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에 미치는 효과

        최지인(Choi, Ji-In),팽은경(Paeng, Eun-Ky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서적으로 친근함과 안정감을 주며 최소화된 방어로 편안한 표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점을 가진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매체에 대한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문제 해결방안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K대학교 3, 4학년 재학생들 중 취업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12명을 선발하였으며, 각 6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검사와 취업불안 검사,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자기효능감 검사의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을 탐색할 수 있는 PPAT의 하위요인인 색칠정도, 색의 적절성, 내적 에너지, 공간,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대상과 환경의 세부묘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취업불안 검사의 취업불안 전체와 하위요인인 취업불안 유발원인, 취업불안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에 따라 대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를 탐색하고 자기이해와 가치를 높여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경험함으로써, 취업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으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affects the 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we form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the Korean painting media, which provides emotional familiarity and stability, and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relaxed expression with minimal defense. Through success and failure experiences within the media, it is possible to find various solutions to problems. In this study, 12 students who were worried about finding a job were selected from the third-and fourth-year classes of K University in Seoul; half, of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self-efficacy test, job-seeking anxiety test, and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PPAT) tes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self-efficacy test showed that the therap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Moreo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the PPAT when exploring self-efficacy, such as prominence of color, color appropriateness, internal energy, space,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 solving, and details of objects and environments. Second, job-seeking anxiety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job-seeking anxiety, the cause of job-seeking anxiety, and the state of job-seeking anxiety.

      • KCI등재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창의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김소형(Kim, So-Hyung),팽은경(Paeng, Eun-Ky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5

        본 연구는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창의성과 행복감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D 구의 H 유아놀이 학교 6세반 유아 24명으로 참여 희망에 부모의 동의서를 받은 총 24명의 유아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 3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8회기 프로그램을 실험 집단에게 주 1회 9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와 유아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앞서 창의성 검사의 각 항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ICC 값을 산출하여 본 연구자를 포함한 총 4명의 채점자 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을 위해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 표본 t 검정(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는 창의성의 4개 하위 요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입체조형 활동 집단미술치료는 행복감의 9개 하위 요인인 중 6가지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 단계별 활동 내용 분석에서 다양한 미술 매체를 활용하여 주체적으로 조작해보는 경험은 유아들의 창의적 표출을 도왔고, 이를 통해 발현된 몰입 및 만족감은 행복감 향상에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roup art therapy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ing activity, positively affects children’s creativity and sense of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 children in the 6-year-old children s play school in D-gu, Seoul, and a total of 24 infants who received parental consent to participate. The study period spanned from September 3, 2019 to December 31, 2019, and a total of 18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90 minutes. As research tools, the infant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and infant happiness scale were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each item in the creativity test, the ICC value was calculated, and the reliability was measured among a total of four scorers, including this researcher to analyze the change. As a result, first, group art therapy with three-dimensional model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the change of four creativity sub-factors. Second,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activity group art therap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6 of 9 happiness sub-factors. Third, the experience of independently manipulating the use of various art media in the activity content analysis for each stage of the program helped children creatively express themselves and the feelings of immersion and satisfaction expressed through such that creative expression helped children improve their sense of happi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진로탐색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과 동기부여에 미치는 효과

        김영진(Kim Young-Jin),팽은경(Paeng Eun-Kyung)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9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art therapy on career awareness and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 fifth 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in D district of Seoul who volunteered for the program with the permission of their parents. The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of 11 stud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total of 12 sessions, once session a week for 80 minutes per session. Tool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ests on career awareness and motivation.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art therapy for the experiment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4 sub-factors of career awareness,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the world of work and occupation, positive attitudes and values toward work, and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Second,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 group,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art therap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2 of the 4 sub-factors in motivation, which were the intrinsic motivations of challenge and enjoy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ep-by-step process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art therapy, career awareness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was enhanced. This resulted in a positive change in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