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말 식민지기 동래지역 기영회의 사회활동과 경제기반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8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social activies of Guyyoungheoi, which is Dongnae County’s old aged group and economical foundation that support these activities. In this study, I especially gave attention to economical foundation of Guyyoungheoi. This is because even though Guyyoungheoi carried out massive project such as founding and running school, there was no revealed concrete finance. This financial foundation connected to authority secure of old aged group, which was important for them to create tradition in colonial era. So study focusing on correlation between Guyyoungheoi’s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al foundation will contribute to revealing Guyyoungheoi’s role and status in colonial era. As you know, Guyyoungheoi founded Dongmyuong school, which is now Dongnae high school, and switched to public school. This gave foundation of elite produce to Dongnae county society. Also Guyyoungheoi organized Sungeuigae(崇義契), which organized rituals of local society so that they could actively intervene to ancenstral rites. Although in 1920, numerous financial and social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none of them could replaced activities and position of Guyyoungheoi in local society. Meanwhile, Guyyoungheoi organized Sokyoungheoi to respond to new change of modern for Youth. Guyyounghoi would surely be target of criticism because colonial Youth meant leading intellectual that take on the era. Guyyounghoi show respond toward this change by organizing Sokyoughoi. The reason why Guyyounghoi was able to continue educational service and other activities is their ecological foundation. If we look at financial structure and operation of Guyyounghoi, income was mainly founded by land, and outcome was used in various way related to Guyyounghoi’s activities. Also, Guyyounghoi actively involved in and financially supported local events. And local ritual could be authorized by local resident because of special finance. Due to an ageing society, attention toward to old age was increased. In this side, research about sociocultural role of old aged group possibly provide new prospect in discourses about aging society. 이 연구는 한말 식민지기 동래 지역 노년 연령집단인 기영회의 사회활동 및 이를 뒷받침한 경제 기반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기영회의 경제 기반에 중점을 두었다. 기영회가 학교 설립 및 운영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재정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기영회의 사회활동과 경제기반과의 상관관계에 주목한 이 연구는 식민지기 노년연령조직인 기영회의 역할과 위상을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영회는 현재 동래고등학교의 전신인 동명학교를 설립하고 이후 공립학교로 전환하였다. 그리하여 동래지역사회에서 근대 엘리트를 배출하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기영회는 숭의계를 조직하여 지역사회의 의례를 조직화하면서 식민지기에도 계속해서 제사에 필요한 재물은 물론 제사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한편 한말 식민지기 ‘청년’은 그 시대를 담당할 새로운 지식인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과거 전통의 상징인 기영회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한말 식민지기 ‘청년’이라는 근대의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여 기영회는 청년 단체인 속영회를 조직하였다. 이렇듯 기영회가 교육사업과 또 다른 사회활동을 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경제기반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기영회 조직의 재정구조와 운영을 잘 보여주는 『기영회정일기』를 통해 근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기영회의 경제적 출자를 알 수 있다. 기영회의 주된 수입은 토지에서 마련되었고, 지출은 기영회의 활동과 연관되어 다양하게 나타났다. 기영회는 지역사회의 각종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경제적으로 후원하였으며, 지역사회 의례는 별도의 재정을 마련하여 주관하고 뒷받침하였다. 이 같은 재정 기반은 지역사회 노년 연령집단의 권위 확보로 이어졌고 이것은 식민지기 이들 집단이 전통을 창출하는 데 중요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근대 이후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여 기영회가 지역사회에 중심으로 등장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해 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식민지기 지역 엘리트들의 동향을 전근대와의 상관 관계 속에서 자리매김하는 새로운 시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언양 일원 천주교 관련 기록물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This study is a suggestion to build up digital archive of Catholic records, centrically Unyang church, for one way to preserve and use records about Unyang’ Catholic records. Up to now, this research launched to make using records related to Unyang’s Catholic easy. So, we started to discuss works for conversing source book of Unyang, Milyang and Dongnae’s Catholic researches into digital archive. To do such a work,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Unyang Catholic records, and then we examined means and value of various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So, we suggested the needs of building archive by revealing that this kinds of records are valuable for revealing shape of this local’s Catholic embrace by comparing records and oral tradition of shape of Unyang’s Catholic embrace. Furthermore we suggest budget support and man power supply for building digital archive, which is base of providing these records through online service. These Catholic records of Unyang is not just important as history of Catholic believers, but also important for public records which show tradition and modern of Korea. And we have to make Unyang Church the place of memory by identifying needs to build archive related to original records of tradition and modern-comtemporary era. And we hope spreading other discussions about local Catholic by using this. Taking this opportunity, We want peopl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Unyang’s Catholic records as a ‘public records’ and we look for start of discussion for building archive based on Unyang Church and Unyang local society. 이 연구는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한 방안으로써,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천주교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할 것을 제언한 것이다. 현재까지 언양 지역 천주교와 관련하여 수합한 각종 기록물들을 쉽게 접근하여 활용하려는 구도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언양과 그 일원인 밀양, 동래 지역의 천주교 관련기록물의 1차 정리 작업인 자료집 간행을 기반으로 이것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하려는 작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언양 지역 천주교 기록물이 조사 수집 보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어 고문서와 고문헌 등 각종 기록물의 가치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기록물들이 언양 지역 천주교 수용 시기와 수용형태 등과 관련한 구전 내용의 비정과 이 지역의 천주교 수용과 수용자들의 모습과 형태를 밝힐 수 있는 소중한 기록물임을 드러내었다. 나아가 오프 라인에서 확인될 수 있는 이러한 기록물을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지원 및 인력보충에 대한 문제도 제언하였다. 이러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은 단지 천주교 신앙인의 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과 근대를 보여주는 ‘공공기록물(public records)’로서 무엇보다 소중하다. 따라서 이미 간행된 종이 인쇄본 형태의 자료집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와 근현대의 기존 자료들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천주교 관련 기억의 장소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계기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을 ‘공공기록물’로서 그 소중함을 인식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자를 비롯한 ‘언양성당’, 그리고 언양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시작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기 醫生 김태일의 생애와 先代의 동래 이주

        손숙경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lives of modern professional workers during Japanese colonized period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m through doctor Kim Taeil's family history who moved to Donglae from Seoul in 18th century. In addition, this thesis found that the premodern legacy was affected in an individual person who lived stable life even in a huge wave of change. The Kim family lived in Donglae since their ancestor Kim Heng Woo moved from Seoul because he was related with political affairs. His family is Andong Kim military family. Later the family moved from Donglae to Yangsan and his descendents also lived in Yangsan or Dongla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fter inhabiting Donglae they didn't move back to Seoul even though they had some chances to move to Seoul. Kim Tai Il had two occupations. He achieved a doctorial certification in 1914 and he worked as a doctor under the colony government's permission. Before that, he was a land surveyor after graduating of a Survey technology school and earned a certification in 1909. Kim Tae il adjusted and responded faster than anybody else to the new medical student system as a part of colonized policy. This fact shows his choice of carrier is not just because of colonized government allure but his own choice according to his purpose. Kim Tae il recorded his family genealogy not to forget their ancestor's difficulties caused by political affairs related with central government This influence to his descendents to keep living in Donglae region where their successful lives based. Lastly, this thesis also designed to reveal that the family history of Kim Tae il shows specifically how the memory and legacy of a family influenced to each individual family member during the change of modern government system. 이 연구는 18세기에 한양에서 동래로 이주한 안동 김씨 가문의 구성원인 의생 김태일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선대와 자식들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한말 식민지기 근대 직업인의 삶과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더불어 격동기에 근대직업인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아 온 한 개인의 삶에서 전근대의 유산이 작동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김태일의 가계가 동래에 거주한 것은 18세기 그의 선조인 김흥우가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한양으로부터 이주하면서부터이다. 김흥우는 안동 김씨 武任가문으로 이후 동래에서 양산으로 이주하였고, 그의 후손들도 양산과 동래로 거주지를 옮기면서 세거하여 왔다. 동래에 이주한 이후 중앙으로 다시 이거할 기회가 있었지만 안동 김씨들은 지속적으로 동래에 거주하기를 선택하였다. 김태일은 한말 식민지기 변동기를 거치면서 두 가지 근대 직업군의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하나는 1914년 의생면허증을 획득하여 식민지 정부의 허가 아래 의생으로서 직업을 영위한 것이다. 나머지 하나는 1909년 측량사무소를 졸업하여 측량기술면허를 획득한 다음 의생 이전 측량사로서도 활동한 것이다. 이같이 김태일은 식민지 국가의 정책적 산물인 의생제도에 누구보다도 빨리 대응하였다. 이것은 의생으로서 직업 선택이 식민지 국가의 일방적 포섭이 아닌 김태일 개인의 능동적 선택이었음을 말해준다. 김태일은 선조들이 중앙의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피해 받은 기억을 망각하지 않도록 世譜를 작성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기록해두었다. 이것은 후손들이 동래 지역을 기반으로 입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작용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이 연구는 근대 변동하는 새로운 국가 시스템에서도 가계의 기억과 그 유산이 가계의 구성원에게 작용되는 구체적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20년대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 결성과 그 의미

        손숙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As a result, this research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revealing action of catholic dealing with youth movement and its’ lower part, women movement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 in early 1920s. Also,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meanings of youth movement and women’s movement in history of Catholic movement.This research aims to study meaning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of colonial era by defining organize and activities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through records descended in Unyang Catholic church. We could identify a purpose and activities of community Catholic women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member who run the organization specifically by this research.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found in 1923 for growth of Catholic, and shared activities with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A women’s movement developed by groups that characterized by ‘new women’, ‘madam’ in 1920 was co-worked with youth movement, and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also identical with this stream. Organize of Catholic women association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showing intersection of women’s movement and young men movement in 1920s. In late 1920’s to early 1930’s, Korean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separated into middle aged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took charge of guide boys and girls. This shows that Catholic organization corresponded with division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s youth movement to boy movement. The reason why Unyang, which is not a metropolitan, could have organizations like Catholic women association and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was that there were a lot of faith community since early accommodation of Catholic. And another reason was that there were powerful influences of Chundogyo, which preoccupied women movement and youth movement in Unyang. In this social mood, Catholic also dealt with this mood by organizing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women association. 이 연구는 식민지기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활동을 언양성당에서 전승되는 기록물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이 시기 언양지역의 가톨릭부인회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가톨릭부인회 조직의 목적과 활동 및 이것을 운영한 구성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언양천주공교부인회’는 1923년 천주교의 발전을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며 ‘언양지방천주공교청년회’와 연동되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초반 ‘신여성’ ‘신여자’ ‘부인’으로 표상되는 집단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운동과 ‘부인’단체의 결성은 당시 청년운동과 연동되어 전개되는데,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도 이러한 흐름과 같이 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은 1920년대 여성운동과 청년운동의 교착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1920년대 말 1930년대 초 즈음 한국 가톨릭부인회는 중년부인회와 여자청년회로 분화되고, 여자청년회 단체는 그 하부에 있던 ‘소년소녀’를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것은 여자청년회의 하부에 소년소녀 단체가 조직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개신교와 천도교 계열의 청년운동에서 소년운동이 분화해 나가는데 대해 적극적으로 조응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도회지가 아닌 주변부 지역인 언양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청년회와 부인회 등 평신도 조직들이 빨리 결성된 배경에는 언양지역이 천주교 수용초기부터 이후 이어져 온 많은 신앙공동체의 형성과 함께 부인운동과 청년운동을 선점한 천도교의 영향력이 강했던 지역사회 분위기도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천주교에서도 청년회, 부인회를 조직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듯 언양의 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이 연구는 1920년대 초반 개신교와 천도교의 청년운동과 이것의 하부운동으로 전개된 부인운동을 의식한 가톨릭의 조응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1920∼30년대 청년운동과 여성운동 나아가 가톨릭 운동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말 식민지기 동래 지역 회동마을의洞中 조직과 역할

        손숙경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3

        이 연구는 회동마을 동중 조직과 역할을 한말 식민지기 새로운 변동과 관련하여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오랜 역사를 가진 동중이 근대 전환기에 어떻게 대응하고 그 역할은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회동마을에는 동중 관련 기록물 외에 1920년대 결성된 청년회 문서들도 전승되고 있는데, 이것은 매우 보기 드문 사례이다. 특히 회동마을이 향반 마을이라는 사실도 중요한데, 이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근대 변화에 빨랐던 읍치와 비교하여 읍치 바깥에 위치한 향반 마을들이 한말 식민지기 새로운 지역 통치와 정책 속에서 대응하는 실상을 재현하는 데 중요할 것이다. 회동마을의 동중은 조선후기에 결성된 후 1907년에 재조직화가 이루어졌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새로운 조직화와 더불어 과거와 결별하는 일종의 의례까지 거쳤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그 전의 문서는 모두 없앴는데, 이것은 이 시기 다른 많은 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이미 1895년 이후 중앙정부에 의하여 크고 작은 변화가 이어졌는데, 특히 동중이 새롭게 재생하는 것은 삼림법 제정 이전부터 추진된 임야 조사 등에서 비롯된 긴장이 중요했다. 마을의 공동 소유인 마을 산림이 자칫 개인의 사적 점유물이 될 수 있다는 주민들의 위기 의식은 동중의 재조직화로 이어진 것이다. 이것을 계기로 마을 산림은 식민지 정부의 세금 납부 항목에 올라 제도의 자장에 편입되었으나, 동시에 이곳의 수입은 동중의 주된 수입원으로서 동중이 마을의 구심점 역할을 지속하는 토대가 되었다. 한편 향반 마을인 회동마을에서 청년회가 결성되어 활동한 것은 1920년대인데 동중을 재조직화하여 새로운 변화에 대응한 것은 1907년이다. 시기적으로 동중의 재조직화가 이른 셈인데, 그동안 많은 연구들은 근대 이후 청년들의 역동성만을 주목하여 왔다. 이 점에서 양자 사이의 역할 분담과 더불어 균형을 유지하고 있음을 강조하는 이 연구는 한말 식민지기 이후 지역의 다양성과 더불어 변화와 지속 사이의 관계도 동시에 논의하여야 함을 일깨워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organization and role of Dongjung(洞中,village association) in Hoedong Village about the new changes from Great Han to colonial Korea, 1945. In addition to the Dongjung-related records, a Youth Association document formed in the 1920s is handed down in Hoedong Village, which is rare. In this study, it is intensively discussed how Dongjung, which has a long history, responds to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nd what its role is. In particular, Hoedong Village is one of the local elite village, which will be important to discover the reality that a local elite village located outside county seat responded to the new local rule and policies from Great Han to colonial Korea, 1945, compared to county seats, which were relatively fast to the modern change. Dongjung of Hoedong Village was formed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re-organized in 1907.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went through a kind of ritual to break away from the past along with a new organization. Since 1895, the central government has sustained major and minor changes. Among them, especially, the new regeneration of Dongjung was important due to the tension caused by the forest survey conducted before the enactment of the Forest Law. The residents' sense of crisis that the village's common property, the village's forests, could become private property at any moment led to the reorganization of Dongjung. As a result of this, the village forests were included in the tax payment items of the colonial government and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The income here became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Dongjung,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Dongjung to serve as the center of the village. It was in the 1920s that the Youth Association was formed and acted in Hoedong Village, a local elite village, and it was in 1907 Dongjung was reorganized to respond to new changes. In other words, the reorganization of the Dongjung was earlier than that of the Youth Association, but many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the dynamics of young people of the modern era. In this respect, this study, which emphasizes the maintenance of balance with the sharing of roles between the two sides, will remind u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and persistence should be discussed as well as regional diversity after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 KCI등재

        19세기 후반 식민지기 관우 숭배의 확산과 쇠퇴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5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and its meaning of the worship of GwanWoo, focusing to the decline during the colonial period. Since the worship of GwanWoo was introduced when Japanese invasions of Korea broke out, it had been widely spread and reached its height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Although the ritual of the worship of GwanWoo tended to governed as state ritual, it disappeared rapidly after it was considered as folk religion for a while. This was related to the fact many organizations dedicated exclusively to GwanWoo, which were only sponsoring bodies, took the lead at the ceremony, forming the religious organization, Gwan-sung Taoism,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formal protection of Joseon dynas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Meanwhile, china's power to influence other nations in east asia became slight as historical and cultural symbols through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Indigenous religions based on nationalism began to be diffused instead. Whereupon the worship of GwanWoo already lost its place to support elite groups around the end of dynasty in spite of its diffusion and decisive roles in public rituals. The worship of GwanWoo couldn't maintain the bedrock of its support against the new religions from western nations such as Christianity after failing to keep its sponsors satisfied. Moreover, modern perspectives on the worship of GwanWoo was directly concerned in a direction of colonial Korea. Mass media, especially news media strongly criticized the worship of GwanWoo regarding the belief as a superstition. Many intellectual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lso considered the worship as superstitious religion and by-product of toadyism because it integrated into folk religion relating to the policy of disruption of superstition occurred in Japan in the 1930's. Christians believed that because the belief of GwanWoo was a superstitious thing, it must be disrupted and firmly excluded for modern society. Therefore the disruption of superstition conducted by Christianity was important as not only the matter of religion but also the way for modernization. This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made the belief of GwanWoo unsustainable much longer. And these perceptions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the belief of GwanWoo as a background.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이후 급격하게 확산된 관우 숭배가 한말 식민지기를 거치면서 쇠퇴해가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변화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들어온 관우 신앙은 19세기 후반 고종 연간에 그 열기가 고조되어 크게 확산되었다. 국가 의례로서 국가의 주도 아래 거행되었던 관우 의례는 식민지기 민간신앙으로 지속되다가 급속히 사라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말 식민지기 관우 신앙이 더 이상 국가의 비호를 받지 못하게 되자, 단순히 의례를 후원하는 관우숭배단체들이 관성교라는 종교조직을 만들어 관우 의례를 주관하게 된 것과 연관된다. 한편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질서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치면서 중국을 배경으로 한 역사적 문화적 상징이 더 이상 호소력을 갖기 어려웠다. 대신 내셔널리즘에 기초한 민족 종교들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빠른 시간 안에 공공 의례의 또 다른 중심축으로까지 부상했던 관우 숭배는 한말에 이미 엘리트들의 희구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구심점의 자리에서 밀려났다. 이렇듯 관우 숭배는 강력한 후원자를 상실하면서 기독교 등 서구에서 수용한 종교들과의 경쟁에서도 더 이상 지지 기반을 유지할 수 없었다. 더하여 관우 숭배를 바라보는 근대적 시선도 식민지기의 운명을 좌우한 현상이다. 각종 대중 매체, 특히 언론은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비판하였다. 식민지기 지식인들도 마찬가지로 1930년대 일본의 미신타파정책과 궤를 같이하여 민간신앙과 흡수되어 있는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간주하였고, 사대주의의 산물로 인식하였다. 특히 기독교인들은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타파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근대로 가는 데 있어 배척해야 할 문화적 유산으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에 의한 미신타파는 단순히 종교상의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근대화로 가는 첫 길목으로 여긴 것이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와 관우 신앙에 대한 시선들은 관우 신앙이 사라지는 배경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