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용 그래픽 노블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 2010년 이후 국내에 출간된 작품을 중심으로 -

        천효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ntity of graphic novels targeting children.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the term graphic novel first appeared, but in Korea, graphic novels are having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their own domain. To this end, we discussed the concept of graphic novels and the standards of work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to children’s literature, focusing on works that have been recently published in Korea. The two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e identity of graphic novels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take the form of a cartoon in a formal way. Graphic novels follow the genealogy of comics with strong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picture texts lead the narrative. Among children’s books, picture books and blended narratives are similar in form to graphic novels, but they cannot be regarded as cartoons and should be excluded. Second, it must have artistic perfection in terms of content. The criteria for judging pictorial achievement include artist-style, artwork, and originality and experimentation of expression form. The complexity of the plot, themes, and literary depth can act as criteria for evaluation of narrative completeness. As more and more learners are already encountering graphic novels in the field, I expect the follow-up discussion to continue.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 그래픽 노블의 정체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래픽 노블이라는용어가 처음 등장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났지만, 국내에서는 그래픽 노블이 독자적인영역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에 출간된 작품을 중심으로 아동문학 안으로 들어온 그래픽 노블의 개념과 작품의 기준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래픽 노블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두 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상으로만화의 양식을 취해야 한다. 그래픽 노블은 서사성이 강한 코믹스의 계보를 따르고 있으며, 그림 텍스트가 서사를 주도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동용 도서 중에서 그림책이나 다중 서사 양식 작품들은 형태상으로 그래픽 노블과 유사하나 만화로 볼 수 없어제외해야 한다. 둘째, 내용상으로 예술적인 완성도를 갖춰야 한다. 회화적 성취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작가주의적 스타일과 아트웍, 표현 형식의 독창성과 실험성 등을 들수 있다. 서사적 완성도에는 플롯의 복잡성과 주제의식 및 문학적 깊이가 평가의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미 현장에서 그래픽 노블을 접하는 아동 독자들이 늘어나고있는 만큼, 후속 논의가 계속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김종렬 동화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 ‘꽃마을 3부작’을 중심으로 -

        천효정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6

        The feature of Kim Jong-ryeol’s children’s story is defined as ‘grotesque’. Grotesk can be defined as a mixture of laughter and thrills, as well as a surprise to the reader and a smile at the same time. Grotesk reveals the intrinsic human essence and the truth of the hidden world. In this sense, Kim Jong-ryeol’s ‘Flower Village trilogy’ Roll Corner of the Road, The Giant Rock of the Sunflower Village and The Case of Manipulation of Nativity Myth can be said to be a group that expands the aesthetic horizon of children’s literature. The grotesque in ‘Flower Village trilogy’ is largely divided into superficial and structural. The superficial grotesque is a grotesque of painterly images, represented by images of hybrids and marionette figures. By breaking stereotypes about plants, animals, and humans, and merging separate objects into one, Grotesk typically shows an upside down world. Grotesque in structural terms is caused by intentionally obscuring the plot, which is a causality of narrative. In ‘Flower Village trilogy’, the real world suddenly changes into a place where it suddenly comes to life, giving surprises and surprises. In the unfamiliar world, power relations are reversed, but through a bitter gaze of a child with unwanted power, a gloomy carnival is realized. The grotesque revealed in ‘Flower Village trilogy’ is summarized as a strange image and social satire. Through the world of grotesque, where familiar and unfamiliar things intersect, it breaks down the boundaries of the fence we believed to be safe and arouses uncomfortable feelings. The purpose of these grotesques is to shake the reader’s idle and schematized consciousness, leading to a stronger awareness of the contradictions of reality. 김종렬의 동화의 특징은 ‘그로테스크함’으로 규정된다. 그로테스크는 웃음과 전율이 혼합된 것, 경악하게 만들면서 동시에 웃게 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로테스크는 외면할 수 없는 인간의 본질과 감추어진 세계의 진실을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김종렬의 꽃마을 3부작 『길모퉁이 행운돼지』, 『해바라기 마을의 거대 바위』, 『난생신화 조작 사건』은 아동문학의 미학적 지평을 확장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꽃마을 3부작에 나타난 표면적 그로테스크는 혼종과 마리오네트 인물로 대표된다. 이러한 이미지는 인간과 비인간에 대한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존재의 이면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구조적 그로테스크는 플롯을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듦으로써 발생한다. 돌연 생경해진 세계에서 권력 관계는 역전되지만, 원치 않는 권력을 쥔 어린이의 씁쓸한 태도를 통해 우울한 카니발을 실현한다. 낯익은 것과 낯선 것이 혼재하는 그로테스크의 세계는 우리가 안전하다고 믿었던 울타리의 경계를 허물고 불편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그로테스크의 목적은 독자의 안일하고 도식화된 의식을 흔들어 놓아 현실의 모순에 대한 더 강렬한 깨달음으로 이끄는 데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연구

        천효정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ral narrative creation using mobile ASR app. Methods: Oral narrative creation class using ASR app i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The result shows an anecdotal plot characteristic of an oral narrative. When the oral output was converted into a description form, the learner could easily modify the output. Conclusion: ASR app make it easy to edit and share dictations by easily turning them into technical data. In additio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evices can contribute to rethinking positive perceptions of students’ oral creative activitie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수업을 진행하고,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물은 구술서사의 특징인 일화적 플롯을 보여준다. 구술 결과물이 기술 형태로 전환될 경우, 학습자는 결과물을 쉽게 수정할 수 있었다. 학습자는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수업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론: 자동 음성인식 앱은 구술 자료를 기술 자료로 손쉽게 전환시켜 줌으로써 수정과 공유가 용이하게 도와준다. 또한 자동 음성인식 장치는 학생의 구술 창작 활동에 긍정적 인식을 재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기 대출 어린이책의 오락성 연구

        천효정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of top-ranking children's books in library libraries. To do so, entertainment was analyzed based on popular book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for the last three years. The origin of entertainment in children's literature can be found from Paidia play. In works reflecting Paidia, there is no attempt to delay satisfaction by deliberately suppressing desire. It is not patient, it is full of laughter, and the reader's desire is always satisfied. Recently, popular children's books reflect this kind of entertainment well. Looking at the formal aspect, the reinforced image-oriented composition and the lead of the series stand out. In terms of cont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bination of a familiar master plot and an idealized hero character has become a major form.

      • KCI등재

        어린이책의 다중 서사 양식 탐구 - 『나무 집』과 『코드네임』 시리즈를 중심으로 -

        천효정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2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1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modal narrative style of newly emerged children’s books were explored. The multimodal narrative style refers to a form in which the picture leads the narrative in the same position as the text, not just the illustration of the 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narrative style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multimodal narrative style works 『Tree House』 and 『Codename』series. In the complex narrative style, there are two narrative systems: text and pictures. The pictorial text in the complex narrative sty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arrative with the same weight as the text. To say that the picture text leads the narrative has the same meaning as the existence of a separate narrator for the picture only. These plural narrators create new meanings independently or organically by mutual influence. The pictorial text in the complex narrative style has its own form and system. Typical examples are the unique cartoon symbol system and sequence construction method. The picture text in the complex narrative style leads the narrative in a way that compressively conveys information through a comical symbol system or reveals temporality through connected cuts. These narratives show a feast of slapstick humor and happenings in content. Although it is a genre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a term for a multimodal narrative style work has not yet been prepar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n depth follow up studies on multimodal narrative style works and methods of appreciation will continue.

      • KCI등재

        초등학생 서사 영재의 창작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천효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In this study, based on the case of the narrativ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it was intend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narrative gift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the narrative gifted students with the identity of the author. As a result, the target student had a strong intrinsic motivation for creation. And another driving force that allowed the target students to create many works was the readership who provided positive feedback.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a process approach as well as results in discriminating narrative giftedness. Second, narrative gifted children need a window through which they can communicate their work. Third, intensive education is needed for narrative gifted students. This is because the narrative giftedness has a large intrinsic motivation for writing, so it is difficult to satisfy it within the general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서사 영재 사례를 바탕으로 서사 영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가의 정체성을 가진 서사 영재 학생을 표집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 학생은 창작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동기를 추동하는 것은 쾌락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 학생이 양적으로 방대한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던 중요한 동력은 즉각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독자층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서사 영재를 판별하는데 있어 결과뿐 아니라 과정적 접근이 필요하다. 서사 영재 판별에 있어서 결과물의질적 완성도를 포함하여 글쓰기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둘째, 서사 영재에게는 작품을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 재능을 인정해주고 적극적으로 수용해주는 독자의 존재는 서사 영재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준다. 셋째, 서사 영재에게는 심화 교육이 필요하다. 서사 영재는 글쓰기에 대한 내발적인 동기가 커서 일반교육과정 내에서는 충족이 어렵기 때문에 적극적인 심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 문학 영역 평가의 교사 간 채점 양상 비교 -교육용 웹사이트의 서술형 평가지를 중심으로-

        천효정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문학 영역 평가에 있어 교사 간 채점 양상을 비교하여 평가의 신뢰도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방법: 교육현장에서 실제 사용된 교육용 웹사이트의 서술형 평가지로 6학년 학생 36명이 결과물을 작성하고, 10명의 초등교사가 채점하도록 하였다. 채점 결과는 SPSS 프로그램으로 평가자 간 상관관계 측면에서 살피고, 이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특이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수치상으로는 대체로 상관이 ‘높음’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단순히 ‘상관 있음’의 경우도 약 13%에 달했다. 또한 평가자들은 채점 시 점수를 상향조정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사항을 제안한다. 첫째, 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지를 제공하고 있는 교육 사이트의 자료를 비판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수행평가 채점 시 상향편중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 교육연극에서 마당극 양식의 구현 방법 연구

        천효정(Hyojeong Cheon)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9

        목적:본 연구는 초등 교육연극에서 마당극 양식이 가지는 의의와 그 구현 방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이를 위해 마당극의 정의와 양식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밝히며, 마당극 양식을 실제 희곡 각색에 적용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천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결과:2장에서는 마당극의 카니발 서사적 특징과 무대의 확장 및 관객의 전환 방식을 다룬다. 이를 바탕으로 마당극이 교육연극과 어떻게 의미 있는 접점을 가질 수 있는지 짚어본다. 3장에서는 마당극의 양식을 반영한 희곡 각색 방법을 논의한다. 그러기위해 창작 동화 「칠 대 독자 동넷개」를 동명의 어린이 희곡으로 각색한 사례를 예로 들고, 사회적 약자의 승리를 다룬 플롯과 얼러대기 표현 전략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결론:마당극은 우리 전통극을 현대적 연극으로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킨 장르라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높다. 이 연구는 마당극 양식을 교육연극에 적용함으로써, 연희자 중심의 교육연극에서 소외되었던 관객 학습자를 연극의 실질적인 주체로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aning of Madanggeuk in elementary education drama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Methods:To this end, I will explain the definition of the madanggeuk do 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oretically and proceed to suggest a practical method by presenting the application of madanggeuk. Results:Chapter 2 deals with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arnival of the madanggeuk, the expansion of the stage and the way the audience changes. Based on this, I will examine how madanggeuk can have meaningful contacts with educational theater. Chapter 3 discusses how to adapt the drama to reflect the style of the stage. For this purpose, let’s take as an example the adaptation of the creative fairy tale 「Seventh Only kid Dongnetgae」 as a children’s play of the same name, and find out how to use the plots dealing with the victory of the weak and the eolleodaegi expression strategy. Conclusion:Madanggeuk Pole is educational value because it is a genre that creatively inherited and developed our traditional drama as a modern drama.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apply the madanggeuk style to the educational drama, and to transform the audience learner who was alienated from the drama centered educational drama into the actual subject of the drama.

      • KCI등재

        개인적 신화에 기반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 속 생존자 이해 - 「구멍 난 손」과 『유원』을 중심으로 -

        천효정(Cheon Hyo-jeo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9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신화 이론을 바탕으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 속 생존자 인물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인적 신화는 인간 개개인 삶의 여러 국면을 목적이 있고, 설득력이 있는 전체로 합쳐지도록 구성한 특별한 종류의 이야기다. 개인적 신화 속 생존자 개념을 바탕으로 아동소설 「구멍 난 손」과 청소년소설 『유원』의 인물을 분석한다. 생존의 경험과 같은 핵 에피소드는 이해 가능한 형태로 해석되지 않으면 인물에게 정신적 상흔을 남긴다. 생존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두 가지 해결책을 찾는다. 하나는 사고의 원인을 자신에게 돌려 ‘원인-결과’의 플롯으로 보강하여 스스로를 처벌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생존의 결과물인 자기 자신을 ‘마땅히 살아남을 만한’ 필연적 인물로 만들기 위해 위선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대응은 항구적인 지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인물들은 각각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방식으로 개인적 신화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구멍 난 손」의 ‘나’가 아빠의 도움을 통해 새로운 이마고를 만들어 냈다면, 『유원』의 유원은 스스로의 힘으로 개인적 신화의 제작자 자리를 탈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인물들은 지속적으로 개인적 신화를 수정하고, 조화롭게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차원 높은 성숙을 이룰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rvivors in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based on personal myth theory. Personal myths are a special kind of story that naturally constructs the various phases of individual human life into a purposeful and convincing whole. Based on the concept of a survivor in a personal myth, we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children’s novel 「Hole Hands」 and the youth novel 『Yuwon』. Nuclear episodes, such as the experiences of survival, leave psychological scars on the character unless interpreted in an understandable form. The survivors in this work find two solutions to solve this problem. One is to punish yourself by turning the cause of the accident back on you and reinforcing it with a ‘cause-effect’ plot. The other is to show hypocrisy in order to make oneself, the result of survival, an inevitable person ‘deserving to survive’. Since this response is difficult to sustain permanently, other solutions are required. First, the process of remodeling Imago, a character in personal mythology, is necessary. Next, you must reclaim the status of a myth maker. If ‘I’ in 「Hole Hands」 created a new imago with the help of her father, YuWon in 『Yuwon』 shows how she retakes the position of creator of personal myths by herself. If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deals with the darkest parts of human life, namely violence and death, it must also present a human face that confronts them head-on. It is hoped that further discussion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