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어 통발어업의 자동기계화에 관한 연구 - 3 . 모릿줄과 고달이채기의 자동화 -

        정식 한국어업기술학회 1990 수산해양기술연구 Vol.26 No.2

        PP 로프의 유연도와 모릿줄이 사려지는 현상등을 기초적으로 조사한 다음, 반원형 안내판의 회전중심이 편심되도록 고달이채기 레버를 회전시켜 고달이를 자동으로 채어서 이송벨트에 정리하면서, 모릿줄이 고르게 사려지도록 줄받이의 왕복 회전장치 등을 제작하여 실험실과 통발어선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경 10mm의 PP 연심 모릿줄이 양승풀리에서부터 사려질 때 한 코일의 최소직경은 14cm 정도, 줄더미의 직경은 60cm 정도였다. 2. 소형 고달이채기에서 이송벨트의 상, 하 10cm이내에 분포하는 고달이의 비율은, 납이 1개 있는 모릿줄에서는 93%정도이나 납이 없는 모릿줄에서는 98%이상이었다. 3. 감속비가 3:1인 소형 고달이채기에서 레버의 회전수 N 하(1) (rpm)과 양승풀리의 회전수 N 하(p) (rpm)와의 관계는 N 하(p) =2.86N 하(1) +23.74 이며, 양승속도에 대한 고달이의 수평최대 이동속도의 비는 70%정도였다. 4. 보조양승기와 고달이채기를 연계시켜 줄받이를 상, 하로 왕복시킬 경우 모릿줄은 길이 방향으로 고루 사릴 수 있었으며, 고달이채기 레버의 회전과 줄받이의 왕복운동 주기는 고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The rope winder in addition to the line hauler was used for recoiling of the main line to the rope pond at the stern, however, catching the loops, evenly revoiling and arrangements of the loops were done manually by two men. The automatic loop catcher under the rope winder was consisted with the rotary lever, semicircle guide plates, transfer belt and swing rope receiver for arrangements of the loops and evenly recoiling.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inor diameter of a loop and the diameter of the coiling pile in a lead core PP rope(ø 10mm) are about 14cm and 60cm while the rope is piled on the bottom. 2. Distribution ratio of the loops within upper or lower 10cm from the transfer belt is 93% with a lead sinker and 98% without sinker using by the smaller loop catch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revolutions of the rotary lever N sub(1) (rpm) and the hauling pulley N sub(p) (rpm) by gear ratio 3:1 in the smaller loop catcher is as follows: N sub(p) =2.86 N sub(1) +23.74 and optimum ratio of horizontal speed of the loops by the rotary lever to hauling speed is about 70%. 4. The rope receiver is swung front and rear for the evenly recoiling and its period can be controlled by gear ratio or hydraulic circuit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of the loops

      • KCI등재

        1960년대 북한소설의 철도 모빌리티와 젠더 표상 : 식민지 대중동원 텍스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애 ( Ha¸ Shinae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2

        이 글의 목표는 장덕조의 「출발하는 날」(1943) · 최정희의 「야국초」(1942)를 비롯한 식민지 대중동원 텍스트와의 비교 분석 하에, 김병훈의 「‘해주-하성’에서 온 편지」(1960) · 「길동무들」(1960) · 권정웅의 「백일홍」(1961) 등 천리마 시기 북한 대표소설에 나타난 철도 모빌리티의 성별 상징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제국의 전시 동원체제와 마찬가지로, 북한문학에 나타난 철도 모빌리티는 국가적 건설을 뒷받침하는 공공 운송 수단이자, 인민들을 “앞으로 떠밀어” 조국의 미래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한 독려의 표상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천리마 운동은 “남녀 차별이 있을 수 없는 새조선의 평등함”에 따라 철도 건설 및 노동 현장에 여성 인력을 배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전시 동원체제 이래 지속되어 왔던 젠더 위계 구도를 전적으로 탈피할 수는 없었다. 이 글에서는 선전영화 · 노래 등의 텍스트를 참조함으로써 식민지 시기/천리마 시기 대중동원 캠페인의 양상을 폭넓게 규명하는 한편, 식민지 대중동원 텍스트와의 비교 하에 1960년대 북한소설에 나타난 철도 모빌리티 및 젠더 표상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1) 전후 복구 및 경제 건설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던 북한의 대중동원 캠페인 하에서 여성이 어떠한 위치성을 확보했으며, 2) 천리마 시기 소설들은 캠페인의 노선 위에서 항구적 위상을 획득하거나 사라지는 남성/여성의 신체를 어떤 식으로 형상화했는지를 고찰했다. 작품 속에서 미래 지향적 운동성을 선보이는 남성들의 물적 · 정서적 토대로서 배치되어야 했던 북한 여성들은 역할을 완수한 이후에도 모성성이라는 ‘규범적 장소와 시점’에 고정되거나, 부동(不動)하는 식물-자연적 상징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남성 주체와 다른 귀결점에 머물러야 했던 여성 캐릭터에 관한 연구는 북한 대중동원 캠페인의 젠더 정치를 포착하는 한편, 북한 문학의 탈식민성을 고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gender symbolism of railroad mobility in North Korean fictions during the Chollima period, such as Byeonghoon Kim's 「Letters from ‘Haeju-Haesung’」 (1960), 「Fellow Travelers」 (1960), and Jeongwoong Kwon's 「Garden Zinnia」 (1960),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lonial propaganda texts, including Deokjo Jang's 「The Day of Departure」 (1943) and Jeonghee Choi's 「Wild Chrysanthemum」 (1942). Just as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of the empire, railroad mobility in North Korean literature served as a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that supported national construction and as a symbol of encouragement to “push forward” the people to move toward the future of the company. However, although the Chollima movement assigned female workers to railroad construction sites under the slogan of “the equality of a new Joseon with no discrimination between men and women”, it was unable to completely break away from the gender hierarchical structure that had existed since colonial times.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the mass mobilization campaign during the colonial period/Cheollima period are broadly identified through texts such as propaganda films and songs. And by focusing on the railroad mobility and gender representation shown in the above North Korean fictions, this article analyzed 1) what position women secured under North Korea's mass mobilization campaign to achieve the goal of post-war recovery and economic construction and 2) how fictions in the Chollima period has embodied male and female body that acquires permanent status or disappear on the line of the campaign. In the literary works, women placed as the material and emotional foundation for men advancing into the future on the train had to be fixed in the ‘normative place and viewpoint’ of motherhood or transformed into immovable plant-nature symbols even after they completed their roles. As such, the research on female characters in the Chollima period's literacy that stood them at a different conclusion from the male subjec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tches the gender politics in North Korea's mass mobilization campaign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examining the postcolonial natu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류형선(Ryu, Hyung Sun),주현(Hah, Juhyun),이병임(Lee, Byung L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ability(high or low)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high or low) on group creativity. The 4 experiment groups were composed of the decision-making ability(high or low)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high or low). The subjects are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n=237). Total 47 team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data i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by SPSS 14.0.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mai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s significant, which is F=15.84, P<.001, but the main effect of decision-making ability and the interactive effect of decision-mak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re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는 수도권 내의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교 재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집단은 의사결정능력 상·하, 대인관계능력 상·하로 구분하여 4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의사결정능력 상·대인관계능력 상인 집단 11팀(64명), 의사결정능력 상·대인관계능력 하인 집단 10팀(47명), 의사결정능력 하·대인관계능력 상인 집단 13팀(62명), 의사결정능력 하·대인관계능력 하인 집단 13팀(64명)으로 총 47팀(237명)의 피험집단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효과는 검증되었으나, 의사결정능력의 효과와 두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의 창의성이 높은 집단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제시함과 동시에 연구를 통해 추출된 요인의 효과까지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신체제(新體制)’ 성립 전후의 한국근대문학 연구방법론 고찰

        재연(Ha Jae-youn)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신체제 성립 전후의 국민문학 또는 친일문학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한국근대문학 연구의 주요한 쟁점으로 부상하였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참조하면서 특히 이태준의 〈농군〉을 둘러싼 논쟁의 추이를 살피는 방식으로 이 시기의 문학연구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김재용의 논의는 기존의 근대문학 연구사에서 민족주의 담론의 시각이 문학사적 ‘사실’에 가한 폭력적 왜곡을 교정하고 협력과 저항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김재용의 〈농군〉 해석은, 스스로 범주화한 ‘협력’의 범위 안에서 이태준을 배제하고자 하는 욕망이 작품 내부의 협력적 논리를 애써 무시하는 데 이르고 있음을 보여 준다. 김철의 논의에 이르러 〈농군〉은 이 시기 문학의 협력과 저항, 또는 식민과 탈식민을 가르는 연구자들의 입장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작품으로 호출된다. 그러나 농군이 ‘오족협화’ 슬로건의 구현을 드러내고 있다는 그의 결론은 이태준의 기행문과 비교해 보아도 지나치게 비약적이다. 하정일은 앞선 〈농군〉 논의를 이어받아, 〈농군〉의 자민족 중심주의적 태도가 식민주의에 긴박된 그림자를 보여주지만 그것이 식민주의 자체와는 엄연히 구별된다고 반박한다. 그런데 하정일의 담론적 기획이 〈농군〉에서 탈식민적 저항을 읽어낼 때 만주로 이주해 간 조선 농민의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삶의 복합적인 내부는 균질화되어 버리고 만다. 〈농군〉의 서사는 ‘대동아공영권’과 ‘오족협화’를 내세우며 만주 개척을 장려했던 당시 일제의 국책 사업의 논리에 포획될 위험을 갖고 있다. 당시의 농민들 또한 이 포획의 진영 안에 존재했으며, 〈농군〉은 정치적인 의도의 차원을 넘어서는 영역에서 그러한 피식민지인들의 복잡한 삶의 내부와 현실적 처지를 미학적으로 간취할 수 있었다. 〈농군〉을 통해 볼 수 있는 이태준의 시선은 오족협화의 이념이 아니라, ‘일본 제국주의’와 ‘중국 영토’라는 ‘이념’과 ‘실체’ ‘사이’에 놓여 있는 만주 이주 농민들의 처지를 재현하는 것이다. Recently, crucial issue is emerged in Korean modern literature, which is the study about National literature or Pro-Japanese literature around the era of forming New System. Through reviewing recent treatises originated from the issue, this essay focuses on the arguments around Yi Tae-jun's Peasant to speculate literature methodologies about New System era. The arguments of Kim Jae-yong is meaningful reference since it revises the distortion of literature historic facts generates from nationalistic discourses which is hegemonic in established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Whereas, to exclude Yi Tae-jun from his own category, 'Collaboration,' his interpretation of Peasant is rather deliberate disregard for the logic of collaboration immanent in it. To arguments of Kim Chŏl, Peasant is called again as the milestone clarifies the differential academic position among the researchers of the era between Collaboration and Resistance or Colonial and Post-Colonial. And he concludes it is the implements for the propaganda, 'Gojokyokai.' However, from comparative research with Yi Tae-jun's Manchurian travel literature, his conclusion is rather in want of referential documents. Succeeding previous arguments about Peasant, Ha Jŏng-il argues that the ethno-centrism of Peasant is shaded by colonialism but this is the another thing from colonialism itself. Although, there is jeopardy for the compounded multilateral life of Manchurian immigrating Choson peasants is homogenized to follow his analysis of Post-Colonial resistance from Peasant in his scheme. The narrate of Peasant is controversial since it could be captured in inner logics by Japanese policy, 'Great East Asia Prosperity Sphere' and 'Gojokyokai' which encourages Manchurian developments. Imaginably, peasant of this era could be captured within Japanese colonial logics. If Peasant has aesthetical accomplishments, its mimesis should be lay beyond political intents, which represents multilateral and real life of colonial peasant of the era. As the writer, the regard of Yi Tae-jun does not designate the ideology of Gojokyokai but the mimesis of realities which of Manchurian immigrating peasant, in the incongruousness between the ideology of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actuality of Chinese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