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개발NGO 교육사업의 현황연구

        한재광(Han, Jae-Kwang),이경신(Lee, Kyung-Shin),신재은(Shin, Jae-Eun) 국제개발협력학회 2010 국제개발협력연구 Vol.2 No.2

        In global societ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 have been actively engaging in addressing various areas of global issue such as environment, development, human rights and health across boards since mid of 20th century. Since 1990s Korean Development NGOs have made effort to contribute to address global poverty and related issues. Education has been one of the main areas that Korean Development NGOs’ have been focusing their efforts on. This paper shows not only the primary contents, such as the size and regions in education Korean Development NGOs have assisted, but also their partnerships with various entities. In additions, it includes type of projects and relations with international education agenda, for instance, MDGs and EF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Korean Development NGOs’ own financial supports (77%) on education have exceeded the supports through ODA to NGO (23%). Second, education projects have concentrated in Asia and Pacific (57%) and Africa and Middle East (41%). Third, the countries were Cambodia, Nepal, Ethiopia, Bangladesh, Vietnam, and Uganda, representing 41% among the total number of education program. Fourth, in terms of project identification,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NGOs and INGO’s branch. Fifth, the Korean Development NGOs have partnership with various local entities. Sixth most the Korean Development NGOs are conducting participatory ways. Seventh, Korean Development NGOs are using 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 their project implementation.

      • KCI등재

        한국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의 대정부 정책주창활동 분석

        한재광(Jae Kwang Han) 국제개발협력학회 202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부를 대상으로 국제개발협력 정책주창활동을 전개해온 시민사회 연대체인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의 자원동원과 집단적 정체성 형성과정을 사회운동론 관점에서 정리하여, 한국 국제개발협력 시민사 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화를 시도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국 연구사회에서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에 대한 연구가 정 부와 시민사회 관계에 집중되는 경향에 비해 시민사회 고유의 특성을 분석하는 이론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시민사회를 설명하는 이론인 사회운동론 관점에서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의 특성을 분석한다. 정책주창활 동을 전개해온 시민사회 연대체인 KoFID를 사회운동론의 자원동원론과 구성 주의 이론으로 분석해 이론화를 시도해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 관련 연구의 심층화에 기여한다. 연구방법론: 사회운동 자원동원론 및 구성주의 이론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해, 자원운동 3단계론과 프레임 구성의 3요소론을 종합한 분석틀을 구성했 다. 이를 기반으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3년간 활동한 KoFID의 홈페이지, 정기총회 자료집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KoFID가 정책주창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잠재력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시민사회, 정부 및 국제사회를 둘러싼 환경 가운데 형성됐다. 또한 기존에 활동해온 시민사회의 정책주창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인력, 재원, 전문성이 확보 됐다. 그리고 기존 네트워크와 개별단체의 정책주창활동 경험과 정부의 적극적 인 정책수행 기조는 정책주창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사회단체의 동기를 제고했다. 시민사회는 정부가 시민사회를 ODA 지원대상 및 정부 정책의 보완자 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져왔다. 또한 정책주창자로서의 시민사회 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집합적 정체성은 참여단체 내에 공유됐고, 이를 바탕으로 KoFID는 구성원을 대표해 정책주창자로서 집합적 행동을 전개했다. 결론 및 시사점: 정부를 대상으로 정책감시와 대안제시를 전개해온, 시민사회 의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 정책주창 운동연대체라는 집단적 정체성을 가진 KoFID의 활동은 사회운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의 정책주창활동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theorize the activities of Korean civil societ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y examining the resource mobilization and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of the Korean Civil Society Forum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KoFID) from a social movement theory perspective. Originality: While recent research on civil societ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focused on government-civil society rel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activities of the KoFID in terms of a social movement theory perspective. Methodology: This study forms an analytical framework from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and constructivism theory and analyzes the KoFID’s website and the materials of its general assembly for 13 years. Result: The potential for KoFID to undertake policy advocacy was well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ivil society, governmen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Civil society’s experience in policy advocacy provided human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and expertise. The experience of networks a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policy advocacy, as well as the government's policy orientation, increased the motivation of CSOs to engage in policy advocacy. Civil society was concerned about the government's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civil society as a recipient of ODA and as a complement to government policies.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need for civil society to play a role as a policy advocate was shared among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Based on this, the KoFID has been implemented collective actions as a policy advocate.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 KoFID has been conducting policy monitoring and alternative proposal activities to the government with a collective identity as a policy advocate by mobilizing the resources of development NGOs and CSOs, inluding their organizations, people, and experience.

      • KCI등재

        개발원조에서의 정부-NGO 파트너십 제도변화 연구

        손혁상(SOHN Hyuk-Sang),한재광(HAN Jae-Kwang)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1

        최근 개발원조분야에서 NGO 역할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네덜란드 ‘공동재원조성 프로그램’은 정부-NGO파트너십 제도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제도가 역사적으로 어떠한 제도변화의 과정을 거쳤으며, 주요인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미진하다. 본 논문은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에 기반을 두고 1965년 ‘공동재원조성 프로그램’의 기원부터 2007년 이후 정착기까지의 제도변화 양상을 아이디어와 행위자 이해관계 중심으로 분석한다. 네덜란드 ‘공동재원조성 프로그램’은 초기에는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진행됐으나, 1990년대 이후 사업효과성과 책무성을 명분으로 하는 국가 관리주의와 2000년대 이후 국제사회의 지배적 원조 규범인 ‘원조효과성원칙’에 영향을 받아 점차 국가 원조정책의 수단 및 정부의 관리대상이 되어갔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변화의 과정이 정부의 일방적인 주도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정부와 시민사회 간 협의를 바탕으로 점진적 제도변화의 형태를 유지했다. The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NGO has highly attracted attention of stakeholder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ociety. Since the 1990s, most of the OECD DAC member countries have institutionalized the government- NGO partnership into a formal aid program and this program has changed institutionally due to various fact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institutional change and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hange by using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pattern of gradual change, the role of idea and the relationship among actors. For the analysis, this paper examines ‘Netherlands Co-financing program’ which is considered the first institutionalized government-NGO partnership program in the international donor society. The research shows that Netherlands Co-financing program was first implemented with respecting civil society’s autonomy; however, since 2000s, the program was treated as a tool of government aid modality based on the idea of the ‘Aid Effectiveness’, which was the dominant policy norm.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과 개발도상국의 시민사회 : 공여국의 베트남 시민사회 지원을 중심으로

        이화용 ( Lee Hwa Yong ),한재광 ( Han Jae Kwang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7 시민사회와 NGO Vol.15 No.1

        1990년대 국가주도의 개발방식과 신자유주의 정책이 비판되면서, 개발영역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이 주목받았다. 2008년 아크라 행동강령을 통해 시민사회단체(CSO)는 `독립적인 개발행위자`로 인정되었다. 서구 공여국들은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위해 자국 시민사회의 지원을 넘어, 민주주의와 굿거버넌스 확산, 빈곤감소, 책임과 주인의식 확산을 위해 개도국의 시민사회를 직접 지원했다. 본 논문은 공여국의 개도국 시민사회 지원에 초점을 맞추어, 지원 목적, 쟁점과 정책적 동향을 고찰한다. 나아가, 개도국의 시민사회 지원이 가지는 의미와 과제를 베트남 사례 분석을 통해 설명한다. 권위주의 정치체제를 가진 베트남에서 시민사회는 `사회우선` 전략을 채택하여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공여자들의 베트남CSO지원은 사회적 서비스 이외에도, 인권과 민주주의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향후 공여자 및 베트남 시민사회와 베트남 정부 간 긴장관계를 형성하는 도전과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현지 시민사회를 지원하는 공여국의 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As the state-dominated development and neo-liberal policies were criticized in 1990s, the role of civil society has been paid attention. Through the Accra Agenda for Action in 2008, international society has acknowledged civil society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s) as independent actors with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Donor countries have supported local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for democracy and good governance, effective poverty eradication and accountability. Focusing on the support for local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examining theoretically aims, main issues and policy trends of the support for local CSOs. Furthermore, we analyze the case of local CSOs support in Vietnam. In Vietnam, which is under authoritarian regimes, local CSOs have served a social service provider by adopting `society first` strategically. But the donors` support for local CSOs has extended to include human rights and democracy. It may be a challenge to cause tension among donors, local CSOs and government in Vietnam. Explicating the significance and task of local CSO support in Vietnam, we inte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donor countries` policy of local CSOs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