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중채무자의 사회경제적 박탈에 관한 연구

        탁장한 ( Tak Jang Han ),박정민 ( Park Jung M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르게 증가하는 가계부채가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가 된 현 시점에 과중채무자들의 생활상을 물질적 결핍과 사회적 결핍을 포괄하는 `사회경제적 박탈` 개념을 활용하여 조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채무조정제도를 이용하는 과중채무자들을 면접조사한 데이터(N=209)를 분석하였고, 한국복지패널의 일반집단 및 저소득집단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과중채무집단이 일반인구 및 저소득집단에 비하여 생계, 고용, 주거, 건강, 사회적 관계 차원에서 모두 결핍수준이 월등히 높으며, 과중채무집단 내부에서는 개인파산집단의 결핍수준이 개인회생, 개인워크아웃, 기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토대로 과중채무자와 채무조정제도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gree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the areas of material hardship, health, housing, employment, and social network among people using debt relief programs. The sample, 209 individuals, was recruited from major agencies offering debt relief programs, including Seoul Bankruptcy Court, Credit Counseling and Recovery Service, and Seoul Welfare Found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person interviews in 2016. The sample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level of deprivation wi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low-income group, extracted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debtors group demonstrated a substantially higher level of deprivation on all the dimensions examined. For example,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suffered from hunger was 37.8% in the debtors group compared to 6.7% in the low-income group.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had suicidal ideation in the last 12 months was 57.9% compared to 19.2% in the low-income group and 2.7%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level of deprivation was different by chapter choice of consumer bankruptcy.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빈곤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빈곤층의 실태에 대한 연구 : 중첩된 가난과 이웃관계, 그리고 정신건강

        탁장한 ( Tak Jang Ha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유사한 소득수준을 가진 빈곤층이라고 하더라도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생활실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특히 빈곤한 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에 초점을 두어, 중첩된 빈곤상태에 처하였을 때 이들의 이웃관계와 정신건강수준이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94개 시·군·구, N=1,396) 자료를 활용하였고, 지역빈곤과 개인빈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이 부유지역의 빈곤층보다 이웃 간의 유대에 있어 더욱 높은 수준의 이웃관계를 보고하였다. 나아가 중첩된 빈곤상태는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또한 높이는 기제로서, 빈곤한 지역사회가 빈곤층의 취약한 정신건강을 완충하는 지지기반이 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빈곤지역에서 빈곤한 주민들이 지니는 관계성의 의미를 논의하였으며, 그에 따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ives of the poor when they reside in areas with different socioeconomic conditions. Especially the poor living in areas with high poverty are the main focus here, so this study demonstrated their levels of neighborship and mental health. In order to analyze it, 2012 Korean General Society Survey(94 areas, 1,396 individuals) was used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rea poverty and individual poverty was found. As a result, the poor living in deprived areas reported higher social ties with neighbors than the poor living in wealthy areas. Furthermore, double poverty status also increas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 so that it suggested the poor community could be the supportive base for the poor in terms of mental health as well. The meanings of relationships the poor have in poor area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were followed.

      • KCI등재

        빈곤에 저항하는 그리스도교: 추방된 사람들과 편파적 하나님의 연대

        탁장한(Jang Han Ta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99 No.-

        This study illuminate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the evicted whose Shalom have been deprived in Korea,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liberation theology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Praxis with the poor in various kinds of suffering fields. The backstreet activities by youth in Okbaraji Mission Center attempt to connect these two concepts (The Evicted and Liberation Theology) through ‘social, spiritual, and cultural solidarity with the evicted.’ Okbaraji Mission Center’s activities carry on the prospect of ‘taking part in poverty.’ This is a totally different stance from mainstream Protestantism in Korea that cope poverty with ‘top-down oriented help, care and service.’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s the experience of confronting the presence of God by staying with so-called ‘the Jesuses nailed to the cross’ in demolition areas where God seems nowhere.

      • KCI등재

        보도된 쪽방촌과 보도되지 않는 쪽방촌 : 탈식민주의적으로 빈곤의 공간 읽기

        탁장한(Tak, Jang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3

        본고는 빈곤이 밀집된 공간, 그리고 그곳에 거주하는 빈곤한 타인들이 그동안 대중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묘사되어왔는지를 회고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빈곤의 문제를 포함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인간의 각종 인식 및 실천을 형성하는 중요한 도구인 주요언론의 보도내용에 관심을 두고, 한국사회에 실재하는 주요 빈곤밀집지역인 쪽방촌과 관련해 무엇이 보도되고 무엇이 누락되어 왔는지를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분석의 도구로서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는 의미로 2010년대에 작성된 쪽방촌 보도들을 전수조사했으며, 대조가 명확한 두 매체인 보수언론 《조선일보》와 진보언론 《한겨레》를 비교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 두 언론의 보도 모두에서 먼저 쪽방촌은 인간이 거주해서는 아니 되는 온갖 조건들을 갖춘 ‘역(逆)유토피아’로 수렴되었고, 그 내용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하는 ‘빈곤포르노’의 형태로서 지극히 자극적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해당 문제에 대응하는 해결책을 보도함에 있어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각각 ‘사회복지단체’와 ‘시민사회단체’를 내세워 ‘외부의 구원’ 대 ‘내부의 자조’라는 처방의 대립각을 보였고, 그것은 재개발의 명목으로 쪽방의 멸실, 쪽방촌의 철거, 주민들의 추방이 현실화되는 사회적 상황과 결부될 때 ‘쪽방촌 소멸’ 대 ‘쪽방촌 보호’라는 더욱 극적인 차이를 빚어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빈곤한 공간 및 타인을 이해하고 그것들에 대한 대중의 실천을 추동하는 렌즈들에 어떠한 권력이 침투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빈곤의 문제를 바라보는 사회적 태도들의 경합과 그 이면을 드러내고자 했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retrospectively investigate how poverty-stricken area and the poor people inhabiting there have been portrayed to the general public for years. Thus the newspaper reports related to Jjokbangchon (one sort of concentrated poverty areas in Korea), of mainstream media in Korea, which are a crucial source for ordinary peopl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as to social issues such as poverty, were thoroughly reviewed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see what was reported and what was not. For analysis, all Jjokbangchon reports in 2010s were collected, but especially narrowed down to the distinctively different two representative media, one, conservative 《Chosun》 and the other, progressive 《Hankyoreh》, respectively. In study results, initial reports were converged to depict Jjokbangchon as Dystopia where human beings must not live with inhumane housing conditions, while expressing there as a provocative poverty pornography. However, when the solutions were reported, 《Chosun》 and 《Hankyoreh》 showed a totally different and even opposing prescriptions, especially when the social reality in Korea where Jjokbangchons have been torn down and residents there have been involuntarily displaced. With the study results, the intense competition as to social attitudes toward the phenomenon of poverty was attempted to be shown by disclosing the authorities reproducing people’s particular way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about poverty area and the poor others through the discourse used in media.

      • KCI등재
      • KCI등재

        소속동네의 빈곤이 주민들의 이웃관계에 미치는 맥락효과 : 동네의 거주불안정성 및 무질서의 영향을 중심으로

        탁장한 ( Jang Han Ta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2

        연구는 이웃관계가 냉각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동네의 빈곤상태가 그곳에 거주하는주민들의 이웃관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context)으로서 기능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렇다면 효과가 어떠한 방향성과 기제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국범죄피해조사자료(2010)에서 포괄하는 680개 읍·면·동 및 16,557명의 주민들을대상으로 2수준 다층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주로 동네빈곤과 이웃관계의 부적관계를 상정하는 사회해체이론의 예측과는 달리 소속동네가 빈곤할수록 주민들의 이웃관계가 긍정적으로 보고되었으며, 동네수준 거주안정성의 증가가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부분 혹은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들 결과를 토대로 주민조직화사업, 동네재생사업 등 이웃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 개입의 지점들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neighborhood poverty functions as a context ofresidents’ neighborship in our society where neighborship has been chilled recently. Soit deals with the directivity and mechanism of contextual effects. In order to solve theresearch questions, 2-level multi-mediation analysis was done with 680 neighborhoodsand 16,557 individuals in the data called ‘Korean Crime Victim Survey(2010).’The study results tell us that the poorer the neighborhood, the higher the degreeof neighborship, which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expectation according to socialdisorganization theory. Also the increase of neighborhood-level residential stability wasfully or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hood poverty andneighborshi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oints of theeffective interventions improving neighborship, such as community organizing andcommunity renewal projects.

      • KCI등재

        쉼터노숙인 빈곤대처방식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빈곤문화적 특질과 강점관점적 속성들을 중심으로

        탁장한 ( Jang Han Tak ),박정민 ( Jung Min Par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4

        본 연구는 쉼터라는 빈곤집중의 공간에 거주하는 노숙인들이 빈곤문화적 특질을 표출하는지, 혹은 강점관점에서 주목하는 긍정적 속성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쉼터노숙인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쉼터노숙인들이 보이는 사회문화적 특성이 빈곤문화적 특질보다는 강점관점적 긍정속성에 가까움을 보여 주었다. 그들에게 문제 극복을 위한 내적 자원?자립에의 의지, 소속감과 신뢰, 적응유연성?이 있으며 이들 자원이 촉진자의 존재와 거주의 안정성이라는 외적 자원과 결합될 때 그들의 자존감 향상, 자립, 공동체의식 형성, 사회복귀 등의 가능성이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쉼터노숙인의 역량강화와 그들의 중층적 빈곤문제 극복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의 방향성과 실마리를 제시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whether sheltered homeless individuals explicitly demonstrate the traits of the culture of poverty or they show positive qualities and resources pointed out in the strengths perspective. Data were obtained from 10 homeless individuals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a series of positive internal resources, including an aspiration towards self-reliance, a sense of belonging to the shelter community, trust in one another, and resilience. Combined with external resources, such as the presence of a facilitator and the provision of a s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those positive internal resources seemed to enable the participant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to move towards self-reliance and community integration.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빈곤관련보도에 대한 담론분석 : 쪽방촌을 중심으로

        탁장한(Tak, Jang Ha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0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6

        본고는 빈곤이 밀집된 공간과 그곳에 거주하는 빈곤한 타인들이 그동안 대중에게 어떻게 묘사되어왔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이다. 비판적 담론분석의 도구로서 2010년대의 쪽방촌 보도들을 전수조사했으며, 대표 매체인 보수언론 <조선일보>와 진보언론 <한겨레>를 비교 대상으로 설정했다. 연구의 결과, 두 언론의 보도 모두에서 먼저 쪽방촌은 인간이 거주해서는 안 되는 온갖 조건을 갖춘 디스토피아로 수렴되었고, 그 내용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하는 형태로서 자극적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해당 문제에 대응하는 해결책을 보도함에 있어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처방의 대립각을 보였고, 그것은 재개발의 명목으로 쪽방의 멸실, 쪽방촌의 철거, 주민들의 추방이 현실화되는 사회적 상황과 맞물릴 때 더욱 극적인 차이를 빚어냈다. 결과를 토대로, 빈곤한 공간 및 타인을 이해하고 대중의 실천을 추동하는 렌즈들에 어떠한 권력이 스며드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빈곤의 문제를 바라보는 사회적 태도들의 경합과 그 이면을 드러내고자 했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how poverty-concentrated area and the poor people inhabiting there have been portrayed to the general public for years. For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ll Jjokbangchon reports in 2010s were collected, especially reports of the two representative media, one, the conservative 〈Chosun〉 and the other, progressive media 〈Hankyoreh〉. In study results, initial reports were converged to depict Jjokbangchon as Dystopia where humans must not live with inhumane housing conditions, while expressing there as a poverty pornography. But when the solutions were reported, 〈Chosun〉 and 〈Hankyoreh〉 manifested totally different and even opposing prescriptions, especially when the social reality in Korea where Jjokbangchons have been torn down and residents there have been involuntarily displaced. With the study results, the intense competition as to social attitudes toward the phenomenon of poverty was attempted to be shown by disclosing the authorities reproducing people’s particular way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about poverty area and the poor others through the discourse used in media.

      • 빈곤의 밑바닥과 가난한 예수의 조우 : 노숙인의 해방적 영성을 중심으로

        탁장한(Tak, Jang Han)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2018 영성과 보건복지 Vol.5 No.1

        이 논문은 빈곤층 중에서도 물리적,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취약한 위치에 놓여있는 노숙인들과, 특별히 그들을 구제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회차원 지역사회복지 간의 접점이 실천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에 의하여 노숙인들의 인생이 어떻게 변화되어가고 있는지를, 노숙인의 영성을 중심으로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노숙인과 종교의 결합이 긴밀하게 진전되어온 대표적 지역인 서울시 영등포역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그곳의 거점교회에서 운영하는 쉼터에서 생존하고 있는 노숙인 10명을 사례로 삼아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성의 맹아단계에서 노숙인들은 본인의 어두웠던 과거와 그로 인한 결핍상황 속에서, 자신들의 식사지위를 지키기 위하여 예배에 참석한다. 마중물단계에서 쉼터는 지속적인 예배의 자리를 보장하며 그 속에서 노숙인들은 자신의 역할을 부여받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기도 하고, 신의 사랑으로 인해 타인의 이목에 개의치 않는 자유분방한 모습으로 예배에 임한다. 열매단계에서 노숙인들은 성서와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눈이 뜨이게 되고, 그들이 나아갈 사회가 불평등한 곳일지라도 두려움 없이 나서겠다는 소위 ‘해방적 담력’을 얻게 된다. 이 과정을 영성의 성장단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mainly explores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homeless who are physically, socioeconomically the most vulnerable and the church- based community social welfare for the homeles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life of the homeless changes through it. This study set Youngdengpo station in Seoul as a study region, where the homeless and the religions coexist, and interviewed 10 people surviving in the church-operated shelter ther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n a starting phase, the homeless attends worship services because of their dark past and the following deprivations. They usually go there so as to maintain their so-called meal status. In a middle stage, the shelter guarantees lots of worship opportunities, and there the homeless grow confidence by preparing worship services. They worship freely, regardless of others gazes thanks to the love of God. As time goes by, the homeless study Bible and the social issues surrounding them, then get enough courage to go out to the unequal society they will face. This study tried to depict this journey, concentrating on the growth stage of spiritu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