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학부생의 상담학과 진학 동기와 성장 경험 :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한지예(Han Jiye),김명찬(Kim Myoungc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성장 과정에서 상처를 받으며 자란 사람들의 상담학과 진학 의미에 대해 탐색하고, 학부 수 준 상담자 양성과정에 어떤 것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시각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두 명의 연구자 중 한 명으로서 학부 상담학과 재학생인 ‘나’의 상담학과 진학 동기와 수련과 정 속에서 경험을 협력적 자문화기술지의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받은 내면을 가진 사람들이 자기치유의 목적으로 ‘상담’을 공부할 수 있으며, 그들의 개인적 욕구를 파악하고, 자신을 돌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자기치유’의 목적으로 상담학과에 진학한 학부생들은 명시적 교육 속에서 혼란을 경험할 수 있고, 개인적 자기 발달 경험이 전문가적 자기 발달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인간에 대해 탐구하고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해야 하는 상담이라는 학문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자기치유의 목적으로 상 담을 공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과정에서 건강한 예비상담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의미 있는 관계적 경험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ies for people who were fragmented throughout their lives and gives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on what is ought to be considered in the training process of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ies. For this study, I, as a “fragmented self”, wrote the motivation that drove me into counseling studies and the experience of the practicing progress using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method. The specific results are following. First, people with wounded hearts can study ‘counseling’ as a means to cure themselves. Through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hat they realize their personal desires and provide themselves with a chance to take care of themselves. Second, students who want to 'cure themselves’ through counseling may experience confusion amongst a clear statement curriculum. However, they are able to know that a personal development experience of self has significant meaning in professional self development. Third, for this reason there needs to be consideration on the 'hidden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ies, a discipline that unceasingly examines human beings and reflects on self. Fourth, provid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people who wish to study counseling to cure themselves that helps them become a healthy pre-counselor is necessary.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y form a meaningful relationship-based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n the viewpoints that educators that teach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should have and the attitude that students who study counseling to cure themselves should take.

      • KCI등재

        리더십 이론의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사회과학 및 교육학 분야를 대상으로

        이은혜(Lee, Eunhye),이승연(Lee, Seungyeon),한지예(Han, Jiyea),진형정(Jin, Hyeongjeong),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2

        이 연구는 지난 10년간 사회과학 SSCI 논문 및 교육학 KCI 논문에서 활용된 105개의 리더십 이론의 실질적 유용성과 이론 간 통합 가능성을 탐색해봄으로써 향후 교육학 및 사회과학 리더십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리더십 이론의 활용도, 잠재성, 특수성을 준거로 이론의 실질적 유용성을 검토한 결과, 105개의 분석대상 리더십 이론 중 소수만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나 수많은 리더십 이론의 존재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이론 간 통합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 집단적 리더십, 분산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공유 리더십 간 통합 가능성과 수업 리더십, 학습을 위한 리더십, 교육학적 리더십, 시스템 리더십, 기술 리더십 간 통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과학 분야와 비교해 교육학에서 나름의 독자적 리더십 이론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교육학 내의 독자적인 리더십 이론 간에도 통합 가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리더십 이론의 발전은 조직이 당면한 복잡한 현실에 대해 높은 설명력과 예측력을 가진 통합적 이론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교육학에서 활용되는 리더십 이론은 국내 교육 현장에서 보다 실용도가 높은 통합적 이론으로 정교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reviews the usefulness and value of numerous leadership theorie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theories. The authors identify 105 leadership theories from SSCI papers in the social science field and KCI papers in Education published from 2011 to 2020 and reveal that only a few theories are valuable in terms of utilization, potential, and specificity. The community detection in the semantic network of the leadership theories shows that instructional leadership, leadership for learning, pedagogical leadership, system leadership and technical leadership are possible to be integrated as well as collective leadership, decentralized leadership, empowerment, and shared leadership are. Furthermore, its own leadership theories rooted in distinctive purposes and context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Education and they turned out to be likely to be integrat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values of numerous leadership theories should be review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ls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theory in the future needs to proceed in the direction of building an integrated theory with high explanatory power and predictive power for the complex reality faced by organizations.

      • KCI등재

        한국 교육복지정책의 전개 및 향후 과제에 대한 고찰 :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을 중심으로

        이수지(Lee, Suji),김새론(Kim, Searon),전주현(Jeon, Jyhyun),한지예(Han, Jiyea),황정훈(Hwang, Junghun),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에 제시된 교육복지와 교육정의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주요 교육복지정책이 정의롭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교육복지정책에 요구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교육정의론』에 따르면 교육복지란 교육정의 실현의 근본적인 출발점으로서 모든 교육대상의 교육적 욕구 충족과 자아실현을 위해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정의의 관점에서 무상교육, 방과 후 학교, 학습부진학생 지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소외 취약계층 지원, 고등교육 학자금 지원 정책 등 6가지 국내 주요 교육복지정책의 운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추후 교육복지정책에 요청되는 과제로 ‘교육소외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복지의 양적 확대’, ‘교육기회의 유의미성 보장을 위한 교육복지정책’, ‘특수요소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복지정책 예산 확충’, ‘수혜 대상 범위에 대한 공감대 형성’,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복지정책 지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정책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교육정의’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교육복지정책이 나아갈 정의로운 방향 제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theoretically contemplated the concepts of educational welfare and educational justice presented in Lee, Don-hee"s 『Theory of Education Justice』, and analyzed whether major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in Korea are operating equitably, presenting the tasks required for future educational welfare policy mak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Education Justice』, educational welfare is a fundamental starting point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justice, providing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fulfillment of educational needs and self-realization of all educational subjects. From this perspective, six major domestic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were analyzed, including free education, after-school support policies, poor student support,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support for the disadvantaged underprivileged, and higher education funding polici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proposed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for the underprivileged’, ‘Educational welfare policy to guarantee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budget to support growth of special demand’, ‘Forming a consensus for the scope of beneficiaries’, and ‘Oriented educational welfare policy for all students’. This study encouraged interest in ‘education justice’ by combin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ee, Don-hee"s 『Theory of Education Justice』 and contributed to the just direction for education welfar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