이 남겨진 『친잠의궤』와 『춘간통고』에서는 단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고, 의례에서는 ‘俛伏興’에서 ‘俯伏興平身’으로 바뀌거나. 거가출궁이 설정되지 않고, 고두례를 시행한 것 들이 차이점을 드러나고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왕비의 친잠은 전체 8차례에 걸쳐 시행되었는데, 친참이 시행될 때 반드시 국왕의 친경이라는 의례행위가 수반되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친잠을 시행했던 왕비중에 폐비가 된 사람이 3명이라는 사실이다. 성종대에 시행되었던 두 차례의 친잠은 왕의 친경을 실시한 이후에 시행되었는데, 이중 첫 번째 친잠은 폐비 윤씨가 시행한 것이었고, 연산군, 중종, 선조, 광해군대 역시 왕비의 친잠이 이루어졌는데 연산군의 부인 신씨와 광해군의 부인 유씨는 각각 정변이 일어나 남편과 함께 폐비되었던 것이다. 아울러 숙종때의 오정창의 사건은 친잠을 둘러싼 남인과 서인의 갈등으로 변화하였고, 영조대의 경우 왕의 정치적 업적을 높이려는 의도가 개재되어 있었다. 영조대에는 왕의 노쇠와 젊은 왕비, 세자 등의 정치적 성격이 어우러져 친잠을 시행하는 과정이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itual details of Seonjamje in Joseon Dynasty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period and to find out the political meaning and the trial to strengthen the sovereignty through the ritual. Seonjamje started in ancient China and the ritual that officials performed in Korea is recorded in Goryeosa. In Joseon Dynasty, it began in the era of Jeongjong, but the case of Chinjam which the queen conducted herself was not found. Seonjamje is divided into Seonjamrye,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God, Seoreungssi who raised the silkworm for the first time, and Chinjamrye, in which the queen did the sericultural farming herself. The officials had conducted Seonjamrye once a year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Chinjam was conducted only 8 times in Joseon Dynasty. The queen did not even hold the memorial service because of the reason that the altar was out of the palace. The only case the queen conducted the ritual herself was in the era of Yeongjo. At that time, the temporary altar which was set up in Gyeongbokgung made it possible for her to hold the memorial service and to carry out Chinjam. Chinjam, which was like Chingyeong of the king, was explained to help to strengthen the sovereignty in terms of ideology. In this study, Seonjamje and Chinjamrye are separated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both rituals are investigated from the origin of the rituals to the era of Goryeo, the early Joseon, and the late Joseon. In the early Joseon, while introducing Seonjamje, the memorial service was held through the general understanding by the officials, but if the queen had to hold the memorial service, it was not held because of the issue of her going out of the palace. In addition, the altar was downsized to the size of states dramatically. The situation was changed in the era of Seongjong, so the queen conducted Chinjam but still did not hold the memorial service. The differences of the rituals are investigated comparing the rituals in two eras with Gukjo-oryeui in the era of Seongjong and Chun-gwan-tong-go in the era of Jeongjo.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njam by the queen are studied according to each era. In the era of Seongjong, Chinjam was held two times right after the king conducted Chingyeong, which made Chinjam be considered as the secondary outcome of Chingyeong. In the era of Yeonsangun, Jungjong, Seonjo, Gwagnhaegun, Chinjam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enhancing the political accomplishments of the king. Moreover, in the era of Yeongjo, when Chinjam was carried out lastly, the fact that Chinjam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aging king, the young queen, and the crown prince is studied.

      • KCI등재

        조선초기 왕세자의 국가의례 참여와 그 성격

        한형주(Hyungju Ha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30

        조선시대 왕은 최고 권력자로 국가의 흥망성쇠는 그의 개인적 능력과 품성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컸다. 이 상황에서 다음 대 왕위 계승자인 세자에 대한 교육은 무엇보다 중시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세자교육과 사대부교육과의 차별성을 국가의례의 교육과 실천에서 찾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그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세자교육은 태종?세종대를 거치면서 世子侍講院과 書筵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제도적인 정비가 마련되었다. 세자교육은 경전의 記誦을 통해 과거를 준비하는 사대부 자제들의 교육과 달리 心性 함양과 言動의 規正을 바탕으로 역대 제왕들의 다양한 治亂의 경험을 학습시키는데 중점이 두어졌다. 아울러 초기의 왕들은 어린 세자를 명에 보내 황제가 주재하는 각종 의례에 참여시킴으로써 그의 존재감을 각인시키는 동시에 국제적 감각을 익히도록 배려하였다. 세자의 교육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시되었던 것은 의례교육이었다. 세자의 의례교육은 학습과정에서 필요한 學禮의 습득과 다양한 국가의례에 참여해 정치적 자질을 높이는 체험 학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세자는 책봉된 직후 성균관에서 謁聖과 入學禮를 거행하여 臣民들에게 장차 유교군주로서의 모습을 인식시켰고, 이후 스승과의 일상적 만남을 규정한 師傅相見禮와 書筵會講禮를 통해 훗날 통치자로서의 기본적인 자질을 키웠다. 이러한 학례에서 세자는 一人之下 萬人之上이라는 至尊의식을 내세우기 보다는 스승에게 가르침을 받는 제자의 공손한 모습을 드러냈다. 소년기를 벗어난 세자는 다양한 국가의례에 참여함으로써 예법을 익히는 동시에 군신간의 위계질서를 체득하는 정치학습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세자는 국왕이 주도하는 국가의식에 2인자의 역할을 담당했지만 성년기에 이르면 주도적으로 의례를 주관하고 국정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종?세조 등은 성년기의 세자와 群臣간에는 의례상으로 상호 차별화된 모습이 필수적이라 판단하여 明禮에 근거하여 세자의 南面受朝와 신하들의 四拜禮, 稱臣 등을 강요해 신료들과 갈등을 빚었는데, 현존 『국조오례의』에서는 이러한 모습이 삭제되었다. 국가의례는 대체로 이른 새벽에 종친과 문무백관, 호위군사 등 수 천명의 인원이 정렬한 상태에서 시작되었다. 의식은 엄격한 격식에 따라 장엄하게 진행되었고, 세자는 行禮의 전 시간동안 엄숙한 상태를 유지해야만 했기에 그 교육적 효과는 컸다. 조선시대에는 세자의 국가의례 참여가 반드시 습득해야만 할 엄격한 교육과정인 동시에 훗날 통치자로서 그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시대가 흐르면서 세자의 의례교육은 더욱 강화되어 ‘禮治’의 구현은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contents and political natures of Crown Prince’s rites-education during early Chos?n dynasty. The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for Crown Prince began to be institutionalized from the reigns of King T’aejong to King Sejong. Contrary to common educational curriculums for the ruling aristocrats which focused on preparing the state examination through learning by heart the Nine Chinese Classics, its purpose was mostly for cultivation of the mind and behavior as a future king. To achieve its aim, education program for Crown prince focused on internalizing ideal politics model of sage kings’, and attending the court from time to time was a part of Prince‘s education program too. Accordingly, core of the program for Crown Prince’s education was education on the rites(禮). After receiving the peerage, the Crown Prince entered Sungkyunkwan, the royal college, performed the inaugural ceremony, and then dedicated himself to mastery of Rites of Studying(學(禮) along with the tutors the royal house designated for him. Concentrating on learning Rites of Studying, Crown Prince was supposed to display his civil and humble posture following the models of sage kings. Growing out of his boyhood, the crown prince learned good manners from joining in various state rites and came to learn the natures of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suzerain and subject. In general, he participated in state-level rites representing second highest position of vertical hierarchy topped by the king. However, in such crucial momentums when a king of Early Choson needed to assure his crown prince already had enough qualification and legitimacy for succession of the throne, it was quite common the king ordered his crown prince to lead the rites and administered the affairs of state as a vicarious authority for the throne. Then, this usually created political tension between king’s side and his subjects. On account of this kind of situation, A few kings have tried to come up with new method which would enable the crown prince to have distinctive and higher ceremonial position among all the subjects of the king’s. Consequently, ceremonial rites of Ming empire’s crown prince was borrowed as the ideal model for Choson’s crown prince. Following Ming empire"s case, Choson’s Crown Prince’s position in the rites began to be designed as a symbol of a vicarious authority for the kingship. The Crown Prince of Early Choson came to have his position toward the south(南面) in the rites, to have his distinctive position called with particular title, to have his king’s subjects pay homage to the crown prince himself by defining his kings subjects as his own subjects(稱臣), to have his subjects practice four-bow-rite(四拜) in front of himself and so on. It was clear that Crown Prince"s participation in state rites was a sort of educational and political process which would symbolize his political stature as the proper vicarious authority for the kingship in front of the subjects.

      • KCI등재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Rites and Royal Authority during Early Chosŏn

        Han Hyung-ju(한형주)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9 No.-

        본고에서는 조선초기 국가제례의 정비과정을 국왕권과 결부시켜 그 시대적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교 제례의 제도적인 정비과정과 왕권의 상징성, 天子禮인 祭天禮의 시행여부를 둘러싼 君臣간의 갈등양상, 국왕들의 국가제례에 대한 실제의 참여도 등을 중심으로 태조~성종연간의 국가제례의 추이를 검토하였다. 조선초기의 국가제례는 고려의 예제를 극복한다는 명분하에 중국 역대의 제도, 그중에서도 宋代의 의례를 중심으로 明代의 의례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도적인 정비가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국가제례의 정비는 각 왕대마다 다양했던 국왕측의 제례에 대한 해석 및 국왕 전제권의 표현방식에 영향을 받아 그 방향이 바뀌게 되었다. 조선의 사전은 태종대에 명초의 예서인 『洪武禮制』를 바탕으로 1차적인 정비가 이루어졌다. 그 내용은 諸侯國 체제를 표방하였지만 실제로는 국왕측의 간여로 제후국 체제를 벗어난 경우가 많았다. 세종대에는 『홍무예제』 수용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역대 중국의 ‘古制’를 검토하여 祀典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을 마련하였다. 세종은 禮學의 천착과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국가 의례의 정치적 이용에 소극적이었고, 더 나아가 제천례를 폐지하는 자신감을 보였다. 반면에 쿠데타로 집권한 세조는 천자의 예인 ?丘祭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社稷과 歷代始祖에 대한 親祭를 감행하는 등 天子禮에 버금가는 형태로 예제를 운영함으로써 祀典의 정치적 이용을 분명히 하였다. 『國朝五禮儀』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성종 5년에 편찬되었는데, 당시 편찬을 담당했던 세조대 구신들은 세조대에 시행된 天子禮는 배제했지만 나머지는 세조대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국조오례의』를 완성하였다. 그렇지만 『국조오례의』 편찬에 참여하지 못했던 성종은 이에 대한 불만으로 집권 후반기에 ‘五禮儀’ 개정을 시도함으로써 국가제례는 새로운 방식으로 나가게 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