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SCOPUS
      • 수업모형에 따른 내적동기 차이비교

        최두진(Choi Dooji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6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8 No.-

        본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 이해중심 게임수업 모형과 기능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두 모형 간의 내적동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모형 간의 비교를 통하여 이해중심 게임수업 모형이 내적동기에 있어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인천에 소재하는 J여자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참여 인원은 140명이었다. 집단은 게임중심 집단과 기능중심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집단 간 2개 학급 70명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는 총 10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자기주도적 학습기간인 방학과정 4주와 실제 수업을 통한 수입과정 6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 및 통계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는 방법으로는 ANCOVA를 이용하여 각 변인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체육내적동기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 사후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내적동기의 하위변인인 재미, 노력, 유능감, 긴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첫째, 여고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재미요인은 이해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이 기능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 보다 재미요인이 높다. 둘째, 여고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노력요인은 이해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이 기능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 보다 노력요인이 높다. 셋째, 여고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유능감요인은 이해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과 기능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넷째, 여고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긴장요인은 이해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과 기능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활용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wo different instructional models, an understanding-oriented game approach and technique-oriented one, affected the intrinsic motivation of high school girl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in an effort to determine whether the understanding-oriented game approach had a better effect on their intrinsic motiv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0 juniors in four classes of J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Two groups were made up of two classes each that included 70 students respectively: game-centered group and technique-oriented group, a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a 10-week period of time. For the first four weeks, the two groups were engaged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n received physical education lessons for six week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intrinsic motivation questionnaires for physical education. A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to see if there were any gaps between them in the subvariables of intrinsic motivation, including enjoyment, effort, efficacy and ten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ANCOVA was conducted to look for any possible significant intergroup gap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njoyment of the high school girls in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he group to which the understanding-oriented game approach was applied found it more interesting than the other to which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was applied. Second, as for the efforts of the high school girls for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he group that utilized the understanding-oriented game approach directed more efforts into physical education learning than the other that made use of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Third, in terms of the efficacy of the high school girls for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group that utilized the understanding-oriented game approach and the other that employed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Fourth, as to the tension of the high school girls about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no significant gap existed between the group that utilized the understanding-oriented game approach and the other that used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 KCI등재

        미국저작권법 최초판매이론의 현주소

        최두진(Choi, Doo-Ji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3

        미국저작권법은 저작자에게 복제권, 2차적 저작물 작성권, 배포권 등의 독점권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권리는 공정이용, 도서관에서의 복제, 최초판매이론 등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다. 최초판매이론은 저작권자가 한번 상업적인 흐름에 복제물을 내놓았다면 저작권자는 그 복제물에 대하여 더이상의 저작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미국 저작권법에서 최초판매이론은 1908년의 Bobbs-Merril 판결에서 비롯된다. 법원은 적법하게 동산을 취득한 자는 그 동산의 처분을 통제할 수 있다는 보통법의 원리를 채용하여 최초판매이론의 기초를 세웠다. 이 판시는 그대로 1909년의 저작권법의 개정에 포함되었다. Bobbs-Merril 판결은 국내에서 생산되고 국내에서 판매된 사건에 대한 것이었다. 1998년 Quality King 판결은 국내에서 생산되고 판매되었으나 외국으로 수출되었다가 다시 국내로 수입된 사건에 대한 것이다. 법원은 이 사건에서도 최초판매이론의 적용을 확인하였다. 2008년의 Omega 판결은 복제물이 저작권자의 적법한 권한에 의하여 외국에서 생산되고 판매된 제품에 대한 것이다. 이 제품이 다시 미국내로 수입이 된 것이다. 이 사건에 대하여 법원은 국내에서 생산되고 판매된 제품만이 최초판매이론의 적용을 받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2013년 같은 사안이 다시 문제된 Kirtsaeng 판결에서 연방대법원은 최초판매이론은 외국에서 생산되고 판매된 물건에도 적용됨을 확정하였다. 해외에서 생산된 제품에 최초판매이론을 적용하느냐의 문제는 저작권자에게 지역적으로 다른 가격의 시장 분할을 인정할 것인가의 여부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저작권자에게 시장분할을 인정한다면 국내의 도서관과 미술관 그리고 중고시장과 응용기술의 분야 시장 등은 엄청난 손실을 입게 된다. 그러나 저작복제물최초판매이론에 관한 판례의 추이는 곧 지적재산권자의 시장의 확대역사와 같이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시장의 확대는 지적재산권자의 이익 증대를 의미한다. 저작권자가 이익의 확대를 위하여 열린 시장에 진입하였다면, 국내의 이익을 보존하기 위하여 열린 시장의 흐름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국제적인 최초판매이론은 저작권에만 한정될 것은 아니고 특허, 상표법에서도 전면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세계적인 교감도 있어야만 할 것이다. The owner of American copyright has the exclusive rights to reproduce, to prepare derivative works and to distribute so on. But these rights are subject to the restraints such as fair use, reproduction by libraries and archive, first sale doctrine. The first sale doctrine recognizes that once a copy right owner has put his work into the stream of commerce, he loses the right to control further distribution of the work. The first sale doctrine in American copyright law stems from Bobbs-Merrill Co. v. Straus in 1908.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adopted the common law right to control the disposition of chattels in one's lawful possession and confirmed the first sale doctrine. The doctrine was codified in §109(a) of the 1909, 1947 and 1976 Copyright Act. In Bobbs-Merril, the copyrighted goods were made and sold in the US. In Quality King of 1998 the copyrighted goods at issue were also made and sold in US, but after being exported, imported back into US.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first sale doctrine again. After this decision, Omega in 2008 addressed the issue as to whether the copyrighted goods legally made and sold abroad could be protected by the doctrine, when they were imported into the US. The 9th Circuit court stated that §109(a) grants first sale protection only to copies legally made and sold in the US. But on March 2013 in Kirtsaeng the supreme court held that first sale doctrine allows importing physical books lawfully made and acquired abroad into the US for resale without violating a copyright owner's distribution right. The issue that the first sale doctrine should be applied to the goods made and sold abroad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ferring upon copyright owner the right to devide the markets charging different prices for copies. When admitted, libraries, museums and markets of used-book, technology, retailor would incur large losses. The foregoing cases tell that the expansion of the first sale doctrine has coincided with that of the copyright market. More market means more profit to copyright owner. Once he use the market, he could not close the backdoor of the market. The first sale doctrine should be applied to the world trade as well as the Patent law, Trademark la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상표법 제51조에 관한 소고

        최두진(Choi, Doo-Ji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3

        「상표법」제51조 제1항은 자기의 성명, 명칭 등과 보통명칭, 기술적 상표(제2호)는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표권이 미치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또 관용상표와 현저한 지리적 명칭 및 그 약어 또는 지도로 된 상표와 식별력이 없는 입체상표, 기능과 관련된 입체상표와 색채상표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과는 상관없이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표법」제51조는 식별력이 없거나 독점적응성이 없는 상표의 대표적인 것만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등록상표의 적극적 요건인 식별력에 관한 규정인 제6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51조에 없더라도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아 상표권의 효력을 제한하는 것이 제51조의 규정취지에 맞는다고 할 것이다. 제51조 중에서 자기의 성명, 명칭 등을 제외하고는 식별력이 없는 상표이고 이러한 상표의 사용은 자타상품을 구별할 수 있는 힘이 없는 상표이므로 본래부터 상표적 사용이 아니어서 상표권의 효력이 없다. 하지만 자기의 성명, 명칭 등은 식별력이 있고 식별력이 있기 때문에 명칭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자연히 자타상품의 구별표지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상표적 사용에 해당한다. 제51조는 이러한 상표적 사용에 대하여도 독특한 서체나 도안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기의 성명, 명칭 등을 일반 거래계에서 사용하는 방법대로 표시한다면 상표권의 효력을 미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보통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제6조와 제51조에서 같은 의미이고 같은 판단기준에 의하여 판단된다. 물론 상표전체인가 일부도 포함되는가 하는 판단의 대상과 판단의 자료가 적고 많음에 차이는 있다. Under the Trademark Law article 51.1., no right in trademark shall be extended to the mark which is indicating one’s own name, title or trade name etc, descriptive mark, a trademark used commonly for goods, a trademark formed of distinguished geographic denomination and abbreviation thereof or a map in usually used ways. Moreover no right in trademark shall be extended to a three-dimensional mark not having discrimination, a trademark with three-dimensional shape or a color or combination of colors relating to function. The Trademark Law article 51.1 illustrates typical marks not have discrimination. So, as to the trademarks which are relevant to the Trademark Law article 6., though not in the article 51., the right in trademark shall not be extended in the specific example. Trademarks covered by article 51., except a mark which is indicating one’s own name, title or trade name etc., not having discrimination, can not indicate the relation between goods and owner’s business. Therefore the use of those marks are not use as a trademark, originally no right in trademark shall be extended to such marks. But the trademark which is indicating one’s own name, title or trade name etc., have discrimination, and the use of those marks are use as a trademark. Even though they used as trademarks, article 51. does not extend a right in trademark to such use of marks so long as they are used in usually used ways. “How to use in usually used ways” has the same meaning in both article 6. and article 51.. But there are differences of object and criterion of decision with respect to these.

      • KCI등재

        정조(正祖)의 일상을 통해 본 정조시대의 교육 방향 연구

        최두진 ( Choi Doojin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본 연구는 정조(正祖, 1752-1800)가 일상에서 강조한 교육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조는 정기적으로 사직단(社稷壇)과 종묘(宗廟)에 제사를 지냈고, 영조(英祖)와 그 왕후의 능과 사당에 가서 전배(展拜)나 작헌례(酌獻禮)를 충실하게 수행했다. 무엇보다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사당인 경모궁(景慕宮)과 그 무덤을 이장한 화성(華城)의 현륭원(顯隆園)에 수시로 가서 전배함으로써 장헌세자(莊獻世子: 사도세자)-영조-숙종(肅宗)까지를 전배의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창덕궁(昌德宮) 서북쪽에 있는 대보단(大報壇)에서 명(明)나라 태조(太祖), 신종(神宗), 의종(毅宗)에게 망배례(望拜禮)를 지냈고, 제사를 지낸 후에는 명나라 후손들을 불러 접대를 베푸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과거(科擧)와 과시(課試)도 하나의 의례이자 행사로서 항상 해당 관리들과 논의하여 시험 날짜를 정하였고, 그 시험의 성격에 따라 그 규모에 맞는 직부(直赴)와 같은 상을 주기도 하였다. 정조는 재임 초기에는 경연(經筵)에 자주 참여하였지만 1790년대부터는 경연을 거의 펼치지 않은 대신 『소학(小學)』,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와 같은 소학류를 편찬하고 『소학』 강(講)을 강조함으로써 정학(正學)을 이루고자 하였다. 정조는 의례를 통해 명분과 의리를 다하면서, 기본에 충실한 정학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많은 기회를 주면서, 그 기회를 잡은 제신(諸臣)들이 본보기가 되어 정학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direction that Jeongjo(正祖, 1752-1800), the 22<sup>nd</sup> King of Joseon Dynasty, emphasized in his daily life. Jeongjo regularly held ancestral rites at the Sajikdan(社稷壇) and Jongmyo(宗廟) Shrines, and went to the tombs and shrines of Yeongjo(英祖) and his queen to faithfully perform ancestral rites and rituals. Above all, he frequently visited Gyeongmo Palace(景慕宮), the shrine of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and Hyeonrungwon(顯隆園) in Hwaseong(華城), where his tomb was relocated to make a tribute to Crown Prince Jangheon(莊獻世子), Yeongjo, and Sukjong(肅宗). At the Daebodan(大報壇) in the northwest of Changdeokgung(昌德宮), the Ming(明) Dynasty’s Taejo(太祖), Shin Jong(神宗), and Uijong(毅宗) held a funeral service. The Gwageo(科擧) and the Gwasi(課試) were also a ritual and event, always discussing with the officials concerned to set the exam date, a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exam, awards such as a position appropriate to the size of the exam were also given. In the early days of his tenure, Jeongjo frequently participated in the Gyeongyeon(經筵), but from the 1790s, he rarely held the Gyeongyeon. Instead, he compiled books of Sohak type such as 『Sohak(小學)』 and 『Oryun Haengsildo(五倫行實圖)』 and tried to achieve suspension by emphasizing the lecture of 『Sohak』. Jeongjo tried to restore a Jeonghak(正學) that was faithful to the basics while fulfilling his cause and duty through his rituals. To this end, he emphasized that Jeonghak should be made by giving many opportunities to various subjects, and setting an example for the gods who seized the opportunity.

      • KCI등재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연행(燕行)과 그 교육적 의의

        최두진 ( Doo Jin Choi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고려 후기의 대표 유학자인 익재 이제현의 연행 활동과 그 교육적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조선과 달리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에서, 그리고 고려왕이 아닌 원나라 황제의지배를 받으면서, 유학자의 삶을 살아갔던 익재가 어떤 연행의 과정을 거쳤고, 연행 중에 어떤 사상적 측면을 고심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원나라에서의 활동과 그 사상의 형성이 당시의 고려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교육적 의의를 주고 있는지도 기술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단지 왕조 중심의 교육사와 제도 중심의 교육사를 넘어, 한 인물을 역사적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삶의 측면에서 그 특징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출세 지향적이고 위인지학(爲人之學)의 측면이 강한 오늘날의 교육적 상황에서 위기지학(爲己之學)적 의의를 되새겨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고찰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Yeon Heng(燕行) done by Ikjae(益齋) LeeJe-hyun(李齊賢), who was one of representative confucians in the latter Koryeo Dynasty, in which Buddism played critical role as national religion and under the control of Yuan(元)Emperor. Toward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kjae`s Yeon Heng process and for what philosophical aspects he was concerned for. As well as, it explored how his action and formation of idea in Yuan had influenced Koryeo and what implications it suggested for tod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goes beyond educational history based on Chosun Dynasty and institution by focusing on a historical figure, and help us to think about another form of education different from today which is success- and self-oriented.

      • KCI등재

        당사자의 사망과 소송대리권

        최두진 ( Doo-jin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소송대리인 중에서 임의대리인은 법정대리인과 달라 그 선임이 강제되지 않고 당사자의 임의에 맡겨져 있다. 임의대리인은 당사자의 변론능력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판례는 당사자가 소제기 전에 소송대리를 위임하고 사망하였는데 소송대리인이 이를 모르고 소를 제기한 경우 이 소는 적법하다고 하였다. 즉 당사자가 소제기 전에 사망하여도 소송대리권은 소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소송대리권은 본안을 기준으로 하는 때에는 본안에 대한 대리행위가 소송행위로서 표시된 때 즉 소가 제기된 때에 비로소 발생하여 그 심급이 끝나면 소멸하는 것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위와 같은 소는 당사자표시정정이 없는 한 부적법한 것으로 각하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당사자가 사망하였으나 소송대리인 등에 의하여 일부의 당사자가 그 표시정정에서 누락된 경우상소제기의 특별수권이 있는 때에는 누락된 상속인은 알지도 못하는 판결에 대하여 상소의 기회조차 부여받지 못한 채 그 판결의 효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는 절차를 중시하는 민사소송법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의 소송 대리권은 상속인들이 소송의 주체임을 인식하는 때까지로 제한되어야 한다. 다만 그 시기를 일률적으로 확정하기 위하여 판결의 송달을 받을 때까지로 보아 그때까지만 소송대리권이 존속하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이렇게 되면 누락된 상속인들이 판결이 있음을 알고 수계할 때에 비로소 절차가 다시 진행되므로 누락된 상속인들이 판결이 있음을 알지도 못한 채 그 판결이 확정되는 일이 없게 되어 절차적인 보장을 받을 수 있다. Agent in fact unlike legal representatives among Attorneys are not compulsory to delegate, but option of party. The system of agents in fact is to supplement ability of party’s argument in proceeding. Precedents say that when a party delegated an agent in fact a power on certain case and after the party’s death the agent in fact brought the suit not knowing the party’s death, the lawsuit is lawful. In other word, even if the party died before lawsuit the power of attorney does not extinguished. But when the original case is used as a criteria, the power of attorney should begin at the time of bringing suit and extinguish at the end of a stage of the case. On the other hand, when a party is died but an attorney for him exists, the case is not interrupted. If an attorney correct the indication of new party, but omit some of heirs and the attorney has the power for an appeal, the some of heirs get the effect of the decision without having any chance to decide on the appeal. But this result can not be accepted especially in the proceeding laws. So in this case, the power of attorney only exists until the all heirs know the case is pending and could handle the case. This time is need to be determined together, and the time should be when the attorney gets the written judgement.

      • KCI등재

        고대 중국의 성인관(聖人觀) 연구

        최두진 ( Doo Jin Cho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는 “성인(聖人)은 위엄 있고, 본받아야 하는 인물이다.”라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성인은 스스로 즐겁고 또한 남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인물”로서 규정해보았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공자(孔子)를 성인으로 본다. 하지만 실제로 공자 이후에 ‘성인’의 인간상이 이론화 되었다. ‘성인’의 사전적 의미는 “지혜와 덕이 매우 뛰어나고, 존경받을 만한 사람”이다. ‘聖人’의 ‘聖’자를 분리해서 보면, ‘耳’, ‘口’, ‘王’의 각각은 ‘듣다’, ‘말하다’, ‘왕’의 뜻이 된다. 여기서 ‘성인’은 ‘남의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 ‘이고, ‘남을 잘 이해해주는 사람’이다. ‘성인’은 말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성인’은 잘 헤아릴 수 있는 사람이고, 어떤 일에 대해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을 말한다. 공자는 자신을 ‘성(聖)’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하였다. 맹자는 선인(善人), 신인(信人), 미인(美人), 대인(大人), 성인(聖人), 신인(神人)으로 구분하여 개인도 구체적인 단계를 밟으면, 성인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후 많은 유학자들을 거쳐 주자(朱子)에 이르면, ‘성인(聖人)’은 교육의 목적으로서 중요한 개념이 된다. 공자 이후에 성인이라는 의미를 부각시키고, 삶의 목적으로 삼았던 것이다. 고대의 신은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신과 다르다. 고대에는 고통 받는 일반 백성들을 위로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였다. 우리가 보통 ‘聖’자를 ‘耳’자에 주목하여, 잘 듣는 사람을 성인으로 파악한다. 또한, ‘口’자에 주목하면, 신의 소리를 듣고, 그 소리를 입을 통해 전달하는 사람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1986년에 발굴되었던 청동가면을 성인과 연결시킨다면, ‘성(聖)’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락(樂)’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인은 고대의 교사로 볼 수 있다. 잘 들어주고 삶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사람이 교사였던 것이다. 사람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내면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고, 그 변화는 결국 즐길 수 있는 삶을 가져온다. 오늘날 교사도 교과목의 지식만을 전달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문제를 잘 들어주고 파악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꾀하고 학교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age (聖人) in ancient China. China and Korea regard Confucius (孔子) to be a sage but bestowing him with the title of sage was only theorized after the life of Confucius. The dictionary defines sage as a person who is superior wisdom and virtue. The sage is not constrained and works and teaches without a word. The sage is someone who listens to what others have to say, understands others deeply, and acts wisely. Confucius himself is reported as saying that he could not become a sage, nut it was also said that he made constant efforts towards achieving this status.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the concept of sage before the era of Confucius were realized actively however after Confucius, a new concept emerged to include the sage as a meaningful purpose to strive towards in life. The Understanding of the sage (聖人觀) in The Spring-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 (春秋戰國時代) has different characters which provides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sage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The ancient god was different from the god we think of these days. In the ancient era, god’s image was one of laughing and giving enjoyment with laughter which was seen as necessary because it was important to console ordinary people from their suffering. We recognize an exceptional listener as sage because we normally observe ‘耳 (Ii)’ at ‘聖 (Sheng)’. Also, observing ‘ Ku (口)’, it is construed as the man who can listen the god’s voice and transfer the voice through mouth. Connecting the Big Mask (大形假面) excavated in 1986 with sage, ‘Rak (樂)’ is the most significant element of sage to which. Xunzi (荀子) said the “sage thinks enjoyment”. Therefore, the sage can be regarded as ancient teachers. Just listening to a person’s words can bring about internal change, and that change eventually brings laughter. The ancient Chinese education was to entertain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by a teacher called the 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