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년한반도(年韓半島)』를 대상으로-

        문선영 ( Tae Moon Han ),한태문 ( Sun Young M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이 논문은 한국의 근대 매체인 『少年韓半島』를 통해 한국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의 정체성을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 때 중심되는 화두는 `문화`이다. 근대 이행기를 배경으로 한 매체문학을 대상으로 당대 문화 풍속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少年韓半島』는 1906년 11월 1일 창간되었고, 1907년 4월 통권 6호로 종간되었다. 『年韓半島』는 국민정신을 함양하고 신지식을 선도하는 데 발간 목적을 두었다. `민주 정체(民主 政體)`를 새로운 국가상으로 삼고 있으며, 국민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서 무엇보다 `지식`의 습득이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少年韓半島』와 문화의식>은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매체의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다. 연구 대상이 『少年韓半島』인만큼, 문화의 범주로는 아이 또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 일상문화와 기저문화에 주목했다. 여기서 당대 소년들의 삶의 동선과 민족주의 그리고 계몽주의를 통해 당대 문화의식을 도출하였다. 무엇보다 `교육`에 방점을 둔 문화적 풍속도가 두드러진다. 『少年韓半島』는 근대 학지(學知)를 다양하게 소개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삶의 좌표 설정과 문화적 판도를 깨우치게 하고, 나아가 이후 발간되는 『소년』, 『청춘』 등 본격적인 아동 또는 청소년 잡지의 시대를 연 종합지로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이제껏 『少年韓半島』의 원본이 공개되지 않아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학계의 사정을 감안할 때, 본고는 되도록 그 낱낱을 헤아리려 했다. `신대한(新大韓)` 또는 `신대한을 건설할 주체`의 표상으로 `소년`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만큼, 이를 중심으로 근대이행기의 문화 풍속 담론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데 바쳐져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media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in Korea by The Boy Han Peninsula. The topic of discussion is "culture." This paper tries to reflect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in those days making the media literature which are based o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as the object. The Boy Han Peninsula was launched on 1 Nov 1906 and ceased to be published in April of 1907, totally making 6 volumes. It was published in order to cultivate the spirit of the nation and lead the new set of knowledge. It takes the `political body of democracy` as the new portrait of the country, and emphasized that the learning of `knowledge` must be preced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capabilities of the nation. `The Cultural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Boy Han Peninsula` focusedly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media in modern Korea, mainly by the code of `culture`. As its title suggests, its cultural category directs its attention to the culture of ordinary lives of children and juveniles and their subculture. It induces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those days by those predicates of the lives of the boys of those days, nationalism and illumine.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ose days is especially marked by its drive toward education. The Boy Han Peninsula introduced various academic knowledge of modern times to awaken the children to the problem of setting proper coordinates in their lives and to the cultural territory of those days, and performed its role of pioneers who opened up the era of child or juvenile magazines which successively followed up like Boy, Youth and others. As its research object is The Boy Han Peninsula, before anything else, this paper is dedicated to explain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history of the modern ages in Korea as a discourse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by reflecting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at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mainly by children that `Purpose` in the first volume makes `boyhood` stand for, or the symbol of the leader who will establish, the New Great Han.

      • KCI등재

        申維翰의 『海游錄』 연구

        韓泰文(Han Tae-Mo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海游錄』은 已亥通信使(1719년) 파견시 제술관으로 참여한 申維翰의 사행체험기이다. 이 글은 申維翰(1681~1752)의 『海游錄』을 형성 배경ㆍ서술 양상ㆍ내용상 특징 등으로 나누어 살핌으로써 통신사행에 있어서 『海游錄』의 가치를 재조명한 것이다.<BR>  『海游錄』의 외적인 형성 배경은 壬成통신사(1682년) 때 행해진 聘禮制度의 복귀로 인한 己亥통신사의 파견 결정이었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사행 참여의 긍지 및 소중한 체험을 기록하여 보존하고 과시하려는 申維翰의 개인적 욕구에서 비롯되었다.<BR>  『海游錄』의 서술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일기와 시, 잡문 등 ‘다양한 양식의 혼합적 구성’, 둘째 새로운 노정의 숙박지와 望關禮를 행한 날 등을 중심으로 한 ‘중요 사건 중심의 집중적 서술’, 셋째 사행 체험을 보다 객관적이고 생동감 있게 전달하기 위한 ‘寫實的 묘사를 통한 체험의 객관성 확보’ 등이다.<BR>  『海游錄』의 내용상 특징으로는 渡日 전의 부정적인 선입견과 달리 성장하는 일본 문화에 대한 경계와 敬畏의 심정을 담기 시작하는 ‘對日 인식의 양면성’, 민간 구전가요를 樂府詩로 재구성한 데서 엿볼 수 있는 ‘특이한 풍속의 문학적 형상화’ 및 문학을 비롯하여 예능ㆍ생활문화에까지 미치는 ‘문화교류의 다양한 양상 반영’ 등으로 파악되었다.<BR>  이처럼 『海游錄』은 사행체험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申維翰의 작가적 고민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申維翰은 『海游錄』을 통해 文才를 뽐낼 수 있었고, 통신사는 『海游錄』을 통해 한일 문화교류의 전형으로서 제 값어치를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   The HaeYuRok is the Sasinhangcha story of Shin Yu-Han who participated as a Jesulgwan in dispatching Gihaetongshinsa(1719). This paper reonfigured the value of HaeYuRok in Tongshinsa hangcha by dividing the HaeYuRok Shin Yu-Han into the formation background, narration phase, and features in story and studying these.<BR>  The decision of dispatching Gihaetongshinsa caused by return of Bingryejedo(聘禮制度) done during Imsultonshinsa(1682) became external formation background of the HaeYuRok. Internal formation background was caused by the personal desire that Shin Yu-Han wanted to preserve and display by recording the pride of participating Sahang and valuable experience.<BR>  Narration phase of the HaeYuRok is presented mainly in 3 types. First, "various kinds" of compounded composition such as diary, poem, miscellanies, and so on, second, "concentrated narration centered on important event" centered on lodgings of new itinerary and the day of MangGualRye(望闕禮), and third, "Insuring objectivity of experience through description with reality" to deliver experience of Sahang with being more objective and brimming.<BR>  There are features in story of the HaeYuRok, which is different from negative preconception that he had before he visited Japan, those are "ambilterlity of recognition toward Japan" that started to include the precaution against developing Japanese literature and the feeling of fear, "literary form of specific customs" that we can see in reforming private oral-spread songs to Akbushi(樂府詩), and "reflection of various phases in cultural exchange" that influence on entertainment, living and culture with including literature.<BR>  Literary agony of Shin Yu-Han to deliver experience of Sahang efficiently is reflected on the HaeYuRok. as a result, Shin Yu-Han could boast his literature talent through the HaeYuRok, and Tongshinsa won full recognition as a typ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the HaeYuRok.

      • KCI등재

        乙未通信使(1655) 창화시집 『朝鮮三官使酬和』 연구

        한태문(Han Tae mo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6 No.-

        이 글은 乙未通信使(1655) 창화시집인 『朝鮮三官使酬和』에 대해 살핀 것이다. 첫째, 형성배경을 살폈다. 『朝鮮三官使酬和』는 일본 막부의 4대 장군 德川家綱의 襲職을 축하하는 사절인 을미통신사행(1655)에서 조선의 세 사신(趙珩ㆍ兪瑒ㆍ南龍翼)과 일본의 두 접반승(九巖中達ㆍ茂源紹柏)이 사행 노정을 함께 하면서 서로 창화한 시를 모은 것이다. 둘째, 수록 창화시의 현황과 특징을 살폈다. 『朝鮮三官使酬和』는 7언절구 44수, 7언율시 11수, 5언 율시 21수 등 총 65題 76首를 수록하고 있다. 편집체제는 三使의 경우 정사-부사-종사관, 접반승의 경우는 九巖中達-茂源紹柏의 순서로 엮어 위계를 존중하고 있고, 창화한 날짜가 다르더라도 창화 현장의 느낌이 살아나게 贈詩-次韻詩의 순서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 접반승 中達을 중심으로 엮되 對馬島로부터 韜浦까지 상경 노정에서 이루어진 창화시만을 모아 엮은 것이 특징이다. 셋째, 『朝鮮三官使酬和』에 반영된 노정과 내용상의 특징을 살폈다. 첫 노정인 對馬島에서의 창화는 삼사와 두 접반승이 서로 만난 기쁨과 상대의 詩才에 대한 찬탄 및 宿緣의 소중함이, 壹岐島와 藍島에서는 儒者와 佛者로서 상대의 품성에 대한 찬양과 覇家臺를 중심으로 박제상과 정몽주 두 충신에 대한 追慕之情이 두드러졌다. 赤間關에서는 악천후로 지체되는 使行에 대한 조바심과 위로 및 자연풍광에 대한 찬탄이, 上關과 韜浦에서는 翫月의 시흥에 녹아든 同類의식과 盤臺寺의 독특한 생활방식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다. 이처럼 『朝鮮三官使酬和』는 창화시집이 그리 많지 않은 을미통신사(1655) 때 산출되었고,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통신사 三使와 일본 接伴僧의 창화시를 모은 최초의 창화시집으로 이후 『槎客通筒集』(1711)과 같은 통신사-접반승의 창화시집 편찬의 전통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문화교류사적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poetry Joseonsamgwansasuhwa,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Eulmi-Tongshinsa(1655). Firs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Joseonsamgwansasuhwa is examined. Eulmi-Tongshinsa(1655) is a delegation sent to celebrate Tokugawa-Iecheuna, the fourth Syogun of Japan s Bakuhu. Joseonsamgwansasuhwa is a collection of poems created by the three delegates from Joseon, Jo-hyung, Yoo-chang, and Nam-yongik, and the two Japanese monks, Kyugan-Judatsu, Mogen-shouhaku of the Japan, who were in charge of hospitality and guidance and three envoy of Joseon Dynasty. Secondl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in Joseonsamgwansasuhwa examined. Joseonsamgwansasuhwa contains 76 poems in total. The three envoy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shown in order of Ambassador, Vice Ambassador and the Third Ambassador, and Japanese assistant monks, Kyugan-Judatsu, Mogen-shouhaku of Japan. And, although the date of the reply to the original is different, it is rearranged following the right order of consecutive dates so that the reader would feel vividly. In addition, the collected poems are mainly the ones written on the Kyugan-Judatsu, and these poems hav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poetry written on the roads from Tsushima to Tomonoura. Thirdly, the nature of the travel plans and contents that in Joseonsamgwansasuhwa examined. In Tsushima, central points of the pieces were laid on the joy of meeting, the admiration for the each other s poetic tal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long-standing relationship. In Ikinoshima and Ainoshima writings, praise for the opponent and remembrance for Park Je-Sang and Jung Mong-ju were remarkable. Int Akamagaseki, the impatience and comfort of the schedule of being late because of the weather and the admiration for the scenery were prominent. Finally, the pieces written in Kaminoseki show that they shared friendship while they were expressing their admiration of the moon, and the Tomonoura writings show their interest in the uniquely Bandaiji s way of life. Therefore, Joseonsamgwansasuhwa is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exchanged between the three envoy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monks who have not been noticed in the academic world. Its significance is highly appreciated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한객수장』 연구

        한태문 ( Han Tae-moo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7 항도부산 Vol.33 No.-

        이 글은 국립해양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韓客酬唱』의 형성배경과 수록 시문의 현황 및 특징, 그리고 양국 문사 교류의 양상을 살핀 것이다. 『韓客酬唱』은 1682년 새로운 關白의 습직을 축하하는 통신사가 일본에 파견되었을 때 양국의 문사들이 활발하게 교류를 펼친 결과물 가운데 하나이다. 일본 長門州 萩藩의 서기인 山田原欽이 제술관 成琬, 종사관 서기 李聃齡, 부사 비장 洪世泰 등 통신사 문사들과 2차례 필담창화한 내용을 모아 1683년 5월 두루마리로 만들고 『天和二年八月卄有九日韓客酬唱』이라 표제를 달았다. 『韓客酬唱』은 세로 29㎝, 가로 935㎝의 紙本墨書로 한 폭의 두루마리로 되어 있고, 1차 모임에서의 15수, 2차 모임에서의 10수 등 총 25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시의 형식은 서정성을 강조하면서도 짧은 만남에서 빠르게 수창하기 위해 1수만 제외하고 모두 칠언절구로 되어 있다. 『韓客酬唱』의 내용은 크게 1차 모임(8월 29일)과 2차 모임(9월 2일)으로 나눌 수 있다. 對馬島 記室의 소개로 이루어진 1차 모임은 통신사와 필담창화를 원하던 자신의 소망이 실현된 데 대한 山田原欽의 감회와 함께 異國 영재의 文才에 대한 조선 문사의 찬탄이 주된 내용이다. 이에 비해 조선 문사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진 2차 모임은 서로의 文才를 재확인하고 만나자마자 곧 이별해야 하는 아쉬움을 토로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이처럼 『韓客酬唱』은 당시 통신사 문사와의 교류에 대한 일본인의 열망은 물론, 17세기 이후 문학을 비롯한 일본 문화계의 전반적인 성장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교류사적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Hangaeksuchang(韓客酬唱) possessed in the Korean National Maritime Museum,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in it, and the aspects of the exchange of writers in both countries. Hangaeksuchang is one of the results of the active exchanges between the writers of the two countries when Tongsinsa celebrating the enthronement of a new Shogun in 1682 was accredited to Japan. Yamada Fukuken(山田原欽), the scriber of the Hagihan(萩藩) of Japan, gathered the contents of the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ms with Seong wan, Lee Damryeong, Hong Setae, etc, which was made in two meetings and made them into a scroll in May 1683. The number of poems in the first meeting is 15, and that of poems in the second meeting is 25, so there are a total of 25 poems. The form of poetry emphasizes lyricism, but in order to be able to respond quickly in a short meeting, all poems are made of a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except for only one poem. The contents of Hangaeksuchang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meeting (August 29th) and the second meeting(September 2nd). The first meeting arranged by the scriber of Tsushima was mainly concerned with the relief of Yamada Fukuken about the fulfillment of his desire for communicating with Tongsinsa and the praise of Joseon writers for literary talents of an outstanding Japanese gifted person. 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ent of the second meeting made by the request of the Joseon writers are the reaffirmation of each other`s literary talents and expression of the regret that they should soon be separated. In this way, Hangaeksuchang has a significance of cultural exchanges in that it can show the general growth of Japanese culture including literature since the 17th century as well as the desire of Japanese for exchanges with Tongsinsa at that time.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시가문학 -『대한매일신보』를 대상으로-

        문선영 ( Sun Young Moon ),한태문 ( Tae Moon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신문인 『대한매일신보』에 수록된 시가 자료들을 통해 한국 근대 이행기 시가의 정체성을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한 것이다. 이 때 중심되는 화두는 `문화`이다. 근대 이행기를 배경으로 한 시가문학을 대상으로 당대 문화 풍속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 7월 18일 창간되어 경술국치 직전인 1910년 8월 28일까지 간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대한매일신보』 국문판(國文版) <시사평론>란에 실린 `계몽 가사(歌辭)`들을 중심으로 민요, 창가(唱歌), 시조 이외 기타 시가들을 다루었다.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문화의식>은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시가의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다. 문화의 범주로는 일상문화와 기저문화에 주목했다. 여기서 당대 풍속의 동선과 민족주의 그리고 계몽주의를 통해 당대 문화의식을 도출하였다. 이때 전근대와 근현대 사회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이 전제된다. 『대한매일신보』의 시가문학이 한글을 주된 표현 문자로 선택한 것도 당대 문화풍속 담론을 읽어내는 데 이바지한다. 이는 『대한매일신보』 편집진들이 시가문학의 독자를 전통적 지식인층보다는 한글 사용의 일반대중 또는 여성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사회 변화가 대중들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생각들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근대 이행기의 문화 풍속 담론으로 우리 근대문학사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데 바쳐져 있다. This paper is planned and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examining the identity of Korean poetry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from the poetic works appearing in The Korea Daily News. The subject of this discussion of ours is `culture`. It tries to consider the picture of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times having as the object the poetic works depicting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The Korea Daily News was first published in 18 July 1904, and had been published until 28 August 1910, just before Gyeongsul Gukchi. This paper also deals with minyos, changgas, sijos, and other poetic works, centering on `Enlightenment Gasas` appearing in the column of `The critical comments on the current issues,` the poetic works appearing in the Korean edition of The Korea Daily News, which are the object of our study. `The Cultural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Korea Daily News` focused on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Korean poetic works in modern ages. It paid attention to ordinary culture and subculture as the categories of culture. It deduced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the times from the movement track in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times, nationalism, and illumine. It also witnesses the thinking that social changes are brought out from the public. Centering on the considerations delineated above this paper devotes itself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modern ages by the discourses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 17세기 通信使 使行文學의 전개와 문학사적 의의

        韓泰文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1 人文論叢 Vol.57 No.-

        In this paper, I hav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the seventeenth century Tongshinsa-sahaeng literature and its literary historical value, focusing on <Sahaengrok>. The seventeenth century Tongshinsa-sahaeng literature was developed as follows: The first period was the time of negotiation and restoration. In this period, the model for reportage and description was established. The agony of representatives who brought the men captured by Japan to their home was described as a whole. The consciousness of cultural exchange appeared through the creative activity of poetry and prose. The second period was the time of establishment. In this period, there was a diplomatic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Lyricism and inner ability of literature were deepened. Various forms of poetry and prose were used as a means of showing off the writing talent. On the basis of the heightened consciousness of literature, exchange of writers between Korea and Japan was made actively. The third period was the time of stability. In this period, writers from Townsmen(閭巷人) were increased and various experiences expressed in literature. The consciousness toward Japan was changed, and thus the exchange of writers between Korea and Japan was promoted. The literary historical value of the seventeenth century Tongshinsa-sahaeng literature is as follows: First, it made the space of literature wide, diversified writing material and triggered a new understanding of our nature and culture. Second, the experience of Tongshinsahaeng gave Korean pragmatists all chance to undergo it at second hand, and thus to have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ird, the Sahaeng experience of writers from Korea and Japan helped them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other country and to raise themselve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exchange of writ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