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초록 漢書 韋賢傳에 따르면 “東으로 朝鮮을 쳐서, 玄菟·樂浪(郡)을 세워 匈奴의 왼쪽 팔을 잘랐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일찍부터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상정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제한적이었던 까닭에 그 구체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전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衛滿朝鮮과 匈奴 양자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기원전 2세기는 衛滿朝鮮과 漢, 그리고 匈奴가 각자 세력을 확장시키며 상호 교섭·충돌한 시기였다. 건국 이래 匈奴에 대하여 수세적 입장을 취한 漢은 武帝代에 정책을 전환하여 匈奴와 대규모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衛滿朝鮮은 匈奴의 왼쪽 팔로 여겨졌고, 결국 漢과의 전쟁으로 멸망하기에 이른다. 漢이 衛滿朝鮮을 ‘匈奴의 왼쪽 팔’이라고 본 것은 匈奴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던 西域諸國을 ‘匈奴의 오른쪽 팔’이라고 본 것에 대응된다. 이를 통해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西域이 匈奴와 가졌던 경제적 관계에 준하는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漢人에게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衛滿朝鮮과 匈奴의 구체적 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자료로 기원전 2세기경에 저술된 淮南子의 기록이 주목된다.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이 그것이다. 여기에서의 穢는 前漢代 사서에 나오는 穢(穢貉)와 아울러 검토해 볼 수 있다. 史記, 鹽鐵論, 漢書, 後漢書 등에 나오는 穢(穢貉)는 朝鮮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료에 따라 穢(穢貉)는 朝鮮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한편 漢武帝 시기에 衛滿朝鮮을 濊州로 표현한 것을 통해 기원전 2세기경 濊가 衛滿朝鮮의 異稱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 무렵 漢人에게 穢(濊)로 인식된 衛滿朝鮮이 匈奴와 가죽(裘)을 교역했을 것이며, 이러한 사실이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匈奴出穢裘’를 중계무역의 관점에서 해석해보았다. 穢裘의 실체는 ‘發朝鮮의 文皮’(管子)와 ‘文豹’(三國志 東夷傳 濊條)의 사례를 고려할 때 표범 가죽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匈奴는 몽골고원지대에 위치하여 文豹와 같은 동물은 없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匈奴에게 있어 穢裘는 교환가치나 희소가치가 높은 貴重品·奢侈品 혹은 威勢品(prestige goods)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衛滿朝鮮과 匈奴의 가죽교역은 중계무역 보다는 威勢品 交易의 성격을 지녔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교역은 衛滿朝鮮과 匈奴의 세력권역이 겹쳤던 遼東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당시 遼東 지역은 匈奴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다. 또한 衛滿이 朝鮮으로 망명한 뒤 세력을 키우기 시작한 곳도 遼東이었다. 이곳에는 당시 漢의 遼東郡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武帝 이전까지는 실질적인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에 衛滿朝鮮과 匈奴가 遼東을 경유하여 穢裘를 교역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衛滿朝鮮과 匈奴의 교역을 뒷받침해주는 고고자료로는 서북한 지역에서 발굴된 匈奴계 유물을 들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觸角式銅劍’과 ‘銀製杏葉’이 있다. 결국 漢書 韋賢傳의 기록은 衛滿朝鮮과 匈奴가 가죽을 교역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군사·정치적 우호관계를 맺었던 사실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고에서 검토한 것처럼 威勢品 交易을 상정한다면 양자의 정치적 관계는 더욱 밀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계가 衛滿朝鮮이 ‘匈奴의 왼쪽 팔’이었다고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Chemkin Code를 利用한 壓縮着火方式 LPG燃料의 燃燒特性에 關한 理論的硏究
최슬기 국민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배기가스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기술로는 직접분사식 기관 기술, 배기후처리 기술 그리고 대체연료기관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직접분사식 기관 기술은 연비 효율향상과 배출가스 감소의 문제를 가장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며, 대체연료 기술은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좋은 기술이다. 이러한 두 가지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배기가스규제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직접분사식 LPG 기관 기술은 두 가지 이상의 기술을 복합하여 기관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장래 기술로 판단되지만 기존 상용 디젤기관에 직접분사식 LPG 기술의 접목은 많은 기술적 문제점이 남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PG연료를 디젤기관의 자기착화방식에 적용하기 위해(LPDi ; LPG Direct Injection) LPG 연료의 자기착화 특성을 Chemkin Code를 이용하여 모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시뮬레이션 조건으로는 연료성분, 당량비, 분위기 온도 및 압력을 변화시켜 연료의 연소 특성 및 연소 온도 변화 그리고 연소 후 배기가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당량비를 0.5, 1, 1.5 로 설정하였고, 분위기 온도 자기착화 온도 전·후에서 변화시켰으며 분위기 압력은 14, 22, 30 bar 로 조건을 주어 시뮬레이션 했다. 본 모사를 통해서 두 연료의 당량비 변화에 따른 연소시간 그래프를 보았을 때 부탄과 프로판 연료 둘 다 당량비가 높을수록 연소 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당량비의 변화에 따른 배기가스를 비교해 볼 때 배출물이 생성되는 시간이 n부탄보다 프로판이 빠르며 배출물 생성 그래프의 형태가 부탄 연료의 경우에는 예 연소구간이 있으나 프로판의 경우 예 연소 구간이 거의 없이 바로 급격히 배출물을 생성시킴을 알 수 있었다. 당량비 변화에 따른 분위기 온도 변화의 관계를 보면 n부탄 연료가 온도반응 시간이 두 배 이상 빨랐으며 연소 시 나타나는 예 연소구간이 프로판이 n부탄 보다 더 길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위기 압력변화에 따른 연료 잔량 곡선의 관계에 있어서는 연소의 시간이 n부탄 연료가 프로판보다 빨랐으며 연소 특성의 차이는 n부탄의 경우에는 예 연소구간이 존재했다. 따라서 두 연료 모두 연소결과 분위기 압력이 높을수록 연소 시간이 짧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분위기 압력변화에 따른 연소 온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연료의 분위기 압력이 높을수록 연소 시간이 짧아짐을 온도도 상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부탄과 프로판 연료의 연소 특성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n부탄 연료는 분위기 압력 변화에 따라 예 연소 구간이 나타났지만 프로판 연료는 예 연소 구간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분위기 압력 변화에 따른 배기가스 변화의 관계를 보면 배출물이 생성되는 시간이 프로판 연료보다 n부탄이 빨랐으며 배출물 생성 그래프의 형태가 n부탄의 경우 예 연소 구간이 있었으나 프로판의 경우에는 예 연소 구간이 거의 없이 바로 배출물을 생성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n부탄과 프로판 두 연료 모두 압력이 높을수록 연소반응 시간이 빨라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위기 압력 변화에 따른 OH 변화를 알아보면 OH 가 생성되는 시간이 프로판보다 n부탄이 빨랐으며 두 연료 모두 압력이 높을수록 OH 생성 시간이 빨라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omputer simulation was made under the similar condition as the conditions in the a constant combustor in order to investigat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ignition of the LPG fuel by utilizing Chemkin code.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equivalence ratio,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were allowed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PG fuel and change of combustion temperature, emissions and OH compound were produced and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1. Combustion duration were delayed as equivalence ratios were increased both in n-butane and propane fuels. 2. Pollutants were exhausted faster in propane fuel than in n-butane fuel and precombustion period was occurred in n-butane but that period wasn't existed in propane fuel. 3. In the temperature history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equivalence ratios, a reacting temperature of n-butane fuel was twice faster as that of propane fuel and combustion stages of propane fuel were longer than that of n-butane fuel. 4. Comparing combustion duration with respect to ambient pressure changes, n-butane fuel was faster than propane fuel in combustion timings and was assured that higher ambient pressure made shorten combustion timing. 5. In combustion temperature regarding ambient pressure changes, higher ambient pressure made shorten combustion timing and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was higher. Also precombustion period was occurred by the change of ambient pressures in n-butane fuel but it was not happened to propane fuel. It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molecular numbers in both fuels. 6. In the change of pollutants with respect to ambient pressure change, propane was fired faster than n-butane fuel and there are precombustion period was occurred in n-butane fuel but not in propane fuel but propane fuel emitted pollutants immediately. Combustion timing of two fuels were faster as ambient pressure were getting higher. 7. In the change of OH regarding ambient pressure changes, OH producing hours was faster in propane fuel than in n-butane fuel. In higher ambient pressures, both fuels tends to produce faster OH pollutants.
기업이미지 제고(提高)를 위한 색채이미지 연상에 관한 연구
최슬기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Companies have to project a more positive image to appeal customers in order to survive in the image-competing market of modern times. CI color suggests its image and goal, so that it can be used as permanent marketing tool which impresses customers` mind by the process of association. Color is the primary visual factor which decides the company`s image and the easiest way to touch customers` feelings. Customers recognize a company`s image by color. The color recognized by the customers hibernate in customers` unconsciousness and when they remind themselves of a company, color pops up to their minds and constitute the image of the company. Modern customers are sensitive to colors, so customer`s reaction to colors should be thoroughly examined before developing CI colo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ompanies to develop CI color for their image campaigns by understanding customers` mind. I examined current CI colors of companies into details. Based on this examination, I carried out a survey regarding co-relation among colors, corporate image, and business fields. I selected companies which uses corporate identity color from top 300 companies (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2007) and analyzed their CI colors. I investigated which color customers associate with company`s image and business field. The survey reveals that customers associate environment-friendly company image with vivid BG and G, high-tech corporate image with vivid, dark PB, trustworthy corporate image with vivid bright PB, hopeful future-oriented corporate image with vivid bright R, Y, PB, joyful, happy corporate image with R and YR, enthusiastic corporate image with vivid dark PB, customer-oriented humanistic corporate image with bright vivid YR, growing developing corporate image with vivid dark PB, R, clean corporate image with vivid bright PB. When it comes to business sector, customers associated banking with vivid dark PB, education with vivid dark various colors, media and news with vivid dark PB, game with various bright vivid colors, food and beverage with vivid R, IT with vivid dark PB, health and medication with various vivid colors, and sports with vivid dark PB and R. As the survey result says, customers associate the color with the company image. And there are certain colors associated with the business field of the company. The color associated with company image was identical to the color associated with company`s business field. This implies that if a company develops its CI color, its business fiel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ome CI colors do not match the color customers associate with the company`s image. Many companies use several colors which represent business fields. Some of these colors also do not match the colors which customers associate with business field. This study helps companies to develop their CI color, based on survey of customers` color association which is the real subject that builds corporate image. 현대 시장은 소비자로 하여금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기업이미지를 구축하여 이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해 소비비자의 감성에 어필하는 이미지 경쟁 시대이다. 기업의 아이덴티티컬러는 기업의 이미지와 기업이 추구하는 정신을 함축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지속적인 홍보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컬러를 각인 시켜 연상에 의한 기업 인식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컬러는 기업 이미지를 결정짓는 가장 일차적인 시각적 요소임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감성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요소이다. 소비자들은 이제 컬러로서 기업의 이미지를 인지하는 것이다. 소비자에게 인지 된 컬러는 소비자의 형상 속에 축적 되어 있다가 기업을 떠올렸을 때 과거의 경험과 기억들의 연상으로 기업의 컬러가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되며 떠오른 컬러는 이미지를 형성하게 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다양한 개성과 풍부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 현대의 소비자들이 뛰어난 컬러 감각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이들을 효과적으로 소구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컬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비자 심리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이해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기업이 이미지 제고를 위한 아이덴티티컬러 개발 시 소비자 색채심리를 파악 해 보다 나은 기업이미지 형성에 도움을 주는 컬러개발을 돕기 위한 목적이 있다. 기업이미지 표현의 중요한 수단이 되는 기업 아이덴티티컬러의 사용 현황을 분석 해 보고 이 결과를 토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기업이미지와 분야에 따라 연상되는 컬러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한상공회의소에 등록 된 국내기업 및 외국계 기업의 2007년 기준으로 매출액 순위별 300위 내 기업들 중 기업 아이덴티티컬러가 확립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이미지별, 분야별 아이덴티티컬러 사용현황을 조사·분석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기업이미지별, 분야별로 연상되는 색상과 톤을 조사·분석하였다. 현황 조사 결과 현 기업들은 기업이미지나 분야별로 사용되는 특징 있는 색상과 톤이 있었다. 자연, 친환경기업이미지는 선명·밝은 PB와 GY가, 첨단·미래지향적인, 신뢰의 기업이미지에는 선명·짙은 PB와 B, 희망찬 미래의 기업이미지는 선명·밝은 PB, 즐거운·행복을 주는 기업이미지는 선명·밝은 R, YR 컬러가 많이 쓰이고 있었다. 열정·도전의 기업이미지는 선명한 R, 고객지향·인간중심의 기업이미지는 밝은·선명한 R, PB, G의 컬러가 성장·발전의 기업이미지는 선명·짙은 G, BP의 컬러가 많이 쓰였고 깨끗한 기업이미지에는 선명·밝은 PB가 사용되고 있었다. 분야에 따른 아이덴티티컬러사용에서는 금융은 선명·밝은 PB, 교육은 선명·밝은 R와 PB, 미디어·뉴스는 선명한 YR와 PB, 게임은 밝은·선명한 PB, 식음료는 선명한 R, 정보통신·IT는 선명·짙은 R, 건강·의학은 선명한 PB, 스포츠는 선명·짙은 PB와 R의 색상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 기업이미지에 따른 연상색채의 결과로 자연, 친환경기업이미지는 선명한 BG과 G이, 첨단·미래지향적인 기업이미지는 선명·짙은 PB가, 신뢰의 기업이미지에는 선명·밝은 PB, 희망찬 미래의 기업이미지는 선명·밝은 R, Y, PB의 컬러를 연상 하였다. 즐거운·행복을 주는 기업이미지는 선명·밝은 R와 YR, 열정·도전의 기업이미지는 선명·짙은 R, 고객지향·인간중심의 기업이미지는 밝은·선명한 YR와 R의 컬러가 성장·발전의 기업이미지는 선명·짙은 PB, R의 컬러 연상이 많았고 깨끗한 기업이미지에는 선명·밝은 PB의 연상이 많았다. 기업성격에 따른 색채연상 조사에서는 금융은 선명·짙은 PB, 교육은 선명·짙은 톤의 다양한 색상, 미디어·뉴스는 선명·짙은 PB, 게임은 밝은·선명한 R와PB, 식음료는 선명한 R, 정보통신·IT는 선명·짙은 PB, 건강·의학은 선명한 톤의 다양한 색상, 스포츠는 선명·짙은 PB와 R의 연상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와 같이 소비자들은 제시된 기업이미지에 따라 각각의 색채를 연상하고 있었으며 분야에 따라서도 연상되는 색채가 있었다. 또한 분야에 따라 연상되는 색채와 기업이미지는 기업이미지에서 연상되는 색채와 동일하였다. 이는 기업의 아이덴티티 컬러 제작 시 자사의 성격에 관해서도 염려해 두어야 함을 시사 하는 바이다. 현 기업들이 이미지 제고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아이덴티티컬러는 소비자들이 이미지에 따라 연상한 아이덴티티컬러는 일치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많았다. 그리고 현 기업들이 분야별로 사용하고 있는 아이덴티티컬러와 소비자가 연상하고 있는 아이덴티티컬러 또한 일치하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업이미지 형성의 주최인 소비자 심리의 연상 색채에 관한 연구로 설문 조사를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아이덴티티컬러 개발 시 기업이미지 전달을 높일 수 있는 아이덴티티컬러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수업의 연계성 연구
최슬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는 미용교육전공이 개설된 전체 교원양성기관 교육대학원 6곳 중 4곳의 2014-2016년도까지 총 5학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업시수와 2014-2016년도의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항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고시된「미용」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과 교육대학원의 수업의 연계성을 연구하였으며 교육대학원의 학생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2014-2016년도까지 최근 3년간 실시된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A⋅B 문항을 기본 이수 과목을 기준으로 평균 분석한 결과 미용교육론 22.06% 가장 비중이 높게 출제되었고 그 다음 헤어미용 19.57%, 피부미용 18.88%, 화장품과 메이크업 10.87%, 공중보건학 9.03%, 미용학개론 7.51%, 해부학 6.03% 순으로 출제되었다. 전체 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평균한 결과와 임용시험 출제율 간의 연계성은 미용교육론, 네일미용, 화장품과 메이크업, 공중보건학, 해부학 영역은 연계성이 있었지만 미용학개론, 헤어미용, 피부미용 영역은 연계성이 낮았다.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대상을 설문 조사한 결과 교육대학원생 대부분은 임용시험을 보기 위해 진학하였지만 임용시험을 준비하는데 교육대학원의 수업이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의 미용교육전공 교육과정은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함께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대비한 교육 병행에 중점을 둔 개선이 필요하다.
인지행동 음악치료가 음악전공자들의 무대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최슬기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인지행동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음악전공자들의 무대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음악대학 및 예술대학 3곳에서 무대공포증을 겪는 음악전공자를 대상으로 무대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높은 점수를 얻은 음악전공자 1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으로 구분하여 무선 배치하였으나, 실험집단 1명이 중도 포기를 하여 실험집단 4명, 통제집단 5명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8년 3월 15일부터 4월 17일까지 주 2회 50분으로 10회기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양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대불안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무대 불안 점수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무대 불안 점수에서 뚜렷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무대공포증을 겪는 음악전공자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자들이 작성한 설문지와 연구자의 관찰기록내용, 참여자들의 경험 및 변화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의 결과, 참여자들의 무대공포에 대한 경험변화는 원인 찾기, 생각 공유, 나의 변화, 새로운 음악경험, 스트레스 해소, 새로운 다짐으로 6가지의 구체적인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및 삶의 질
기능성 위장장애는 일차의료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질환의 소화장애 증상들이 스트레스 및 정서적 장애 등 심리적인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는 많으나, 건강습관을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저자는 이들 환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건강습관의 실천정도를 알아보고 삶의 질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9년 5월부터 6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의 건강검진센터와 가정의학과 외래 및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와 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설문조사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여 진단된 69명의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들과 69명의 정상 대조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소화장애 증상의 정도와 Breslow의 7가지 건강습관 및 식이습관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스트레스양의 측정은 한국어판 BEPSI 설문서(BEPSI-K)와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을 이용하였으며 삶의 질 평가에는 COOP/WONCA Charts를 이용하였다.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성별, 결혼상태, 직업, 교육수준, 소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에 있어 환자군의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은 운동과 아침식사에서 대조군에 비해 좋지 않은 습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커피를 더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군은 BEPSI-K양과 GARS scale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고, 삶의 질에서는 운동영역 외 감정, 일상생활, 사회적 활동, 건강상태, 통증 영역에서 삶의 질이 떨어져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좋지 않은 건강습관을 가지고 스트레스양이 많으며 삶의 질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에게서 좋은 건강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Dyspepsia is a common symptom in primary practice. It is well-known that dyspeptic symptoms in functional dyspepsia(FD) are related to psychologic factor such as stress and mood disorder. But few studies about health habits and quality of life in FD are presen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health habits,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FD. From May 1st to July 30th 1999, visitors to a health screening center and a family practice center were studied. The subjects responded to questionnaire including severity of dyspepsia, health habits, BEPSI-K, GARS scale and COOP/WONCA charts and then interviewed with a physician. Among eligible subjects, sixty nin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functional dyspepsia by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d sixty nine persons were included as normal control group. Patients with FD had Poor health habits of exercise and breakfast, and drank more coffee and than control group.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re found between FD and control groups. Health habits and stress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FD, and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FD than control group. Author assumes that good health habits and stress control are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FD.
불륜 소재 멜로드라마 캐릭터의 신화원형 패턴연구 :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중심으로
최슬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캐릭터 창조가 숙명과도 같은 배우와 작가에 있어서 보편성을 가진 캐릭터 구축을 돕기 위함으로 신화원형을 대입시켰다. 특히 멜로드라마 속 캐릭터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는데, 이유는 과거와 현재를 아울러 사회를 가장 친밀하게 반영한 매체가 TV 드라마이기 때문이고, 가장 주를 이루는 장르인 멜로드라마를 선택하였다. 그중에서도 불륜이라는 소재는 멜로드라마의 특징을 잘 드러내며 누가 불륜을 주도하는지와 인물이 가진 사회적 역할에 따라 일정한 신화원형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원형의 패턴이 드러날 수 있던 이유는 신화가 오래 전부터 사람들 입을 통해 전해져왔기 때문이다. 신화는 인간의 내면과 본질적인 면모가 잘 드러나 있다. 신화는 이야기마다 이야기를 끌고 가는 중심인물이 있으며, 상황보다는 인물 중심의 플롯으로 구성된다. 볼린은 이런 신들을 유형화시켜 심리에 대입했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해 멜로드라마 <부부의 세계> 주요 인물에게 신화원형을 접목하였다. <부부의 세계>에서 나타난 인물들에게서 신화원형이 각각 다양하게 나타났고, 실제 신화의 인물 관계가 연관되는 결과도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어떤 캐릭터를 창조하고자 할 때, 신화원형을 이용하면 보다 보편적이면서도 타당성이 강한 캐릭터를 만들 수 있기에 설득력 있는 연기와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substituted a mythical archetype to help with character building for actors and writers whose creation of character is like a destin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s in melodramas, the most dominant genre in TV dramas which most closely reflects the past and present society. Among them, infidelity is a subject that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elodrama well with the patterns of certain mythical archetypes depending on who leads the infidelity and the social roles of the characters. Such archetypical patterns are shown because myths have been passed down orally by people for a long time, revealing the internal and essential aspects of human beings well. Each story of mythology has a central character who leads the story and is composed of a plot centered on the character rather than the situation. Bolen categorized these myths and substituted them into psychology, which this study used to graft mythological archetypes to the main characters of Korean melodrama <The World of the Married>. Each character in the drama showed a variety of mythical archetypes, with a result that they were related to the actual relationship of mythical characters. Therefore, using mythical archetypes can create a more universal and valid character to carry out more convincing acting and storytelling.
국립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이 지역 어린이에게 미치는 학습경험의 통합연구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이 지역 어린이의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전시 체험을 통한 지역 어린이의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학습결과와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국립어린이박물관에서 지역 어린이들의 학습정도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상호보완성을 바탕으로 하는 통합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후퍼 그린힐(E. Hooper-Greenhill)의 GLO(Generic Learning Outcomes)를 바탕으로 다섯 가지 평가항목(지식과 이해, 소통, 흥미, 태도와 가치, 행동과 발전)을 설정하고 질문지를 설계하여 연구 대상 박물관이 있는 지역의 초등학교 3~4학년생 621명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평가항목 별 국립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학습결과와 전시형태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양적자료의 데이터 분석을 보완하여 통계적 분석 이면에 숨겨진 잠재적 이유를 찾고자 심층면접 가이드를 작성하고 전·현직 초등학교 선생님 6명을 대상으로 지역 어린이의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어린이들의 학습경험을 통해 본 국립어린이박물관의 학습효과는 다섯 가지 평가항목에서 모두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역 어린이들은 체험을 통해 능동적 학습을 하며 지역문화유산의 인지 영역을 넓히고 이해 정도를 높인다. 또한 체험을 통한 흥미 유발은 지역 어린이들의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발달시키고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가치적 태도와 지역문화 자긍심의 형성을 돕는다. 특히 어린이박물관에서 어린이들의 반복적인 학습경험이 어린이의 지적성장을 이끌어내며, 지속적인 자기주도적 학습의 형태로의 발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립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은 지역 어린이들의 학습경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가치나 삶에 방식에도 영향을 준다. 둘째, 전시형태 별 연구 대상 박물관의 통계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국립어린이박물관의 교육내용과 방법의 상대적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문화재에 대한 교육으로의 전시주제는 ‘문화유산의 가치’ 영역의 인지와 지역문화 자긍심 형성기관으로의 어린이박물관에 대한 인식이 높인다. 또한 다각도에서 문화재를 바라 볼 수 있는 전시내용은 어린이들의 지역문화유산의 포괄적인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체험행위 자체가 사고적 성격을 포함한 경험형이나 원리탐구형의 전시물, 직접적 체험의 전시연출의 교육공학적 설계, ‘현장형’과 같은 공간적 요소는 상대적으로 어린이들의 몰입을 높이며 능동적 학습을 통한 지역문화유산의 이해 정도와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발달을 높인다. 셋째, 교사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해석된 몇 가지 사실은 앞으로 국립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 극복해야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첫째, 국립어린이박물관 교육이 다루고 있는 교육주제가 주로 문화재와 역사적 개념에서 머물고 있고, 어린이들은 문화재 용어와 역사적 개념을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학습의 정도에 있어서 지식의 평균 습득도는 낮다. 둘째, 비형식적이고 일회적 성격의 어린이박물관은 학습이 진행 될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일차적으로 유희성에 크게 반응하는 경향이 크고, 체험의 행태가 유희적인 면이 강하게 나타난다. 셋째, 앞서 나타난 어린이들의 두 가지 경향 때문에 학습에 대한 어린이들의 공감을 얻기 어렵고, 학습을 진행하는 데 어린이들은 개인적인 의미를 크게 느끼지 못한다. 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은 어린이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흥미와 이해도 향상뿐 아니라 어린이의 태도와 가치 형성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박물관의 체험식 전시는 연속되는 교육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일회성 경험으로 끝날 수 있고, 국립어린이박물관에서 다루는 ‘지역문화유산’이라는 교육주제는 과학이나 수학과 같은 개념적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신체적 체험만으로는 그 이해가 쉽지 않다. 따라서 연속적이고 의미 있는 학습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에서 어린이들의 학습경험을 파악하여 지속적인 방문을 통한 신체적 및 정신적 참여를 유도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어린이가 체험의 과정 속에서 사고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어린이의 학습경험의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어린이박물관교육의 학습효과를 평가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것은 박물관에서 어린이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쟁점사항이라고 생각한다.
크로스미디어 광고 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매체 몰입도를 중심으로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은 다매체, 다채널 환경을 조성하였고, 인터넷, 모바일 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뉴미디어를 등장시켰다. 이러한 매체 환경의 변화는 이용자로 하여금 매체와 상호작용하며 능동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공유하고자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왔다. 따라서 광고의 패러다임도 소비자에게 양방향적인 소통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왔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중요성이 부각된, 기존의 전통매체와 뉴미디어의 특성을 상호보완적으로 교차시켜 시너지 효과를 추구하는 크로스미디어 광고 전략은,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과 맥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마케팅적으로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행동적 반응 측면에서, 크로스미디어 광고가 미치는 영향이, 결합된 뉴미디어의 속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첫 번째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변수인 크로스미디어 광고 유형을 상호작용성이란 속성에 따라 ‘잡지+포털사이트’ 결합유형과, ‘잡지+SNS' 결합유형의 두 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을 위한 광고물은 잡지포스터에 포털 또는 SNS의 키워드와 검색창을 삽입하여 두 유형으로 제작하였다. 두 집단으로 구성된, 네이버 또는 페이스북 이용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각각의 광고물을 제시하고 소비자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이트 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대하여, 잡지+포털 광고에 노출된 집단과 잡지+SNS 광고에 노출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의도 항목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성이 강한 매체인 SNS 결합유형의 크로스미디어 광고보다, 인지적 상호작용성이 강한 매체인 포털 결합유형의 영향력이 소비자 반응의 모든 항목에서 더 우세한 경향성은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앞서 검토한 영향력이 매체 몰입도가 개입되었을 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각각 매체 몰입도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하여, 어느 크로스미디어 광고 유형의 영향력이 더 우세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매체 몰입도가 낮을 때에는 인지적 상호작용성이 강한 잡지+포털 유형의 영향력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몰입도가 높을 때에는 두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구매의도에 한해서 사회적 상호작용성이 강한 매체인 SNS 결합유형의 영향력이 조금 더 우세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종속변수 항목들은 소비자의 구매 전 탐색활동에 속하는데, 이 경우 인지적인 정보처리과정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인지적 상호작용성이 강한 매체가 결합된 유형의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우세하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욕구의 충족이 용이한 매체인 SNS가 결합된 유형은, 몰입이 높을수록, 매체에 대한 친밀감과 신뢰가 수반된다는 측면에서 광고제품에 대한 호감을 형성시켜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of family Rosaceae was mostly cultivated in Jeolla-do, Korea and known for its plentiful vitamins, minerals, fiber and especially polyphenols. Ethanol (Spirit) extracts (D.W., 50%, 75%, 95%) were prepared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RAW 264.7 macrophage cells. 50%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in vitro by down-regulat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level. It was also conduc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confirmed using male ICR mice in vivo. Korean black raspberry ethanol extracts treated with 1.5% dextran sulfate sodium (DSS) induced mice. As a resul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recovered length of colon significantly in 50% ethanol extract. In protein level, Korean black raspberry ethanol extracts had the inhibitory effects in all extracts on iNOS level and especially 50% ethanol extract had higher inhibitory effect among 4 extracts on COX-2 expression. Extract of 50% ethanol also controlled inhibitory κB (IκB-α) that function to inhibit the nuclear factor κB (NF-κB) transcription factor,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 which were classical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and c-jun N-terminal kinases (JNK) that were responsive to stress stimuli, such as cytokines. The protein expression of DSS-induced interleukin-6 (IL-6) and interleukin-1β (IL-1β) were down-regulated by 50% ethanol extract and 75% ethanol extract.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was down-regulated by 50% ethanol extract. To screen anti-inflammatory metabolomes of 50% ethanol extract, data were analyzed using LC-ESI-Ion trap-MS/MS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d-discriminant analysis (OPLS-DA). Consequently, cyanidin-3-glucoside was found significantly higher in 50% ethanol extract compared to other concentra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quantified cyanidin-3-glucoside in Korean black raspberry ethanol extracts, in which 50% ethanol extract was observed much higher amount than the others. I treated with quantified amount of 50% ethanol extract and standard of cyanidin-3-glucoside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to compare effects of anti-inflammation. A similar pattern between standard of cyanidin-3-glucoside and 50% ethanol extract was found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50% ethanol extract was due to cyanidin-3-glucoside. This study will be a useful basement for the application of Korean black raspberry as nutraceuticals. 복분자(장미과, Rubus coreanus Miquel)는 우리 나라 전라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Black raspberry이며, 섬유소와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고 특히, Polyphenol의 Flavonoids 계열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복분자를 대표하는 검붉은 색은 Flavonoids 계열의 Anthocyanin류에 기인한다. Anthocyanin은 기능성 색소로서 현재 각광 받고 있는 phytochemical이며,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노화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 복분자 생리활성과 Metabolomics를 이용한 함유 성분 분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용 가능한 주정 (Ethanol, Spirit) 을 사용하여 추출한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와 in vivo상에서의 항염증 효과 확인과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동정을 통해 생리활성을 갖는 기능적인 식용 색소체로의 이용가능성을 예측하며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용 가능한 주정을 농도별 (D.W., 50%, 75%, 95%) 로 사용하여 복분자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물들은 전반적으로 붉은 계열의 색을 띠었으며 50% 주정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밝기와 적색도를 보였다. 4개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Lipopolysaccharide (LPS) 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여 복분자 주정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염증 marker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genase-2 (COX-2)의 저해 활성을 측정을 통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고, 4개의 추출물 중 50% 주정 추출물이 iNOS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였고 COX-2에서는 염증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Male ICR mice를 이용한 in vivo 상에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1.5% Dextran sulfate sodium (DSS)로 궤양성 대장염을 유발시킨 mice에 복분자 주정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50% 주정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장 길이를 회복시키는 것을 통해 항염증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장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염증 관련 marker인 iNOS와 COX-2의 발현 조절 활성을 분석하였고, iNOS의 경우 모든 복분자 주정 추출물에서 염증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COX-2에서는 50% 주정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iNOS의 염증성 cytokine의 발현 조절 상위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Nuclear factor κB (NF-κB) 신호전달 경로의 대표적인 marker인 Inhibitory κB (IκB-α)가 분해되는 정도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신호전달 경로의 대표적인 marker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와 cytokine과 같은 스트레에 반응하는 protein kinase인 c-Jun N-terminal kinases (JNK)의 활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50% 주정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IκB-α의 분해를 막는 것을 확인하였고, ERK와 JNK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분자 주정 추출물을 먹인 동물모델에서 DSS에 의해 야기된 염증에 의하여 염증성 cytokine (TNF-α, IL-6, IL-1β) 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는 50% 주정 추출물을 먹인 집단에서, Interleukin-6 (IL-6)와 Interleukin-1β (IL-1β)는 50%, 75% 주정 추출물을 먹인 집단에서 염증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50% 주정 추출물에 함유된 항염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체를 LC-ESI-Ion trap-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변량 통계분석인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d-discriminant analysis (OPLS-DA)를 실시하여 50% 주정 추출물과 나머지 D.W. 추출물, 75% 주정 추출물, 95% 주정 추출물과의 비교를 통해 두 추출물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대사체들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50% 주정 추출물은 나머지 추출물에 비해 Cyanidin-3-glucoside가 유의성 있는 성분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복분자 주정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Cyanidin-3-glucoside를 HPLC를 이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50% 주정 추출물에 Cyanidin-3-glucosid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50% 주정 추출물과 동일한 Cyanidin-3-glucoside의 양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여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저해 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비슷한 양상으로 염증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Cyanidin-3-glucoside가 50% 주정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산 토종 품종인 복분자의 기능적인 식용 성분의 이용과 산업화에 있어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