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평가 연구 : 김포 강화 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채종옥,김소양 미래유아교육학회 199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quality levels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programs in Kimpo and Kangwha area. Total 56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programs were surveyed from four perspectives; from perspectives of principals,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On principals' perspective, some selecte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e setting, the equipment, and other features of kindergartens in Kangwha area were better than those in Kimpo area, and those of public kindergartens were better than private ones. On children's perspectiv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leen areas and between public and private programs in children's preference to their kindergarten, and their interests in daily activities. However,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enrolled kindergartens in Kimpo area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of in Kangwha. And those of private kindergartens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of public kindergartens. On teachers' perspective, public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with their working conditions than private teachers. But private teachers were more cooperative on performing their job than public teachers. Teachers personal relationships in both areas were very goo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rea. But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ere not so good. On parents' perspective, parents' respect for teachers in both areas were very high. Parents in Kangwha area were more satisfied with curriculum activities of their kindergarten than parents in Kimpo area, and parents of public kindergartens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of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채종옥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6

        본 연구는 개별적으로 환상그림책을 읽어주는 동안 그림책에 대한 반응의 주체자인 유아가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유아들의 질문과 코멘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 54명이며, 연구 도구로는환상그림책 9권이 사용되었다. 분석 내용은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한 유아들의 질문과코멘트의 빈도 및 각각의 반응유형, 등장인물에 대한 선호 근거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첫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질문하기 보다는 코멘트 하는 빈도가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평가적 질문’을 가장 많이 하였고, 다음이 ‘상상적 질문’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질문 유형에비해 ‘몰입적 질문’과 ‘개인적 질문’ 빈도는 매우 낮았다. 셋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평가적 코멘트’를 가장 많이 하였고, 다음이 ‘상상적 코멘트’, ‘몰입적 코멘트’,‘개인적 코멘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 선호 근거로 ‘등장인물의 외형’을 제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등장인물에 대한 주관적 느낌’, ‘등장인물의 역할’,‘등장인물의 특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등장인물의 성’을 제시한 경우는 한 명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현장 교사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전략의 계획· 실행과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증진을 위한 전략 연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유아의 이야기 이해에 관한 연구들에 대한 고찰

        채종옥(Jong Ok Chae)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1

        This review examined trends in research on the assessment of Korea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Specific areas that were analyzed included types of questions asked in the assessment and variables treated as relevant to the assessment of story comprehension. Literal, inferential, and critical questions were identified. Among the 33 studies reviewed, 20 used all 3 types of questions, the other 13 used only literal questions. The studies using only literal questions interpreted comprehension of a story as comprehension of letters and/or components of a story. The other studies interpreted it as comprehension of implied meaning of a story. Other relevant variables were teaching strategies (29 studies) and structural components (4 studies). None of the studies treated children`s internal variables related to story comprehension.

      • KCI등재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그림책 확장활동 분석

        채종옥 ( Jong Ok Cha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장차 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을 교육하게 될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그림책 확장활동을 분석했다. 분석 내용은 첫째,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그림책 확장활동의 유형, 그림책 확장활동이 초점을 두고 있는 문학적 구성요소, 문학적 구성요소별로 살펴본 확장활동의 유형이었고, 둘째 예비교사들이 설정한 그림책 확장활동의 목표가 그림책의 문학적 구성요소에 부합되는지 여부였다. 대상은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68명이 계획한 그림책 확장활동계획서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그림책 확장활동유형은 작업활동이었다. 그림책 확장활동이 초점을 두고 있는 문학적 구성요소로는 `주인공 및 등장인물`이 가장 많았다. 확장활동이 초점을 두고 있는 문학적 구성요소별로 선호하는 활동유형을 살펴본 결과 `주인공 및 등장인물`에 초점을 둔 경우에는 작업활동이, `에피소드`에 초점을 둔 경우에는 게임활동이, `배경`과 `화가`의 경우에는 작업활동이, `작가`의 경우에는 언어활동이 각각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설정한 그림책 확장활동의 목표는 전체적으로 보면 그림책의 문학적 구성요소와 부합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으나, 게임활동의 경우에는 확장활동 그 자체를 목표로 함으로써 그림책의 문학적 구성요소와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는 향후 예비교사 교육에서 특별히 유의해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ospective teachers` preference on story-picture-books extension activities. Two questions were inquired. First, what type of story-picture-books extension activities were most favored, and which literary elements of the story-picture-books were the focuses of the extension activities? Second, what were the intended objectives of the extension activities, and were they well fitted with the literary traits of the story-picture-books? To answer these questions, 68 plans on extension activities made by prospective teachers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most favored extension activities were work activities. And the focus of the extension activities most frequently centered on the hero/heroine and other characters. There was a tendency of relationships between literary elements and types of the favored activities. When the extension activities focused on characters of the story-picture-book, work activities were most favored; when on episodes, game activities; when on setting and illustrator, work activities; and when on author, language activities were most favored. Second, many of the intended objectives of extension activities were related to literary traits of the story-picture-books, and not related cases were less. But in cases of the game activities, a lot of not related cases were found.

      • KCI등재

        그림책에 대한 영,아의 반응 연구 경향 분석 -1996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채종옥 ( Jong Ok Cha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10년까지 15년 동안 수행된 그림책에 대한 영·유아 반응 연구 총 64편을 수행된 시기별로 I기(1996-2000년), II기(2001-2005년), III기(2006-2010년)로 나누어 연구경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 편수는 I기와 II기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III기에 접어들어서 급증하였다. 둘째, 전체적으로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III기에서는 5세를 선정한 연구 수는 매우 감소하였고, 2세 혹은 4세를 선정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연구 대상 연령의 하향화 현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환상그림책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장르별에 따른 변화 경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나, 점차 ‘그림책 읽어주기’는 감소한 반면, 영유아의 주도적인 반응을 격려하는 전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적으로 ‘언어적 반응’만을 분석한 연구가 많았으나, III기에서는 II기에 비해 ‘언어적 반응’과 ‘비언어적 반응’을 모두 분석한 연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그림책에 대한 반응 연구의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response to picture books, which were conducted from 1996 to 2010 in Korea. During that time a total of 64 studies on children`s response to picture book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this study divided the 15 years into three 5-year periods. Period I was 1996-2000, II was 2001-2006 and III was 2007-2010. This study analyzed the numbers of research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in each period, the ages of research subjects, the genre of picture books which were used by those studies, the strategies to determine appreciation of those picture books, and the response styles of the children which were adopted by those project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studies did not vary between period I and II, but increased rapidly in period III. Each period showed that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s were 5-year-olds. But in period III the number of research projects which selected 2 and 4-year-olds as their subjects increased. The most popular genre of picture book which was used in research was fantasy, and this trend did not change across periods I, II and III. Among strategies on appreciating story books, the “reading aloud story books” strategy was the most popular in all periods. But this tendency declined and the strategy that “encourages children`s self-directed responses” was increased in period III. The most frequently adopted response style of children was the “language response” throughout the three periods. But in period III, those studies which adopted both “language response and non-language response” styles increased over period II.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of help in further research of children`s response to picture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