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드웨어-인-더-루프 시뮬레이션을 통한 SSD 플랫폼의 다 계층 성능 측정 및 시뮬레이션 모형의 추출

        최정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션을 통한 SSD 플랫폼의 다 계층 성능 측정 및 통계적 모형 추출 최정민 지능형반도체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최근 SSD와 같은 메모리 계층 구조 및 스토리지 시스템의 아키텍처 시뮬레이터가 주목받고 있다. 시뮬레이터는 칩 수준의 하드웨어 모델부 터 운영체제의 응용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빠르고 유연한 프로토타이핑 환경을 제공한다. 최근 도입된 SSD 개발 프레임워크는 최신 FTL과 NAND 플래시 특성을 고려하여 정확도를 향상하는 방향성을 잡고 있다. 이와 달리, 하드웨어의 방면에서는 전통적인 프로토타입 모델을 사용해 왔다. 최종적인 결과물이 구현되면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한 번 구현이 완료된 후에는 변경이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하드웨어 프로 토타입은 최종 실증 단계에서 디자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 는 소프트웨어 설계 환경의 유연성과 하드웨어 프로토타입의 정확성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된 하드웨어-인-더-루프 시뮬레이션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HILS)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 시뮬 레이터를 사용하여 SSD 성능을 측정한다. 제안된 HILS 기반의 시뮬레 이터는 재구성에 용이한 Flash array에 탑재된 FPGA 컨트롤러와 보편 적인 설계 프로그램 및 유저 레벨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측정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뮬레이터에서는 생성된 Flash array에 대한 데이터 관련 명령어 트레이스 및 FPGA용 온라인 모니터링 및 디 버깅 툴을 통해 하드웨어 단에 접근, SSD 시스템 전체의 구조를 계층별 로 구분하여 타이밍 데이터를 추출한다. 측정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타 이밍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계적 모형으로 옮길 수 있었다. Multi-level Performance evaluation and model extraction of SSD Platform by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CHOI, JEONG-MIN Department of Intelligent Semiconductor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architectural simulators of the memory hierarchy and storage systems such as SSD become popular in these days. The simulators provides fast and flexible prototyping environment from chip-level models to the user applications on the operating systems. Recently introduced SSD development framework has tried to improve accuracy in consideration of the latest FTL and NAND flash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hardware, traditional prototype models have been used. Hardware prototypes are generally designed at the final demonstration sta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that is difficulty of changing after implementation. This study suggests SSD system simulator with a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HILS) structure designed considering both the flexibility of the software design environment and the accuracy of the hardware prototype. The proposed HILS-based simulator consists of an FPGA controller mounted on a Flash array that is easy to reconfigure, a universal design program, and a measurement application using a user-level interface. The simulator accesses the hardware through command traces for the generated Flash array and online monitoring and debugging tools for the FPGA, and extracts timing data by dividing the structure of the entire SSD system by layer. The measurement application was able to successfully extract the timing data and fit the data to appropriate statistical model.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독교 환경윤리적 접근과 그리스도인의 역할

        최정민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 변화와 환경 파괴의 문제는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우리 실생활에서 직접적으로 느끼기는 어렵기 때문에 그 심각성이 잘 대두되지 않으나 이는 하나님께서 만드신 창조 세계의 질서가 파괴되면서 인간의 죄성이 드러나는 문제이다. 그러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경제적인 삶이 허락하지 않는 곳에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 인간의 기본적인 경제생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생존을 위한 활동 때문에 환경을 돌볼만한 여유가 없는 것이다. 여전히 경제 성장이라는 개념이 필요한 이유는 지금도 지구상에는 최소한의 의료지원과 최소한의 교육조차 받을 수 없는 곳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필자는 경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환경 보호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래서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을 차용했다. 경제 활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환경보호가 이루어지는 개념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은 인간의 가난의 문제와 부의 분배의 문제와 교육과 의료 시스템의 문제까지 포함되는 폭 넓은 개념이다. 21세기는 지속 가능한 발전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그래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회적 윤리 차원과 개인적 윤리 차원의 실천을 해야한다. 자기의식의 향상을 추구하면서 생활방식의 개혁을 꾸준히 추구하면 지속 가능한 발전을 통해 지속 가능한 번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리스트의 「단테를 읽고」에 관한 연구

        최정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란츠 리스트(F. Liszt 1811~1886)는 19세기 낭만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연주가로써 피아노라는 악기의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하였다. 그의 음악은 표제적인 성격과 그만의 독특한 작곡기법으로 화려하고 기교적이며 대담한 테크닉을 통해 근대적 피아노 기교 창출에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8도와 10도의 연속진행, 잦은 트릴 사용, 아르페지오와 반음계적 진행과 증·감 7도 화음 및 이중 옥타브 사용으로 강렬하고 풍부한 관현악적 음색 및 음향을 만들어 내었다. 또한 그의 작품 대부분에는 명확한 표제를 내걸고 있는데, 문학작품이나 미술작품에서 표제적 요소를 따온 것이다. 리스트의 대표적 표제음악인 <순례의 연보 (Années de Pelerinage)>는 스위스와 이태리를 여행하면서 많은 예술가들의 문학작품과 그림, 조각 등에서 얻는 영감을 통해 얻는 인상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것은 총 3권과 보유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단테를 읽고「Aprés une lècture de Dante」는 제2집 이태리편의 마지막 7번째 곡으로 규모가 가장 큰 작품이며 단테(Alighieri Dante,1285-1321)의 신곡 (神曲, the Divine comedy)과 빅토르 위고(Victor Hugo, 1802-1885)의 시를 바탕으로 쓰인 곡이다. 소나타풍의 환상곡이라는 부제를 보면 알 수 있는 이 곡은 소나타와 환상곡의 특징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소나타의 형식인 도입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코다로 나누어져 있으며 환상곡으로는 도입부 주제인 삼전음과 이중옥타브, 트릴, 아르페지오, 옥타브 패시지, 반음계 진행, 긴 페달 등을 통해 환상적 분위기를 묘사하고 있다. 조성 및 화성에서는 불협화음, 증4도, 증·감 7도를 사용하고 있으며, 조성적으로는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스트의 표제음악의 특징과 문학적 배경이 되는 단테의 신곡과 빅토르 위고의 시를 알아보았고, 소나타와 환상곡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주기법을 통해 피아노 악기의 기교적인 모습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 조선후기 백자연적 연구

        최정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조선후기(1701∼1910년)에 제작된 백자연적(白瓷硯滴)이 다종다양하게 제작된 원인을 살피고, 시기별 특징의 구분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후기 백자연적은 1970년대부터 국내·외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기획 전시되어 다른 기종에 비해 다양한 형태로 이목을 집중시켰다. 반면 백자연적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으로 조선후기 백자연적을 단독주제로 삼은 연구는 적은 편에 속한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백자연적이 제작될 수 있었던 당시 상황에 대해 밝히고, 그것이 제작양식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전시기보다 다양한 전세유물을 남긴 백자연적이 조선후기에 제작될 수 있었던 것은 조선후기의 특수한 제작여건 때문이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독자적인 문화로 자리 잡히게 된 과정에서 백자연적의 시기별 변천과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먼저 조선 초‧중기와 달리 조선후기에 다양한 백자연적이 제작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과의 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청과의 관계 개선에 따라 여러 문물과 고증학 등이 유입되어 새로운 문화가 유행하였다. 경화사족(京華士族)은 빈번한 중국 사행(使行) 참여와 풍족한 경제력을 지녔으며 청의 최신 학술과 문화를 선호하였다. 18세기 후반 북학사상은 19세기 전반을 거치며 중인(中人) 계층까지 확산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들은 관요백자 수요층으로 대두되면서 상업 도시화된 서울은 새로운 도시문화가 형성하게 된 것이다. 조선후기 백자연적은 숙종 23년(1697) 장인들의 생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번(私燔)으로 생산이 증가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이들은 아무나 향유할 수 없었던 특별한 물품과 취미를 즐김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욕구를 채워 나갔다. 이전 같으면 완물상지(玩物喪志)라 하여 금기시되던 골동, 서화의 수집이나 원예 취미 같은 것이 문인의 아취(雅趣)로 여겨져 적극 애호(愛好)된다. 기존 사대부의 필수품인 연적, 필통 등의 문방구가 조선후기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로 등장 것도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때문으로 간취된다. 조선후기 백자연적의 제작양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조선 전(全)시대에 걸쳐 관요에서 생산된 백자연적 출토품을 고찰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보주형(寶珠形)이 주된 형태였으며 중기에는 보주형을 포함하여 원통형(圓筒形), 연봉형(蓮峰形), 팔각형연적(八角形硯滴)이 제작되었다. 조선후기는 사각형연적(四角形硯滴), 어형연적(魚形硯滴)과 이러한 상형연적을 제작하기 위한 도범(陶范)이 수습되어 이전시기와 다른 형태가 제작된 사례를 관요백자 생산품을 통해 살필 수 있었다. 다음으로 백자연적을 형태별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세부 형태와 문양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선후기 백자연적과 함께 제작된 필통(筆筒), 필세(筆洗), 필가(筆架), 묵호(墨壺), 채연(彩硯)을 함께 다루면서 조선후기 백자문방구의 제작양식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문방구는 백자연적과 유사한 기법과 문양으로 제작되어 밀접한 연관성이 확인된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사회적 배경과 백자연적의 생산지출토품, 편년유물을 중심으로 시기별 변천과정을 도출해내었다. 18세기 전반[1701년(숙종 27)∼1750년(영조 26)]은 사번을 통해 취할 수 있었던 문인사대부들의 미적 취향이 결합된 것이 특징으로 조선후기 백자연적이 주도적 문방구를 자리매김해가는 태동기(胎動期)에 해당된다. 18세기 후반[1751년(영조 27)∼1800년(정조 24)]은 기존 기형을 변용하거나 청(淸)의 영향을 받아 조선의 취향을 가미시켜 새로운 기형이 등장하는 발전기(發展期)에 해당된다. 19세기 전반[1801년(순조 1)∼1850년(철종 1)]에는 개인들의 취향이 부합된 만큼 다양한 형태의 백자연적 완성도가 가장 높은 시기로 성행기(盛行期)에 해당된다. 19세기 후반[1851년(철종 2)∼1910년(순종 3)]은 기형이 단순해지고 정교함이 떨어지고 있어 쇠퇴기(衰退期)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조선후기 백자연적은 폭 넓어진 수요층들이 추구하는 미적 취향을 부합시켜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다종다양한 형태가 제작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조선후기(朝鮮後期), 백자(白瓷), 관요(官窯), 문방문화(文房文化), 문방구(文房具), 완상(玩賞), 연적(硯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son for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produc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1701-1910) being produced in various ways and to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specially display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Korea and abroad since the 1970s, drawing attention with its various formats compared to other types. Meanwhile, there were few studies made on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and there are very few studies made exclusively on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reveal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at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he late Joseon Dynasty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and examined its correlation with the production mode. The reason why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which left behind a wide variety of artifacts compared to previous periods, could be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because of the special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deduce the transition process of each period for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in the course of it becoming established as a unique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unlike the early and mid-Joseon Dynasty, the relationship with China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background that allowed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white porcelain dropp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llowing the improved relations with Qing China, a variety of new cultures and artifacts flowed into the country, thus creating new cultural trends. People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frequently participated in diplomatic trips (使行) to China and had abundant financial power, and they preferred the latest academics and cultures of Qing China. Northern studies of the late 18th century started to spread to the middle class (中人) after the early 19th century. As it rose to the class that used white porcelain produced from official porcelain production areas, Seoul became commercialized and urbanized, thus forming a new urban cultur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reased production as low-grade production (私燔) to solve issues regarding livelihood for master craftsmen in the 23rd year of the reign of Sukjong (1697). Those who were affluent enjoyed special items and hobbies that not everyone could take advantage of to fulfill their cultural needs. The collection of antique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r horticultural hobbies that were in the past deemed prohibited because it was deemed as indulging in one’s likes and lose their sense of purpose (玩物喪志) became treated as the refinement (雅趣) of literary persons and was then actively preferred (愛好). It is assumed that the reason why stationery such as water droppers and writing cases, which were deemed to be the essentials of nobility, appeared in various way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because of such social mood. Prior to examining the production mode of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excavated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produced by official porcelain production centers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Dynasty were studi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orb types (寶珠形) were the main forms and in the mid Joseon Dynasty, orb types as well as cylindrical types (圓筒形), lotus blossom types (蓮峰形), and octagonal water droppers (八角形硯滴) were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ottery standards (陶范) were established to produce square water droppers (四角形硯滴), fish-shaped water droppers (魚形硯滴) and other such pictographic water droppers making it possible to investigate cases produced in different formats compared to previous periods through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by official porcelain production centers. Next,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were classified per form to conduct analysis on the actual form and shapes of each type. By dealing with brush cases (筆筒), bowls for washing brushes (筆洗), brush hangers (筆架), ink cases (墨壺), and palettes (彩硯) produced together with late Joseon Dynasty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similarities with the production form of white porcelain statione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analyzed. Stationery was produced with techniques and shapes similar to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to confirm its close relativity. This study deduced the transition process of each period focusing on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s, excavations from production sites of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and chronological artifacts.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1701 (2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to 1750 (2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i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aesthetic preferences of the literary nobility acquired through low-grade production and it was the incubating period (胎動期) where the late Joseon Dynasty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became leading stationery.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1751 (2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 1800 (2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is the development period (發展期) in which the existing shapes were changed or were influenced by Qing (淸) China, while adding the tastes of Joseon to create new shapes.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1801 (1st year of the reign of King Sunjo) - 1850 (1st year of the reign of King Cheoljong 1)] was the advancement period (盛行期) where the perfection of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of various shapes fitting individual preferences grew.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1851 (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Cheoljong) - 1910 (3rd year of the reign of Sunjong)] corresponds to decline period (衰退期) where the shapes became simplified and precision decreased. This study verified that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in various forms once it became possible to meet the aesthetic tastes pursued by a wider range of consumers. Keywords: Late Joseon Dynasty (朝鮮後期), White porcelain (白瓷), Official porcelain production centers (官窯), Stationery culture (文房文化), Stationery (文房具), Appreciation (玩賞), Water dropper (硯滴)

      •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연결망, 영적안녕, 삶의 질의 관계

        최정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영적, 사회연결망, 삶의 질 정도와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본 연구 대상자는 혈액투석을 제공받고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서울 및 경기소재의 종합병원 3곳과, 서울, 성남, 대전 소재의 내과 4곳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130명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7년 4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이며, 자료수집방법은 일대일 면담을 통한 질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고, 소요시간은 약 20분 정도였다. 연구도구는 Highfield(1992)에 의해 개발된 영적안녕 측정도구, Berkman(1979)의 Social Network Index를 수정 보완하여 만들어진 사회연결망 측정도구, Medical Outcome Survey SF-12(Ware et al, 1996)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 연결망에서는 절친한 친구가 없는 경우가 24.6%이고, 한 달에 한번 이상 만나는 친구가 없는 경우도 35.4%로 높게 나타났다. 혈액투석 환자의 영적 안녕정도는 평균 111.7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영적안녕의 하부 영역 중 자기수용(mean=3.72)과 희망(mean=3.42)점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 정도는 50점 평균의 T-score로 환산하였을 때, 신체적 삶의 질 점수가 35.65점, 정신적 삶의 질 점수가 44.37점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며, 신체적 삶의 질이 정신적 삶의 질에 비해 낮았다.2. 혈액투석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은 가구 월수입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혈액투석 진단시기가 1년 미만 일 때 연결망의 크기와 접촉빈도가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t=3.11, p=.002)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F=3.39, p=.04) 사회적 유대감이 높게 나타났다. 영적 안녕의 차이에 있어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F=2.87, p=.06)영적안녕이 높았다. 여성보다 남성(t=2.54, p=.01)인 경우, 나이가 적을수록(F=4.83, p=.003), 종교가 없을 때, (t=2.17, p=.03),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t=-2.99, p=.003) 신체적 삶의 질이 좋았으며, 반면, 나이가 많아질수록(t=3.43, p=.02), 배우자가 있을 때(t=-2.73, p=.01), 만성신부전 진단시기가 1년 미만일 때(t=3.07, p=.03)정신적 삶의 질이 좋았다.3.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 연결망에 따른 삶의 질을 살펴보면, 절친한 친구가 있을 때에(t=-1.87, p=.06)정신적 삶의 질이 높았으며, 가까운 친구 수가 3-5명인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월등히 정신적 삶의 질이 높았다(F=3.75, p=.01).4. 사회연결망은 영적 안녕(r=.34, p<.0001)과 정신적 삶의 질(r=.20, p=.02)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영적안녕은 신체적 삶의 질(r=.20, p=.02)과 정신적 삶의 질(r=.48, p<.0001)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5. 신체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는 불확실성, 직업, 종교, 희망, 성별을 통해 총 23.9%의 설명력을 보였다. 즉, 혈액투석환자에서는 불확실성과 희망에 대한 영적 안녕정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직업이 있는 경우에 삶의 질이 높아졌다. 그러나 종교가 있는 경우에 신체적 삶의 질이 오히려 낮아졌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들의 신체적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신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는 자기수용과 배우자, 절친한 친구가 전체 모델의 34.6%를 설명하였다. 즉, 혈액투석환자에게서는 자기수용의 영적 안녕이 높을수록 정신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배우자와 절친한 친구가 있을 때에 정신적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결론적으로, 혈액투석환자의 신체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영적안녕 중 희망과 불확실성 정도를 사정한 후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정신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우자, 절친한 친구, 가까운 친구수를 통해 사회연결망을 확충하고, 영적안녕 중 희망, 자기수용, 대인관계, 절대자와의 관계 정도를 사정하여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방안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Biosynthesis of high bioavailable isoquercitrin glycoside derivatives using amylosucrase from Deinococcus geothermalis DSM 11300

        최정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soquercitrin (IQC, Quercetin 3-O-β-d-glucoside)은 flavonol의 한 종류로 항산화, 항암, 그리고 항염증화 등 다양한 이로운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수용성 (solubility)과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이 낮아 식품만으로 충분한 량을 섭취하기 어렵다. Enzymatically modified IQC (EMIQ)는 전분을 당 공여체로, CGTase를 효소로 이용하여 만든 IQC에 당전이 복합체로, 기존의 IQC에 비해 생체이용율이 높으며, 그 중 특히 IQC에 당이 3개가 붙은 IQC-G3 (quercetin tetra-glucoside)의 생체이용율이 가장 높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DGAS (amylosucrase from D. geothermalis DSM 11300) 처리한 IQC 샘플을 만들었으며 DGAS처리한 IQC (EMIQ-DG)의 생합성율 (97.44 %)이 상업적 CGTase (Toruzyme 3.0L)를 처리한 IQC (EMIQ-TR)의 생합성율 (57.43 %) 보다 높게 나타났다. 더욱이 우리의 목표 물질인 IQC-G3의 생산량에 관하여서 EMIQ-DG (46.52 %)가 EMIQ-TR (8.85 %)보다 훨씬 높다. 이 실험을 토대로 DGAS 처리한 IQC system을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IQC-G3 생산량을 최적화한 결과, 50mM Tris-HCl pH 7.0, 45 ºC 그리고 100/1 당 공여체 / 수용체의 기질 비율에서 가장 높은 생산량인 60.13 %를 보였다. Isoquercitrin (IQC; Quercetin 3-O-β-D-glucoside) is one of flavonols having many confirmed beneficial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but it is hard to be applied as food ingredients due to its low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Enzymatically modified IQC (EMIQ) is a compound of several transglycosylated IQC (from IQC to IQC-G10, quercetin hendeca-glucoside) made by using starch as a glucose donor and CGTase as a catalytic enzyme. The bioavailability of EMIQ is higher than IQC, and among them IQC-G3 (quercetin tetra-glucoside) has the highest bioavailability.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DGAS (Amylosucrase from Deinococcus geothermalis DSM 11300) treated IQC as an alternative, because bioconversion ratio of DGAS treated IQC (EMIQ-DG, 97.44 %) is higher than commercial CGTase (Toruzyme 3.0L) treated IQC (EMIQ-TR, 57.43 %) and as long as yield of IQC-G3, EMIQ-DG (46.52 %) is much higher than EMIQ-TR (8.85 %). In this study, we optimized the yield of IQC-G3, and obtained 60.13 % IQC-G3 in 50 mM Tris-HCl (pH 7.0), 45 ºC and 100/1 ratio of glucose donor / acceptor.

      •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에 있어서 데페이즈망(Depaysment)의 가상성

        최정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현실주의(Surrealism)는 이성의 통제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사고의 참된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이 겪고 있는 갈등이나 불안, 좌절 등의 문제점들을 자유연상(自由聯想)을 통하여 표출시키게 되고 이것을 자각하는 순간에 정화가 이루어져 그 결과로 얻어지는 것이 정신의 해방이라 할 수 있다. 초현실주의의 오토마티즘(Automatism)은 이러한 자유연상으로부터 기인하며, 이는 이성의 통제를 받지 않는 상태인 데페이즈망(Depaysement)에 그대로 연결된다. 따라서 데페이즈망은 오토마티즘을 보다 정교하게, 효과적으로 다듬어가는 과정에서 싹튼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데페이즈망을 초현실주의자인 마그리트(R. Magritte)는 현실세계에 대한 논리적 회의와 인식에 대한 문제들의 반문으로써 사용했는데, 그는 이성과 합리적인 사유에 저항하여 의식적이고 계획된 행동인 데페이즈망으로 자기만의 독특한 회화세계를 구축하는데 이는 하이퍼리얼리티를 불러일으킨다. 데페이즈망을 통해 마그리트가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하이퍼리얼리티는 실재의 파괴를 통해 강화가 되는 것이다. 더 이상 환영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상에 대한 탐색과 그 흩어진 파편들을 열심히 찾는 것이 존재할 뿐이다. 다시 말해, 은유도 환유도 없고, 시선의 감시 하에서 내재의 연속이 있다. 이 객관적인 현미경의 세계에서 실재는 재현을 위한 재현의 범위 안에서 죽음의 현기증을 일으키면서 불안정하게 부유한다. 대상의 인식과 연관된 구시대적인 부조의 환영, 원근법, 공간적이고 심리학적인 깊이는 마치 세심한 시선이 분자적 약호가 된 것처럼 대상들의 표면 위에서 시각적인 기제가 되어 버렸다. 이렇듯, 마그리트 데페이즈망의 실재에 대한 문제제기는 매체에서 매체로 이르면서 죽음을 나타내는 알레고리가 되어 소멸된다. 정보에 충만하고 대중매체가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어떤 것이 자신의 기호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처럼, 실재 자체도 사라졌다. 실재는 그 자신을 위한 실재가 되며, 잃어버린 대상의 물신이 된다. 즉 더 이상 재현의 대상이 아니라, 부정의 황홀이요, 의식을 통한 소별의 황홀이다. 그것이 하이퍼리얼리티이다. 이러한 하이퍼리얼리티로서의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의 실재 자체는 지나치게 세심한 실재의 이중화를 통해 가상에 의한 현실 파괴를 도모한다. 가상은 더 이상 꿈이나 환상 속에, 혹은 그 너머에 상주하지 않고, '실재에 대한 실재의 환각적인 닮음' 그 속에 존재한다. 실재와 가상은 같은 조작의 전체 속에서 혼동되어 있으며 그러한 미적인 환상이 마그리트 데페이즈망 속에 존재한다. 그의 데페이즈망의 비밀은 매우 일상적인 실재가 다만 특별한 순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고, 그것이 지금의 예술과 가상에서 계속 도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하이퍼리얼리티를 통해 본 마그리트 데페이즈망의 가상성의 의의가 여기에 있다. Surrealism is expressing true motion of ideas when do not charge reason's command. This can be that is had purification for minute that express problems of discord, uncertainty or frustration that is suffering by this going through free association and awakes this and gets by a sequence release of mind. Automatism of surrealism is caused from these free association, this is linked as it is to Depaysement that is state that do not charge reason's command. Therefore, Depeysement can speak that it is to bud in process that elaborate Automatism more finely effectively. Magritte that this Depeysement is a surrealist used as logical meeting for the actuality world and counter-question of problems about realization, he is conscious against reason and reasonable reason and to construct only own peculiar conversation world by planned man of action Depeysement this reminds Hyper-reality. Through Depeysement, Hyper-reality that Magritte sought ultimately strengthens through real destruction. Phantom does not exist more, search and that find hard the fragments that scatter about target exist. In other words, there is neither metaphor nor metonymy, and there is series of immanence under gaze's watch. Real existence is rich changefully causing mannerism of death inside extent of reappearance for reappearance in world of this objective microscope. Phantom, perspective, spatial and psychologic depth, the old era enemy who is involved with target's realization, has become optical memorial service held on the anniversary of death on surface of targets as if prudent gaze is procedure sign the molecule enemy. Like this, problem of Magritte Depeysement is disappeared becoming allegory that display death arriving from medium to medium. Is full to information and for society batch that mass media controls, real existence itself disappeared as something can be detached from own symbols. Real existence becomes target's fetish who real existence for oneself is measure, and loses. That is, it is not target of reappearance more, it is illegal rapture, it is rapture of extinction through consciousness. It is Hyper-reality. Magritte's real existence itself of Depeysement as this Hyper-reality maintains actuality killing by imagination through circumspect real duplexing overly. Vertuality is in dream or vision more, or without residing on the beyond, exist thereinto 'About real existence real hallucinatory resemble'. Real existence and vertuality were confused within whole of same manufacturing and such aesthetic vision exists within Magritte Depeysement. Secret of his Depeysement was that very usual real existence can come to the special moment only, and it is drawn continuously at present art and vertuality. This is the reason why, Through Hyper-reality, vertuality's sense of Magritte Depeysement that see is here.

      •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탐색도구 유형이 인지양식에 따라 정보탐색에 미치는 영향 : 정확도, 소요시간, 만족도, 방향상실감을 중심으로

        최정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이 가져온 하이퍼텍스트 환경은 스스로 원하는 정보를 찾아 원하는 순서대로 학습할 자유를 학습자에게 부여해준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자유는 방대하고 복잡한 학습정보 속에서의 인지적 과부하(cognitive overload)와 방향상실감(disorientation)을 유발하여 오히려 학습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많은 연구자들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보탐색을 도와주는 다양한 탐색도구들을 제안해왔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라 탐색도구의 활용에 차이가 있음을 주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들 연구 결과는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양식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즉 선호하는 탐색도구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장의존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선형적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 주거나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탐색도구를 더 자주 사용하며, 장독립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원하는 정보에 도달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탐색도구를 더 자주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 인지양식에 따라 학습자가 선호하는 탐색도구 유형을 제공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정보탐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 학습정보의 탐색을 돕기 위해 제공되는 탐색도구 유형이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라 정보탐색 정확도, 소요 시간, 사용자 만족도, 방향상실감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탐색도구 유형(지도형/인덱스형)은 학습자 인지양식(장의존/장독립)에 따라 정보탐색 정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인지양식은 정보탐색 정확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1-2 탐색도구 유형은 정보탐색 정확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1-3 인지양식과 탐색도구 유형은 정보탐색 정확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2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탐색도구 유형은 학습자 인지양식에 따라 정보탐색 소요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인지양식은 정보탐색 소요 시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2-2 탐색도구 유형은 정보탐색 소요 시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2-3 인지안식과 탐색도구 유형은 정보탐색 소요 시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3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탐색도구 유형은 학습자 인지양식에 따라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1 인지양식은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3-2 탐색도구 유형은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3-3 인지안식과 탐색도구 유형은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4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탐색도구 유형은 학습자 인지양식에 따라 학습자가 경험하는 방향상실감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1 인지양식은 학습자가 경험하는 방향상실감 정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4-2 탐색도구 유형은 학습자가 경험하는 방향상실감 정도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4-3 인지양식과 탐색도구 유형은 학습자가 경험하는 방향상실감 정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H 여자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실시되었다 먼저, '잠입도형 검사 (Embedded Figures Test EFT)'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인지안식을 판별 한 후, 장독립성 정도에 따라 이들을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상위 43명을 장독립적 인지양식 집단으로, 하위 43명을 장의존적 인지양식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을 위해 서로 다른 유형의 탐색도구(지도형/인덱스형)를 적용한 두 가지 CD-ROM학습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각각 두 가지 인지양식(장의존/장독립) 집단에 무선할당하여 실험을 위한 총 네 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이들 네 집단간 동질성 확인을 위해서는 사전지식 검사와 컴퓨터 사용경험 조사가 실시되었다. 실험은 대상 학교의 컴퓨터실에서 총 3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매 수업은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19세기 서양 미술사'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탐색과제들에 대한 답을 학습 프로그램 내에서 찾아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총 탐색 과제 문항 수는 차시당 7문항이었으며, 정보탐색을 위한 시간은 차시당 최대 30분이 주어졌다. 3차시 실험이 모두 끝난 후, 프로그램 사용 만족도와 학습자가 경험한 방향상실감 정도를 Likert식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이 사용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F=3.603, p>.05) 및 탐색도구 유형(F=.052, p>.05)은 각각 정보탐색 정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정보탐색 정확도에 대한 두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알았다(F=.144, p>.05) 둘째,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 장독립적 학습자가 장의존적 학습자에 비해 더 빠른 시간 내에 탐색과제를 수행하였으며(F=22.702, p<.01), 탐색도구 유형의 효과에 있어서는 지도형과 인덱스형 탐색도구 간에 정보탐색 소요 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2.649, p>.05) 한편, 이러한 각 변인의 효과 외에 두 변인을 함께 결합한 상호 작용 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습자의 인지안식과 탐색도구 유형은 정보탐색 소요 시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8.331, p<.01) 즉, 장의존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지도형 탐색도구를 사용했을 때, 인덱스형 탐색도구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빠른 시간 내에 정보탐색을 수행한 반면, 장독립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인덱스형 탐색도구를 사용했을 때, 지도형 탐색도구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빠른 시간 내에 정보탐색을 수행하였다. 셋째,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 장독립적 학습자가 장의존적 학습자에 비해 더 높은 프로그램 사용 만족도를 보였으며(F=5.402, p<.05), 탐색도구 유형의 효과에 있어서는 지도형과 인덱스형 탐색도구 간에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056, p>.05) 이와 같은 각 변인의 주 효과 외에,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탐색도구 유형은 프로그램 사용자 만족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794, p<.05) 즉, 장의존적 학습자는 지도형 탐색도구를 제공하였을 때, 인덱스형 탐색도구를 제공하였을 때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장독립적 학습자는 인덱스형 탐색도구를 제공하였을 매, 지도형 탐색도구를 제공하였을 때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넷째,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에서의 정보탐색 과제 수행 동안 장의존적 학습자가 장독립적 학습자에 비해 방향상실감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3.835, p<.01), 탐색도구 유형의 효과에 있어서는 지도형과 인덱스형 탐색도구 간에 방향상실감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030, p>.05) 또한, 학습자가 경험한 방향상실감 정도에 대해 인지양식과 탐색도구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F=7.662, p<.01), 장의존적 학습자는 지도형 탐색도구를 사용하였을 때, 인덱스형 도구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방향상실감을 더 적게 경험하면서 탐색을 수행한 반면, 장독립적 학습자는 인덱스형 탐색도구를 사용하였을 때, 지도형 탐색도구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방향상실감을 보다 적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탐색도구 유형은 정보탐색 소요 시간, 사용자 만족도, 방향상실감 정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장의존적 학습자는 인덱스형보다는 지도형 탐색도구를 사용하였을 때, 반대로 장독립적 학습자는 지도형 보다는 인덱스형 탐색도구를 사용하였을 때, 방향상실감을 적게 경험하여 결과적으로 찾고자 하는 내용을 더 빨리 찾을 수 있으며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인지양식 특성에 따라 적합한 탐색도구를 제공할 때, 즉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 방향상실감을 보다 자주 경험하고 주위를 총 체적으로(globally)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 장의존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현재의 위치를 안내하고 전체 학습내용을 구조화하여 제시하는 지도형 탐색도구를 사용하도록 할 때, 그리고 새로운 정보를 재구성하는 데 능하고 주위를 분절적으로(articulately) 받아들이는 장독립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특정 정보로의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인덱스형 탐색도구를 사용하도록 할 때, 학습자의 정보탐색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 결과는 독립변인 각각의 주 효과뿐 아니라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더욱 깊이 있게 해석될 수 있었는데, 따라서 여러 변인의 영향을 연구할 경우 이들 변인 간 상호작용 연구가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하이퍼텍스트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설계자들 이 프로그램에 포함될 탐색도구 유형을 설계할 때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차이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이와 같이 탐색도구 유형과 학습자 인지양식을 함께 고려하여 설계한 하이퍼텍스트 학습 프로그램은 그것을 사용하는 학습자의 정보탐색 효율성과 만족도를 보다 더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ypertext environment provides learners with the freedom to search desired information for themselves and to learn in their own sequence Although there is a lot of potential in hypertext learning environment,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ffered through the hypertext can cause learners to experience cognitive overload or disorientation, and can hinder their learning consequently As a method to reduce such problems, various types of search tools which support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searching have been studied and proposed In addition, some researchers have recently focused on the relation of search tool types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They reported that a learner's cognitive style affects the preference of a search tool type while field-dependent learners tend to frequently choose search tool types which are well-structured and provide information of the context in hyperspace, field-independent learners tend to often choose the ones which enable them to actively jump from one node to another node during information search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it is needed to verify that offering a search tool type preferred by a learner's cognitive style results in positive effects on searching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search tool types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on accuracy, time, satisfaction, and disorientation of information searching The detail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do search tool types (map/index)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field- dependence/field-independence) affect the accuracy of information searching in hypertext environment? 1-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learners in the accuracy of information searching? 1-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a map and an index tool in the accuracy of information searching? 1-3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a search tool type and a cognitive style on the accuracy of information searching? 2 How do search tool types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affect the time of information searching in hypertext environment? 2-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learners in the time of information searching? 2-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a map and an index tool in the time of information searching? 2-3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the time of information searching? 3 How do search tool types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affect learners' satisfaction in hypertext environment? 3-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learners m learners' satisfaction? 3-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a map and an index tool in learners' satisfaction? 3-3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learners' satisfaction? 4 How do search tool types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affect learners' perceived disorientation in hypertext environment? 4-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learners in learners' perceived disorientation? 4-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a map and an index tool in learners' perceived disorientation? 4-3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learners' perceived disorientation? To get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130 10^(th) graders from H Girls'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y were tested using EFT (Embedded Figures Test) to determine the cognitive style of each person, and then according to the degree of field-independence,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 md, and low The high group of 43 students was defined as a field- independent group, and the low group of 43 students was defined as a field- dependent group Also, for the experiment, two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CD- ROM programs were developed, one type of which includes a map tool, the other type includes an index tool as a search tool type Each type of these programs was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classified by cognitive style, and as a result, four treatment groups were constructed Two pre-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m order to verify the same quality among these four groups one questionnaire to check the level of learners' computer skills and the other questionnaieto check the level of learners' prior knowledge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the total duration of three weeks D m g each lesson, students performed information searching tasks through self-learning using one educational CD-ROM program on the art history of the 19th century After the entire experiment of three times, a post-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sk learners' satisfaction and perceived disorientation To analyze data, the statistical method of two-way ANOVA was used, and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regarding the accuracy of information search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learners (F=3 603, p> 05) and between the map and the index tool (F= 052, p> 05) was found Also,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on the accuracy of information searching was found (F= 144, p> 05)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ognitive styles (F=22 702, p< 01) field-independent learners took less time in performing searching tasks than field-dependent learners However, regarding the effect of search tool typ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ap and an index tool m the time of information searching was found (F=2 649, p> 05) In addit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the time of information searching was found (F=8 331, p< 01) In other words, while field- dependent learners performed searching tasks faster when using a map tool than when using an index tool, field-independent learners were faster m performing searching tasks when using an index tool than when using a map tool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 independent learners (F=5 402, p< 05) the satisfaction of field-independent learner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field-dependent learners However, regarding the effect of search tool 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ap and an index tool m learners' satisfaction (F= 056, p>05) In addition to the main effects of each variable,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learners' satisfaction with using the hypertext program (F=4 794, p< 05) The satisfaction of field-dependent learners using a map tool overweighed that of field-dependent learners using an index tool, whereas the satisfaction of field-independent learners using an index tool overweighed that of field-independent learners using a map tool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 independent learners (F=5 402, p< 05) field-dependent learners experienced more disorientation during information searching than field-dependent learn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ap and an index tool in learners' disorientation (F= 056, p> 05) Moreover,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perceived disorientation during information searching (F=7 662, p< 01) While field-dependent learners using a map tool experienced less disorientation during information searching than those using an index tool, the opposite was found for the other group, field-independent learners using an index tool suffered less disorientation than those using a map tool In sum,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the time of information searching, learners' satisfaction, and perceived disorientation That is to say, while field-dependent learners found aimed information more quickly, experiencing less disorientation and having more satisfaction when using a map tool than when using an index tool, field-independent learners were faster in finding aimed information, experienced less disorientation and had more satisfaction when using an index tool than when using a map tool This result can be understood that offering a proper search tool type for a learner's cognitive style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information searching A map tool, which guides a current location and presents a well- organized overview of contents, can be thought to be proper for field-dependent learners who get lost more easily in hypertext environment and perceive their surroundings globally On the other hand, an index tool, which enables learners to jump from one nod to another specific nod freely and actively, can be considered proper for field-independent learners who are good at reconstructing new information and perceive their surroundings articulate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interpreted more substantially by revealing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as well as main effects of each variable Thus, when studying the influence of multiple variable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ose variables are needed to be considered important Finall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y that m designing search tool types involved in hypertext learning programs, designer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cognitive styles of learners Hypertext learning programs designed after consideration for both search tool types and cognitive styles are expected to be able to increas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information searching

      • 계란막/젤란검 복합 지지체 기반 뼈 및 연골 재생에 관한 연구

        최정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젤란검 하이드로겔을 조직 공학에 적절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점도, 분해성, 기계적 특성, 팽창 방지 특성, 그리고 생체 적합성 등의 여러 가지 중요한 특성이 바람직한지 입증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 젤란검 하이드로겔에 계란막을 첨가하여 이러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계란막의 첨가로 인하여 하이드로겔의 가교가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점도를 감소시키고 분해율을 증가시켰으며 기공의 크기를 감소시켰다. 이는 세포 전달체로써 하이드로겔의 생체 적합성과 주입성이 크게 향상된 것이다. 또한, 압축 계수가 감소하였으나, 세포 전달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없었으며, 계란막의 낮은 친수성으로 인하여 하이드로겔의 팽창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계란막과 이식하는 세포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지지체에서 세포 독성을 띄지 않고,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였으며, 유전자의 발현도 정상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계란막을 첨가할수록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In order to properly use gellan gum hydrogels in tissue engineering,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at various important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degrad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anti-swelling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are desirabl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is property can be improved by adding egg shell membrane (ESM) to gellan gum hydrogel. By adding ESM, the crosslinking of the hydrogel was effectively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iscosity, increasing the decomposition rate, and reducing the size of pores. This greatly improved biocompatibility and injectability of the hydrogel as a cell carrier. In addition, although the compression coefficient decreased, it was not unreasonable to perform the role of cell delivery, and due to the low hydrophilicity of the ESM, the expansion of the hydrogel could be effectively prevented. Finally,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the ESM and the transplanted cells, the scaffold did not exhibit cytotoxicity and promoted cell proliferation and gene expression was also observed normally. This effect was clearly observed as egg shell membrane was ad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