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유아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하선혜,서현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반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유아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유아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와 1차 현장적용 타당도 검증후 수정·보완된 프로그램 활동 시안은 만 5세반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2차 현장적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프로그램 활동 시안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유아의 윤리적 소비 습관 형성 및 실천능력을 기르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내용으로는 올바른 소비의 태도, 올바른 광고의 이해, 사람을 생각하는 소비, 동물을 생각하는 소비,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 나눔을 실천하는 소비이다. 놀이중심, 흥미중심, 생활 속 경험 중심, 통합적 접근의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한 활동유형으로 유아가 주제에 대해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평가방법으로 프로그램 평가와 유아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평가를 구성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하선혜,서현아,김산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실천 정도 및 교육적 요구내용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일환으로써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부산시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6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조대연(2009)의 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단계에 따른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행동은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요구를 알아본 결과, 윤리적 소비행동의 하위영역인 윤리적 상거래, 긍정적 구매, 지속가능한 소비, 로컬소비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교육적 요구내용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법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행동 향상을 위해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thical consumption practical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y analyzing pre-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practice and requirement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For the study, 620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were in their 3rd and 4th year at universities in Busan were surveyed from April to May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er perception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based on he results of examining the needs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an ethical consumption practical education program, ethical commerce, positive purchasing, sustainable consumption and local consumption which are sub-area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re considered as priorit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s a metho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direction of education that can enhance the awareness of ethical consump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부모의 안전실천 수준에 따른 가정 내 영유아 자녀의 안전사고 경험

        하선혜,서현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afety practice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by analyzing the prevalence of parental safety training, thereby providing a resource for future development of safety training programs. Subjects included 376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one of eight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via PASW 18.0. Specifically, frequencies, percent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omputed. In addition, t-tests, F-tests, and Scheffe’s 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s with a kitchen and bathroom/toilet tended to perform safety practices in those areas. Children typically experienced injuries in their rooms, on the stairs, and in the bathroom/toilet. Parents who performed safety practices had fewer accidents than did parents who did not perform such practices. Furthermore, parents who had undergone safety training performed for safety practices than did those parents who had not undergone training.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안전실천 실태와 부모의 안전실천 수준에 따른 자녀의 안전사고 경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쉽게 간과할 수 있는 가정에서의 유아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부모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 8곳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만 1세에서 5세까지 유아를 보내고 있는 부모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사)한국생활안전연합에서 발행한 안전한 가정 만들기(부모용)자료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주방, 욕실/화장실에서 안전실천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은 방, 계단, 욕실/화장실에서 안전사고 경험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의 안전실천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안전사고가 많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안전실천에 t=2.38, p<.05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유아소비자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하선혜,서현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전 지구적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교육의 출발점이 유아기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사회·환경·경제적 영역이 다 고려되어야 하지만, 선행연구에 의하면, 환경적 영역에 대한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경제적 영역 관련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는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경제적 영역에서 ‘생산과 소비’는 빼놓을 수 없는 내용으로, 현재 우리의 소비행동은 환경적,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에 사회적으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으며, 유아기부터 윤리적 소비자 교육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유아 소비자윤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필요성 및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부산, 울산, 경상남도 내 유아교사 329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에 대한 인식으로, 세 가지 영역 모두에서 ‘보통이다’가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었으며, 기관에서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영역과 관련된 활동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필요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 각종 매체활용, 체험 및 현장학습, 토의활동, 모둠활동, 새노래, NIE활동, 동시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버섯 및 다시마 추출물과 갓의 첨가가 김치의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하선혜,강순아,Ha, Seon-Hye,Kang, Soon Ah 한국식품영양학회 2018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1 No.4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mushroom and sea tangle extracts and mustard leaf added to Kimchi were investigated by total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anion scavenging, FRAP reducing power, and ORAC value. Total phenolic content of functional Kimchi (FK)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Kimchi (CK). DPPH radical and ABTS anion scavenging activities of functional Kimch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Kimchi by 2.7 and 1.7 fold, respectively (p<0.05). Also, the FRAP reducing power and ORAC value of functional Kimchi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Kimchi by 1.6 and 1.1 fold, respectively (p<0.05). Our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Kimchi made by mushroom and sea tangle extracts and mustard leaf may be a potent antioxidant source and could be developed as a antioxidant functional food that may be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oxidant condition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Kimchi by the use of mushroom and sea tangle extracts, it will be necessary to try to identify other functions that could be useful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 윤리적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하선혜 ( Ha Seon-hye ),서현아 ( Seo Hyun-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 윤리적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 윤리적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활동시안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와 1차 현장적용 타당도를 검증한 후 수정·보완된 프로그램 활동시안은 만 5세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2차 현장적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프로그램 활동안을 최종 확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유아의 윤리적 소비 습관형성 및 실천능력을 기르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내용으로 올바른 소비의 태도, 올바른 광고의 이해, 사람을 생각하는 소비, 동물을 생각하는 소비,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 나눔을 실천하는 소비를 선정하였다. 놀이, 흥미, 생활 속 경험중심, 주제중심의 통합적 접근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여 유아가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평가와 유아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를 구성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thic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five-year-olds with a focus on sustainability. We adopted the following procedure to develop the program. First, we considered previous literatures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thical consumption. Second,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thical consumption. And we also looked at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an ethic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we have developed an ethic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s on sustainability. forth, we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field application for 16 children aged 5 years. Fifth, we finalized the ethic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focus on sustainability.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foster young children`s ethical consumption habits and practice skills for sustainable living. The ethical consumer education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attitude of correct consumption, the understanding advertisements correctly, consumption bearing people`s interest in mind, consumption bearing animals` interests in mind, and consumption that deals with thinking and caring for environment, and consumption that practices sharing. The program used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teacher-learner method of play·interest·experience-centered, and subjects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meaning of ethical consumption. Program management was evaluated by conduction program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