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표윤희 ( Yun Hui Pyo ),강혜경 ( Hya Kyoung Kang ),이창렬 ( Chang Yeul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대근육운동기능, 기능적 이동능력)과 개별화교육목표(기능적 활동 수행의 기초가 되는 운동 및 일상생활능력 관련) 성취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지체장애 학생 16명과 특수교사 11명, 물리치료 전공자 2명, 특수교육실무원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대근육운동 기능과 기능적 이동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운동 및 일상생활 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은 목표성취 척도를 활용한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대근육운동 기능 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사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실험집단 학생의 대근육운동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기능적 이동능력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보다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 총 8명의 학생 중 6명(75%)의 학생이 만족스러운 개별화교육목표의 성취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s using activity matrix on the motor ability(gross motor function, the functional mobility capability) and the motor-related individualized education goal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ixtee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leven special educators, two physical therapists, and ten para-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using activity matrix was implemented for 4 months.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functional mobility cap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that motor-related IEP goals of experimental group were accomplished.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gross motor fun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practic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인의 상호작용 중재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분석

        표윤희 ( Pyo Yun-hu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중도·중복장애인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실과 중도·중복장애인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고자 하는 중재연구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인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도·중복장애인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본 중재 문헌 25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논문은 분석 변인(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환경, 독립변인, 종속변인, 중재관련 요인(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방법에서 15편의 논문이 단일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6편의 논문이 사례연구로 제시되었다.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장애는 뇌성마비와 지적장애, 지적장애와 감각장애, 지적장애와 의사소통장애 등 다양하였다. 상호작용 관련 요인에서 주로 일반또래와 장애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대다수의 논문에서 신체적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결론: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국내 교육 현장에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A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in person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researchers have made an effort to increase the interaction of person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rends of interaction in person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reviewing literature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person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a total of 25 articles were identified. Each article was analyzed with sub-variables such as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settings,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Results: In research methods, 15 cases were conducted with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while 6 cases used case studies. Subjects were mainly comprised of a various domain of disability(physical disability, sensory ability, intellectual disability et al.). In factor of the intervention, the interaction partner was mainly peer and physical interaction was mainly measured in type of inter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iscussions,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interaction in person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resented. Also the activation plans for interaction of person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담당 사서의 인식 조사

        표윤희(Pyo, Yun Hu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요구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장애인을 대상으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의 실태,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장애인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 실태는 어떠한지, 둘째,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이용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은 어떠한지, 셋째, 장애인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와 도서관 이용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이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공공도서관 및 장애인 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담당 사서로 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63부를 회수하였고,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에는 장애인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에 대한 도서관의 관심 정도와 장애인 서비스 지원에 대한 만족도,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의 실행 경험, 도서관에서 장애인 지원 업무를 담당하면서 느낀 어려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지원 서비스,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사항과 제안사항 등 구체적인 분석결과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사항과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 및 결론에 제시하였다. There have been significant movements in the provision of equal access and participa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os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needs to participate in the library services,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Despite the needs for library services and programs for these persons, few has been developed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ye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library services,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these persons in a national level. The procedure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s of library services,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A total of 63 dedicated staff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Mos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current status of the library services and the library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lso various specific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library services and programs were reported.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can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effort to activate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develop library programs suited for the unique nee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표윤희 ( Pyo Yun-hui ),이희연 ( Lee Hee-yeon ),김경양 ( Kim Kyung-y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과 지원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이 통합된 일반학급 교사 11명이고, 자료는 1회의 개별면담, 2회의 포커스그룹 면담으로 총 3회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수집하였다. 면담시간은 개별면담은 1시간, 포커스그룹 면담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운영 실제,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어려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노력,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요구로 총 5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통합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지원요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earch for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11 general education teachers of inclusive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purposive sampling.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three in-depth interview sessions including 1st focus group interview for 4 participants, 2nd focus group interview for 6 participants, and 3rd individual interview for 1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participants` schedule. The interview time per session was 1 hour 30minutes to 2 hours.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urrent practices, and requirement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quality of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AA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표윤희(Pyo, Yun-Hui),김정연(Kim, Jeoung-Yeon),김시원(Kim, Si-W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AC앱을 활용하여 SAL, 환경적 조성 전략, 강화하기, 체계적 촉진절차 등의 다양한 중재전략을 적용한 AAC중재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언어발달지체유아이고, 연구설계는 상황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1) AA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 발생 빈도를 증가시켰고, 2)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의 기능이 다양화되었고, 3)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발성 모방 빈도 또한 증가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교사에게서도 일반화되어 나타났고 유지되었다. 결론: AAC앱을 활용한 AAC중재는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의사소통행동과 모방발성 증가)에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which included SAL(the System for Augmenting Language) and prompting process and reinforcement intervention strategy.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setting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 1)The intervention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2)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also diversifi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participants. 3) In communication models, 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imitation of vocalization. Also, these changes were generalized to others and they were maintained.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promoted language development (increased communication behaviors and imitation of vocalization) in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교사-물리치료사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 모델의 적용이 지체장애학생의 운동일상생활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표윤희 ( Yun Hui Py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교사-물리치료사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 모델의 적용이 지체장애학생의 운동 일상생활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체장애학생28명, 특수교사 27명, 물리치료사 4명, 특수교육실무원 31명, 부모 2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협력적 팀 접근 중재 모델의 적용이 지체장애학생의 운동 일상생활능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맨 휘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은 목표성취척도를 활용한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는 운동 일상생활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집단 학생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운동 일상생활능력에 있어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총 14명의 학생 중 12명(85.71%)의 학생이 만족스러운 수준의 개별화교육목표 성취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s model on the gross motor daily living activity ability and the IEP goal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wenty-eight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wenty-seven special educators, four physical therapists, thirty-one paraprofessionals, and twenty-eight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model was implemented for nine months.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the gross motor daily living activity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that IEP goals of experimental group were accomplished.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practic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학부모의 경험 및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김경양(Kim, Kyung Yang),표윤희(Pyo, Yun-Hui),이희연(Lee, Heeye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교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부모의 교육 경험을 분석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교육을 위한 지원 및 요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8명의 학부모였고,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방식의 개별 심층 면담 및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은 회기 당 약 1시간에서 1시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자료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지속적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대주제와 2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1) 중도·중복장애 자녀와 관련된 인식, 2)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선택배경, 3)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어려움, 4)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의 혜택 또는 만족, 5) 중도․중복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요구 및 지원, 6)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해 사회에 바라는 점. 결론: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학부모의 경험 및 요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 inclusive school.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8 parents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three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rview data were verified and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six themes follows: recognition related to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ckground of selection,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benefits or satisfaction, demand and support, and others needs for societ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에 대한 지각과 영향 관계

        방제철(Bang, Jea-cheol),표윤희(Pyo, Yun-hu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효능감으로 정하여 이들 요인들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각이 어떠한지, 그리고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70명이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년 이상의 고경력 특수교사들은 저경력 특수교사들에 비해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풍토를 높게 지각하였고, 부장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교사효능감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수업전문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풍토, 교사효능감은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교사효능감이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cide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as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school climates, and teachers" efficacy focused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w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was for those factors and what the effect of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of 3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in office located in th Gyeonggi-do,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using the program SPSS 18.0 Results: First, this study discovered that high-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perceived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and school climates with higher regard than compared with the less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ead teachers perceived teachers" efficacy with higher regard than compared with general teachers. This study has also shown that female teachers perceived teaching professionalism more highly than compared with male teachers. Second, this study has discovered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and school climates, and that teachers" 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Among them, teachers" efficacy made the most impa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bove, this researcher discussed the method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 KCI등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희연(Lee, Heeyeon),표윤희(Pyo, Yun-Hui),김경양(Kim, Kyung Y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급이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천광역시 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및 지원요구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중도 중복장애학생 통합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 관리자 총 10명으로 교육청의 추천을 받아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되었다. 연구방법: 학교 관리자의 중도 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지원요구 등을 조사하기 위해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이 실행되었으며, 각 면담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교 관리자들은 중도 중복 장애학생을 처음 접했을 때 놀라움, 당황함, 두려움 등을 느꼈으나 일부 관리자는 본인의 선입견과는 달리 밝고 희망적인 인상을 받았다. 현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 및 통합교육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만족도는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초등학교 관리자들은 대부분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 및 통합교육에 만족하였으나 중학교의 경우에는 만족도가 낮았다.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의 어려움으로 학교 관리자들은 물리적 환경, 시설, 교재 및 교구의 미비함, 통합학급에서의 문제행동, 인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 미비, 학부모들의 과다한 요구 등을 제시하였다. 학교차원의 교육계획 시 중도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활동들은 학교 관리자 차원보다는 특수교사의 주도하에 학교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경험과 인식 및 지원요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hool administrators’ experiences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1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dministrators who had a special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rough purposive sampling.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th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urrent practices, and requirement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