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 연극의 공간 구성 방향

        천효정 ( Cheon¸ Hyo Jeo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6

        이 연구의 목적은 교실 연극의 효과적인 공간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간이 연극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또한 교실 연극의 공간적 특성과 학습자로서의 배우, 학습자로서의 관객의 특성을 짚어본다. 이를 바탕으로 교실 연극을 위한 공간의 구성 방향을 제안한다. 교실 연극은 일반 연극과 구분되는 특성을 지닌다. 교실 연극의 배우와 관객은 특정한 교육적 목적을 위해 과업을 수행하고 있는 학습자다. 교실에서 연극을 진행할 경우, 학습자들이 연극적 환상에 쉽게 몰입할 수 있도록 교실 공간을 의도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교실 연극을 위한 공간 구성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 공간을 확보한다. 실제 교실과는 물리적으로 다른 경계 공간을 체험함으로써 관객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둘째, 열린 무대 공간을 조성한다. 무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제4의 벽이 없는 트인 공간을 조성한다. 셋째, 객석은 일탈 공간으로 구성한다. 객석은 관객이 경직된 자세에서 일탈할 수 있도록, 즉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느슨하게 조직한다. 교실 공간은 연극의 또 다른 주체로, 관객과 소통하며 연극이 만들어내는 환상에 기여한다. 앞으로 교실 연극의 공간에 대한 연구가 더 심도 있게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space composition direction for classroom play. It examin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play, the actors as learners, and the audience as learner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composition of space for play is proposed. Classroom play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rom ordinary play. Actors and audiences are learners who are performing tasks for educational purposes. It is necessary to intentionally reconstruct the classroom space so that learners can easily immerse themselves in the theatrical illusion. The direction of space composition for play is as follows. First, secure the boundary space. The audience's attention is aroused by experiencing a boundary space that is physically different from the actual classroom. Second, create an open stage space. The stage is composed of round or oval to create an open space without a fourth wall. Third, the auditorium is composed of deviating spaces. The auditorium is loosely organized so that the audience can deviate from a rigid position, that is, move freely. Classroom space is another subject of the play,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and contributing to the illusion created by the play.

      • KCI등재

        개인적 신화에 기반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 속 생존자 이해 - 「구멍 난 손」과 『유원』을 중심으로 -

        천효정(Cheon Hyo-jeo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9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신화 이론을 바탕으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 속 생존자 인물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인적 신화는 인간 개개인 삶의 여러 국면을 목적이 있고, 설득력이 있는 전체로 합쳐지도록 구성한 특별한 종류의 이야기다. 개인적 신화 속 생존자 개념을 바탕으로 아동소설 「구멍 난 손」과 청소년소설 『유원』의 인물을 분석한다. 생존의 경험과 같은 핵 에피소드는 이해 가능한 형태로 해석되지 않으면 인물에게 정신적 상흔을 남긴다. 생존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두 가지 해결책을 찾는다. 하나는 사고의 원인을 자신에게 돌려 ‘원인-결과’의 플롯으로 보강하여 스스로를 처벌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생존의 결과물인 자기 자신을 ‘마땅히 살아남을 만한’ 필연적 인물로 만들기 위해 위선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대응은 항구적인 지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인물들은 각각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방식으로 개인적 신화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구멍 난 손」의 ‘나’가 아빠의 도움을 통해 새로운 이마고를 만들어 냈다면, 『유원』의 유원은 스스로의 힘으로 개인적 신화의 제작자 자리를 탈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인물들은 지속적으로 개인적 신화를 수정하고, 조화롭게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차원 높은 성숙을 이룰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rvivors in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based on personal myth theory. Personal myths are a special kind of story that naturally constructs the various phases of individual human life into a purposeful and convincing whole. Based on the concept of a survivor in a personal myth, we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children’s novel 「Hole Hands」 and the youth novel 『Yuwon』. Nuclear episodes, such as the experiences of survival, leave psychological scars on the character unless interpreted in an understandable form. The survivors in this work find two solutions to solve this problem. One is to punish yourself by turning the cause of the accident back on you and reinforcing it with a ‘cause-effect’ plot. The other is to show hypocrisy in order to make oneself, the result of survival, an inevitable person ‘deserving to survive’. Since this response is difficult to sustain permanently, other solutions are required. First, the process of remodeling Imago, a character in personal mythology, is necessary. Next, you must reclaim the status of a myth maker. If ‘I’ in 「Hole Hands」 created a new imago with the help of her father, YuWon in 『Yuwon』 shows how she retakes the position of creator of personal myths by herself. If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deals with the darkest parts of human life, namely violence and death, it must also present a human face that confronts them head-on. It is hoped that further discussion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2009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옛이야기 연구-개작의 적절성을 중심으로-

        천효정 ( Cheon Hyo-jeo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본고는 2009 초등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옛이야기를 대상으로 개작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옛이야기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개작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점 분석할 교과서 제재는 중심 제재로 사용 되었으며 줄글 형태로 실린 이야기, 내용 전체의 줄거리가 실린 이야기, 고전소설이 아닌 일반 설화를 기준으로 총 1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개작의 과정을 거쳐 교과서에 수록된 옛이야기를 살펴보면, 완성도 면에서 약간 아쉬운 작품들이 눈에 띈다. 독자들은 교과서 이야기가 `올바르고 좋은 이야기` 즉, 정본이라고 오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 싣는 이야기는 조심스럽게 고르고 공들여 다시 써야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옛이야기의 개작 모습은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화소의 재구성` 측면으로, 탈락되거나 삽입된 화소가 교육적인 관점으로 온당한가를 살폈다. 두 번째는 `서술자의 문체` 측면으로 서술자의 문체가 옛이야기다움을 잘 실리고 있는지 살폈다. 옛이야기를 교과서 제재로 활용하는 이유는 그것이 학습 목표 달성에 유용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옛사람이 남긴 이야기의 매력과 가치를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교육적 목적을 고려해 보면, 옛이야기는 가능한 옛이야기답게 쓰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adaptation of the korean folktale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2009 Revision). To do this, first clarifi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lktale, and examined the meaning of the adaptation. Looking at the folktale contained in textbooks through the process of adaptation, some unfortunate if they work in complete noticeable. Readers loading story in textbooks tend to misunderstand that the textbook story is always correct and a good story, so we should carefully and painstakingly rewritten. The adaptation of the folktale in the textbook was divided into two major perspectives. First aspect is `Reconstruction of Tale element`. I examined whether dropped or embedded pixels came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Next aspect is `Literary style of Writer`. The reason for utilizing the folktale in a textbook sanctions is to convey to students the value and appeal of the folktale left behind not only because it is useful in achieving learning goals. Given these educational purposes, the old stories will be written like the folktale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