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여성들의 연령별 식행동 및 체중조절 관련요인 비교분석

        한인경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도시 여성들의 연령별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와 체중조절 관련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 인천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579명을(10대 110명, 20대 105명, 30대 115명, 40대 142명, 50대 107명) 대상으로 식습관 및 체형인식, 체중조절태도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령별로 비교 분석하여보면 본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대상자들 10대- 50대까지의 여성들 중 특히, 10대와 20대의 젊은 여성들의 경우 식사의 결식율과 편식율이 매우 높았고, 식사의 내용도 바람직하지 못하여 영양소섭취의 불균형, 불규칙적인 식생활 등 전반적인 식습관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해 본 결과 나이가 적을수록 불만족하는 응답자가 많아 실제 체형에 대한 불만족 및 이상 체형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갖고 무리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무리한 체중조절로 인한 부작용 및 이상 식행동 등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들 젊은 여성들이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바람직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체중조절 방법과 섭식장애의 문제점, 균형잡힌 영양섭취 등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과 간호역량과의 관계

        한인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과 간호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C도, G시, S시, C시, H군에 위치한 지방의료원 4곳에서 COVID-19 환자를 직접 간호한 지방의료원 간호사 150명이었으며,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 간호역량에 관한 도구로 구성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8월 26일부터 9월 2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 중 3.91점, 공감능력의 정도는 5점 만점 중 3.30점, 하위영역인 관점취하기 3.30점, 상상하기 3.12점, 공감관점 3.49점, 개인고통 3.25점 이었으며, 간호역량은 4점 만점 중 2.51점, 하위영역인 전문성개발 3.43점, 병동업무처리 3.49점, 대처능력 3.59점이었다. 2)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23∼29세 40.6%(61명), 여자가 93.3%(14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결혼은 미혼이 52.7%(70명), 최종학력은 학사졸업이 74.7%(112명)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다. 3)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 간호역량, 정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정도는 연령(F=4.23, p=.016), 임상경력 (F=3.60,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23∼29세의 간호사가 30세∼39세의 간호사보다 공감능력이 높았다. 임상경력은 5년미만 간호사가 10년 이상의 간호사보다 공감능력이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역량은 연령(F=6.53, p=.002), 결혼(t=2.66, p=.009), 임상경력 (F=6.96, p=.001), 직위(t=-3.99,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0세 이상의 간호사가 23~29세의 간호사보다 간호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인 간호사가 미혼인 간호사보다 간호역량이 높았으며, 임상경력은 10년이상의 경력간호사가 5년미만의 경력을 가진 간호사보다 간호역량이 높았고, 직위에서는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간호역량이 높았다. 4)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공감능력, 간호역량과의 상관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공감능력(r=.24, p=.004),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역량(r=.21, p=.008)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공감능력과 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한 중재개발의 요구된다. 간호사의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연령과 경력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도 공감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프로그램적용이 필요하며, 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령과 결혼여부, 임상경력이 낮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COVID-19 환자와 같은 감염위험이 높은 환자를 돌보는 위기상황에서는 임상에서의 환자간호 상태와는 다른 상황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공감능력 및 간호역량 향상에 관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반복연구를 수행해볼 것을 제안한다.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work competency and empathy of COVID-19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COVID-19 nurses worked at regional public hospital located in H-gun, G-city, S-city, C-city in province C.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survey form consisting of work competency, job stress and empathy abil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26, to September 20. For data processing, SPSS/WIN 24.0 program was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3.91 on the 5-point scale. The mean score of empathy ability was 3.30 on the 5-point scale. The scores for subscales of empathy ability were taking perspective 3.30, imagination 3.12, empathetic perspective 3.49, personal pain 3.25. The mean score for work competency was 2.51 on the 4-point scale. The scores for subscales of work competency were professional development 3.43, ward process 3.49, coping skills 3.59. 2)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40.6% were age of 23~29, 93.3% were women; 52.7% were unmarried; 74.7% graduated from university. 3) The difference in job stress of COVID-19 nurs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 in empathy ability of COVID-19 nurses by age(F=4.23, p=.016), clinical career (F=3.60, p=.030)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urses aged 23 to 29 had higher empathy ability than nurses aged 30 to 39. nurses with clinical career of less than 5-years had higher empathy ability than nurses with clinical career of more than 10 years.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difference in work competency of COVID-19 nurses by age(F=6.53,p=.002), married state(t=2.55,p=.009), clinical career (F=6.96, p=.001), status (t=-3.99,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urses at more than 40 had higher work competency than nurses at 23 to 29. Married nurses had higher work competency than unmarried nurses, and nurs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career had higher work competency than nurses with less than 5 years of clinical career. Charge nurses had higher work competency than staff nurses. 4) These research analytic results indicate that job stress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ability (r=.24, p=.004) and work competency (r=.21, p=.008). An arbitration development is required to reduce nurses' job stress and to increase empathy ability and work competency. Therefore, the program training empathy skills should be developed to nurses of advanced age and with high professional job position in order to enhance nurses' empathy ability. To maximize their work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mpowerment programs to unmarried, young and less-clinically experienced nurses. Crisis situations like taking care of high contagious patients, such as COVID-19 patients, are clinically u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fundamental material to develop arbitration development of nurse's job stress, empathy ability and work competency in infectious disease crisis.

      • 한국어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 <비정상회담> 토론 담화를 중심으로

        한인경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담화에 나타나는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토론은 전략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구어 담화의 한 형태로서 담화표지는 토론의 원활한 진행을 돕고 대화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토론에서는 논리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때 담화표지를 이용하게 되면 발언이 좀 더 명확해진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담화표지가 가지는 담화적·상호작용적·전략적 기능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토론 담화에서 나타난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되 토론의 전략을 반영한 토론 담화표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정상회담> TV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외국인 토론자의 발화에 나타난 담화표지의 기능별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 담화에서의 담화표지 사용의 문제점과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담화표지를 활용하고, 토론 교육에서 담화표지의 교수·학습에 방향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aspect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which is used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in the course of discussion. Discussion is a form of colloquial discourse that strategic interactions take place. Discourse markers act as an effective way to facilitate discussions and perform the functions of dialogue. Particularly, it is of much significance to logically express opinions during discussions. Discourse markers help clarify statements. In this sense, learners of Korean should be taught the discourse, interactive, and strategic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s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ies. By looking at discourse markers that international learners of Korean use while discussing, this paper focuses on how discussion strategies are applied to discourse markers. The study analyzes functional aspects of discourse markers that foreign panels on ‘Bi Jeong Sang Hoe Dam'(Non-Summit Meeting, 비정상회담)’, a Korean TV show, use during discussions. On the basis of analysis, this paper deals with the mistakes and features of discourse markers used in discussions.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c reference for utilizing discourse markers as ways to improve the speaking ability of learners of Korean and building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in educating discussion.

      • '가르침'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한인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가르침의 의미를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가르침'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보고자 하였다. 학교에 존재하는 두 주체는 교사와 아동이다. 아동에 대한 바른 이해와 올바른 성장을 위해 많은 교육 이론이 도입되고 있지만, 아동 중심 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체제에서도 가르치는 교사의 중요성은 약화되거나 무시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 동안 교육의 탐구에서 학습자의 논리와 학습의 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았던 반면 가르치는 교사에 대한 관심은 다소 소홀한 편이었다. 교사의 많은 역할과 업무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학생을 가르치는 일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본연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는 '가르침'의 의미를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즉, '가르침'의 의미를 이론적이고 행동 과학적인 의미로서가 아닌 교사들의 관점과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교사에게 있어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가? 그것이 교사의 삶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교사의 가르치는 행위 속에서 교사 스스로가 느끼고 생각하는 가르침이란 어떤 의미일까? 이 연구는 이러한 본질적인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 위와 같은 질문의 탐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1) 지금까지의 가르침에 대한 대표적 이해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전통적·관리적 접근을 통한 이해, 행동공학적 접근과 인지적 접근, 그리고 실존적·현상학적 접근의 선행 이론들을 살펴보았으며, 2) 현상학적 이론에 입각한 생동적 경험 세계의 분석과 전기적 연구(autobiographical method)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연구 문제의 탐구를 위하여 현직 교사들의 자서전의 내용을 현상학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현직 교사들의 자서전은 경기도와 인천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경력이 다양한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생 32명이 작성한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그 경험담을 현상학에 기본 시각을 두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가르침'의 의미를 교사의 삶과 관련지어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사람들은 교사란 그저 가르치는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당사자인 교사 자신은 아이들에게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이나 그 밖의 지식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가르친다는 일은 교사에게 단순히 생활을 위한 수단이 아니다. 가르친다는 것은 아이들과 함께 웃고 울며 가끔은 분노를 느끼기도 하고 애정을 만끽하기도 하며 교실에서 살아가는 일이라는 것이다. 오늘은 파란 색의 옷을 입고 내일은 붉은 색의 옷으로 갈아입는다 하더라도 나 자신의 본래의 모습은 바꿀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사로서의 모습과 그 밖의 생활인으로서의 모습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교사 자신의 모습은 어떤 변화에도 하나이며 보여지는 모습도 하나인 것이다. 어려운 사회적 여건 속에서도 목숨을 다할 때까지 교단을 떠나지 않겠다는 결심과 좋은 직업을 갖게 됨에 감사한다는 마음의 표현 등은 교사의 역할에 대한 그들의 자세를 알게 해 주었다. 교사에게 있어 가르침의 의미는 교사 자신의 삶 속에서 자신을 깨달아 가는 과정이며, 그 깨달음의 깊이가 곧 가르침의 깊이가 된다. 가르치는 일은 교사 개인의 생활과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삶으로서의 생활일 뿐이다. 교사 자신의 행복은 곧 아이들의 밝은 모습에서 오는 것이다. 교사는 가르침을 통하여 그들의 삶을 밝게도, 어둡게도 조명할 수가 있는 것이기에, 교사는 자신의 거울인 아동들의 밝은 모습을 위하여 오늘도 교단에서 열심히 교사 자신을 보여 주는 가르침을 하고 있다. 교사는 교실 속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eaching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re are two main bodies in schools They are teacher and student. Many theories about student's leading in schools such as, child-centered or learner-centered education, but few about teachers' te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We can't ignore the significance of a teacher in any one. The most important of several roles and duties of a teacher is to teach a stud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eaching through a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the proper role of a teacher who is an object of attention of parents, students, and communities in the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today. That is this study attempts understand the deep meaning of teaching in terms of a teacher and through the view of a teacher, not in terms of theory and behaviorism. This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does it mean to become a teacher and to teach students as a teacher?", "What significance does it have to teach students as a teacher in his or her life?" This study starts from such intrinsic questions mentioned above. As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1) we researched into previous theories about behavior engineering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of understanding teaching), the cognitive approach, and the existential and phenomenal approach taken previously, 2) we researched into an analyzation of dynamic experience based on phenomenal theory and a theory concerning the autobiographical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a method of autobiography of teachers through a phenomenological view. The autobiographies are of teachers who work in elementary schools in Kyung-Ki Do and Inchon, and have diverse experiences, with the help of the professor concerned. In this study, 32 autobiographies of teachers were analysed in terms of phenomenological way of research, and thematized by some collected topics. Although people have usually thought that a teacher is one who just delivers knowledge to students, teachers indeed think that they rather learn from their students while teaching. They don't think that they just delivere the text's contents and other knowledge to students like a robot. Teaching is not a means of living for them, but a part of a whole school life where teachers laugh, shed tears, and sometimes get angry with students and get affection from them. Just as what we are doesn't change even though what we wear changes - blue today, red tomorrow - t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what he is as a teacher and what he is as an ordinary man. Whatever changes it goes through, being a teacher itself remains the same. Many teachers feel thanks for having a chance to teach and hope that they would do their job until life expires, which expresses how important they feel the role of a teacher is. Sharing emotions with children has been a catalyst, increasing the closeness between master and disciple. The job of teaching has become the life itself without notice. They experience they gradually move into the mind of students through the form of teaching. In conclusion, for a teacher the meaning of teaching could be a process where a teacher finds what he is in his life. Teaching is to show the real life of a teacher in the classroom to the students. Teachers see themselves through the mirror of students. Through teaching, teachers can make their lives either dark or bright, so they are showing what they are to their students. For teachers, teaching is a being itself, with children in the classroom.

      •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창작 영역 분야의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한인경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3년 3월 1일자로 고등학교 3학년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 걸쳐 제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음악과 4가지 영역 중에서 창작 영역을 분석하고, 현재 창작 영역 수업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현재 재직 중이신 교사들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창작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한 이유는 음악 교육이 창의성 신장을 목적으로 하며, 음악 교육의 다양한 활동 중 창작 영역이 가장 직접적으로 창의성 신장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다른 영역에 비해 창작 학습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고 교사들 역시 지도상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제 7차 음악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의 창작 영역을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이 창작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들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창작 영역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았다. 고등학교 8종 교과서 중 창작 영역은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를 뒷받침하고 있는지 교과서별로 또한 학습요소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현행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창작 영역 수업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속에 조사된 창작 영역 수업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 과정이 되면서 일주일에 한 시간인 짧은 시수 때문에 창작 영역을 비롯한 음악 수업이 힘들다. 둘째, 학생들의 창작 영역에 대한 기초 이론 지식의 부족으로 관심 밖의 영역이 되어버렸다. 셋째, 교사들의 능력 부족의 이유로 음악 수업 중에 창작 영역을 기피하는 선생님들이 있다. 넷째,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방학 중 연수를 통한 교사들의 창작 영역 수업에의 효과적인 교수 - 학습 방법 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쉽고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교육 과정에 제시된 창작 영역의 하위 요소들이 실제로 교과서에 제대로 구현되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일치점을 찾아야 한다. 여섯째, 현재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해영역과 창작 활동이 따로 되어있다. 따라서 기초적 음악 개념지도 과정인 이해 영역과 창작 활동의 연계성 있는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음악과 수업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창작 영역에 대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형성된 개념에 의한 일련의 창작 활동은 음악에 대한 이해와 원리가 적용됨으로써 의도적이고 의미를 가지는 창작 활동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또한 창작 활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개념적&#8228;경험적&#8228;통합적&#8228;창의적 접근법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외식기업의 문화마케팅전략이 브랜드태도에 따라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인경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식기업에서의 문화마케팅전략이 브랜드 태도에 따라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상호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서울 소재 패밀리레스토랑 이용 유경험 고객 20대~60대 남․여 600(강북, 강남 거주자)명을 대상으로 2011년 6월 1 일~8월 30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외식기업에서는 문화마케팅전략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별 문화판촉, 문화지원, 문화기업, 문화후광이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브랜드 태도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브랜드 태도는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브랜드 태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브랜드 태도는 고객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p<.001) 고객충성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브랜드 태도의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외식기업의 문화마케팅전략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속성 중 문화판촉, 지원, 기업, 후광요인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태도 또한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 또한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외식기업 고객의 브랜드 태도 향상을 위해서는 문화마케팅전략의 하위요인별 문화판촉, 문화지원, 문화기업, 문화후광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고객만족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브랜드 태도의 개선과 향상이 중요함을 나타내주었다. 따라서 이는 외식기업에서의 문화마케팅을 통한 판촉과 지원 등 광고나 영업판촉 수단으로 문화마케팅을 증대시킴으로서 외식기업의 브랜드 태도나 고객만족 및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제임을 실증시켜주었다. 즉, 기업을 홍보하거나 이미지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적극적인 문화활동을 지원함으로서 새롭고 독특한 문화를 상징하는 외식기업으로 포지셔닝 되면서 당해 외식기업이 갖는 문화적 매력을 외식 브랜드에 긍정적으로 각인되는 후광효과를 향유함으로써 결국 고객의 브랜드 태도에 대한 우호적인 전환으로 이어져 종국적으로 고객만족과 동시 충성스런 고객으로 남게 됨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예술심리치료가 "공격성"과 "양가감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권에 노출된 말더듬 아동의 사례연구 중심으로

        한인경 명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of a case study on art psychotherapy for 'A' child who is exposed to multi-cultural area and has stutter symptom, is intended to overcome psychological conflicts that are caused by unstable Mother-Child relations and confusion by multi-cultural environment using various languages, through the means of art psychotherapy, and is written focusing on the changes of "Ambivalence" and "Aggression". Based on the Freud's cultural analysis that individual mentality developing process and the social-cultural psychology process have the similar aspects, this presents the theory concerning aggression and ambivalence in views of depth psychology and social psycholo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ambivalence and aggression, this analyzes M. Klein's "depressive position" concept is used to relate with this case. Also, it descries ambivalence and aggression in Mother-Child relations relating to the sociality. It explains the concept of stutter, the stutter symptom and confusion of one's identity caused by using various languages in a multi-cultural area, and about the parallel use of art psychological therapy and treatment for stutter symptom. For the reasons of stutter symptom, it presents in the child's specialenvironmental background to help to understand the case. Thus, there can be complicated inner psychological conflicts that are from the unique environmental and conditional as an immigrant living in a different culture, this thesis analyzes focusing in the change process of inner psychological parts of ambivalence and aggression. For A child, the individual art psychotherapy was processed with total of 17 art works and sand and play therapy in that the child expressed aggression and ambivalence well enough through the therapy process. This conflicting and confusing inner objective of this child is internalized as a "internal object" through the art psychological therapy to decrease the "aggression"against the inner destruction, and the adverse and conflicting "ambivalence" is changed into emotion of love and gratitude. In conclusion, for the child who is exposed to the multi-cultural area and the use of various languages, in the state of unstable Mother-Child relations, experiences the inner psychological confusion, the non-instructional art psychological therapy makes the child of stutter syndrome to express ambivalence and aggression that were suppressed inside because of the cultural conflicts, so they can be dissolved and for the child to reduce the inner psychological hostility, finally this lets the child to adapt to and accept the new environment and to form a healthy self-ego. 본 논문은 다문화권에 노출이 되고 말더듬 증상을 보이는 A아동의 예술심리치료 사례로서, 공고하지 못했던 초기모아관계와 다양한 문화와 언어사용의 혼란으로 야기된 심리적 갈등을 예술심리치료를 통해 극복 하고자 하며 이를 “양가감정”과 “공격성”의 변화에 초점을 두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개인 심리의 발달과정과 사회문화심리과정은 비슷한 양상을 가진다는 Freud의 문화 분석을 토대로 “공격성”과 “양가감정”에 대해 심층심리학과 사회심리학적입장으로 나누어 이론을 제시하고, 양가감정과 공격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M. Klein의 “우울적 자리”개념을 사용하여 사례와 연관지어 분석 하였다. 또한 모아초기관점의 양가감정과 공격성을 사회성과 연관지어 서술 하였다. 말더듬의 개념, 다문화속에서 다양한 언어사용으로 인한 말더듬과 정체성의 혼란, 예술심리치료와 말더듬 치료의 병행에 대해 서술하여 말더듬 증상의 원인을,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환경적 배경으로 제시하여 사례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즉, 사례A아동이 가지고 있는 이민자로서의 타문화 속에서 겪는 특수한 주변상황과 환경적인 심리내적 갈등이 여러 가지 복잡하게 있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아동이 가지고 있는 “양가감정” 과 “공격성”의 심리내적인 부분의 변화과정에 초점을 두어 심층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사례를 분석 하였다. A아동의 개별 예술심리치료는 총 17회기의 미술작업과 모래, 놀이치료로 진행이 되었고, 치료과정에서 아동의 공격성과 양가감정이 많이 다루어 졌다. 아동 심리내부의 갈등적이고 혼돈된 내적 대상은 예술심리치료를 통해“좋은 대상”으로 내면화 되어 내적인 파괴에 대한 “공격성”을 감소시켜 주고, 적대적이고 갈등적인 양가감정은 사랑과 감사의 감정으로 변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초기모아관계가 공고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양한 문화의 접촉과 다중언어 사용으로 인한 심리내적 혼란을 겪고, 말더듬 증상을 보이는 아동에게 비지시적 예술심리치료는 억압되어 있던 양가감정과 공격성을 표출 시키고 해소하여 심리내적 적대감을 감소시켜 새로운 환경을 적응하고 받아들여 건강한 자아감을 형성해 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포드×예스루비 F1 국화계통의 주요 농업 형질의 유전력 검정

        한인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미, 카네이션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대표 화훼작물이었던 국화(Chrysanthemum) 산업의 축소된 내수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국제 및 국내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좋은 품질의 스프레이 국화 생산이 필요하고 우수한 육종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RDA, 2003). 국화 육종의 자급력을 높이기 위해 품종 개발과 신 형질 개발은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 형질에 대한 중간 모본 확보가 시급하다(Lim, 2016). 따라서 스프레이 국화 내수시장 생산감소에 따른 국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호품종 육성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고 전략적 육종을 위해서는 주요 농업 형질의 유전력 검정이 중요하다. 이 두 지역 간 재배환경에서 형태적 특성들의 변화에 따른 유전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원의 암막 처리가 된 온실과 울산의 자연 재배시설 온실에서 실험하였다. 스프레이 국화 모본 포드와 부본 예스 루비를 교배조합으로 종자번식을 한 F1 16 계통의 200개체를 식물재료로 이용하여, 초장, 줄기 직경, 측지수, 화경, 화심폭, 착화수, 꽃잎수, 꽃목길이, 개화일(50%) 등의 생육을 비교 조사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으로는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통계학적 광의의 유전력(Broad-sense heritability)을 산출하여 유전변이 계수, 표현형 변이 계수 , 유전력, 유전적 진전, 유전적진전율 등의 통계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형태학적 특성별 품종 간 JUMP10 을 이용하여 Tukey와 LSD를 검정한 결과 수원과 울산 두 지역에서 표현형질의 평균값은 매우 달랐으며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위의 자료결과로 유전변이 계수(GCV)는 화경이 12.8%로 가장 낮았으며, 초장이 13.4%로 그다음으로 낮았다. 상대적으로 유전변이 계수(GCV) 착화수가 30.9%로 가장 높았다. 유전력(h^2)은 꽃잎 수가 84.7%로 가장 높았으며, 화경이 80.2%로 비교적 높았다. 상대적으로 유전력(h^2) 꽃목길이가 68.4%로 가장 낮았다. 화경, 꽃잎 수의 형질은 R²0.2952-0.4328 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높은 유전력(h^2)을 보인 꽃잎 수와 화경의 형질들은 유전력 검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품종 포드, 예스루비 F1 계통을 교배조합 으로 한 후대의 유전력에 관한 관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프레이 국화 기호 품종 육성과 전략적 육종목표를 수립할때 중간모본의 실생 선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 된다. Chrysanthemums were one of the most cultivated flowers in the world, along with roses and carnations. In order to revitalize the depressed chrysanthemum market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produce high-quality spray chrysanthemums that meet the demand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buyers by developing excellent breeding techniques. For the development of varieties and new traits to gain better self-sufficiency in chrysanthemum breeding, it is imperative to develop internationally competitive intermediate parents with useful traits. It is important to accumulate data on preferred varietie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chrysanthemums and assess the genetic heritability of major agricultural traits for strategic breeding. To investigate genetic heritability according to changes in morphological features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s of two region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greenhouse with blackout curtains in Suwon and a greenhouse in a natural cultivation facility in Ulsan, Korea. Using 200 individuals of the F1 ‘16’ strain, which was seed-propagated by crossing the maternal parents of spray chrysanthemum, ‘Ford’, with the paternal parent, ‘Yes Ruby’, growth and development were compared. Parameters included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number of lateral shoots, scape, diameter of the flower center, number of flowers per stem, number of petals, length of flower stalk, and number of days of flowering (50%). An analysis of variance and broad-sense heritability were estimated to perform an analysis of genetic coefficient of variation (GCV), ph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genetic heritability, genetic advance, and rate of genetic advance. Using Tukey’s test an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JUMP10 software, morphological features in the two regions were shown to produce different averages of phenotypic traits. Scape had the lowest GCV (12.8%), followed by plant height at 13.4%. The number of flowers per stem showed the highest GCV (30.9%). The number of petals recorded the highest genetic heritability (h2) at 84.7%, and scape had a high heritability of 80.2%. The length of the flower stalk had the lowest h2 of 68.4%. The traits of scape and the number of petals revealed a correlation of 0.2952–0.4328, which, together with a high h2, would affect the assessment of genetic heritability. This study should have predicted the genetic heritability of latter generations crossed by the F1 progeny of ‘Ford’ and ‘Yes Ruby’.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election of intermediate maternal parents when producing the preferred varieties of spray chrysanthemums and can be used to establish strategic breeding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