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멸형 잔반처리기 수분조정제 개발에 관한 연구

        채성준(Seong Joon Chae),문정호(Jeong Ho Moon),박윤서(Yun Seo Park),박상규(Sang Kyu Park),오성훈(Seong Hoon Oh) 유기성자원학회 1997 유기물자원화 Vol.5 No.1

        음식쓰레기의 처리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지도 얼마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의 처리방법에 대해서는 여러해 전부터 많은 논란을 일으켜 온 것이 사실이다. 현재 국내 벚 일본에서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처리방식으로는 음식쓰레기를 고옴으로 건조시키는 방법과 일정량의 담체 (수분조정제)를 반응조의 내부에 담아 놓고 일정기간동안 계속적으로 투입하면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일어날 수있도록 하는 소멸방식이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위의 두가지 방식 중 소멸형의 잔반처리기에 관심을 가지고 이의 효율적인 음식물 분해를 위한 조건설정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고 얼차척으로 음식물이 투업되고 난후 미생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어지게 하는 수분조정제를 개발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수분조정제로 쓰일 물질의 선정과 초기 미생물의 성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물질의 첨가에 의한 개선, 탈취 흡착제의 첨가에 의한 반응시 발생효}는 악취의 농도 변화 등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양호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1t is not long since treatment of food waste became a social problem. However, it is a fact that there have been a lot of debates on the treatment of food waste since several years ago. At present, two ways of disposing food waste are under great interest in Korea and Japan. One is drying of food waste at high temperature. The other is disappearance type , in which analysis by microorganism takes place with continuous supply of a bulking ag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at was stored in a reactor. 1n our laboratory, Disappearance type Food Waste Disposer is under interest, and experiments regarding condition establishment for efficient analysis of food waste were conducted. As preceding experimentation, experiments were done with regard to the selection of a substance to be used as a bulking agent, improvement by addition of a substance which maximizes initial growth of microorganism, and a concentration change in rank odors generated by reaction with deodorizer (absorbent).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satisfactory.

      • KCI등재

        테러방지법 입법의 정책변동 사례 분석

        채성준(Chae, Seong-Jo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4

        이 연구는 테러방지법 입법의 정책변동 과정을 사바티에르(1988)의 정책옹호연합모형(ACF)과 킹돈 (1984)의 다중정책흐름모형(MSF)을 결합한 모형을 적용해 진보정권인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보수정권인 이명박・박근혜 정부라는 두 시기로 나눠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옹호연합모형(ACF)과 다중정책흐름모형(MSF)을 결합한 모형이 정책의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의 결정 및 변동 과정과 변동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구성요소인 안정적 외적 변수와 동태적 외적 변수들이 정책의 형성과 변동, 그리고 산출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에서도 동태적 외적변수인 지배체제의 변동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중정책흐름모형(MSF)에서 정치의 흐름 의 중요성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구성요소인 정책중개자의 역할과 다중정책흐름모형(MSF)에서의 정책선도자의 역할이 정책산출에 있어 중요하다는 점이다. 특히 정책선도자로서 대통령은 절대적인 권력과 정치력을 활용해 자신의 신념체계에 따라 정책을 산출하는데 결정적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핵심 구성요소인 옹호연합의 경우 보수・진보권 공히 진영논리에 갇혀 한 치의 양보도 이끌어 내지 못한 채 오 히려 정책 창출을 지연시키는 역할에 머물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민의 이해와 밀접하게 연관된 정책 중에서 보수・진보 진영 간 첨예한 대립과 갈등으로 지연되고 있는 유사 사례를 타개하는 데 있어 많은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anti-terrorism legislation in Korea by comparing the period of progressive Kim Dae-jung & Roh Moo-hyun government and conservative Lee Myung-bak & Park Guen-hye government by applying combined framework of Advocacy Coalition Framework(ACF) by Sabatier(1988) and Multiple Streams Framework(MSF) by Kingdon(1984).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combined framework of ACF and MSF is useful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 its changing and cause of policy changing in the various areas of policy. Furthermore, settled external variables and dynamic external variables which are the components of ACF, have an effect on formation, change and output of policy. Especially, change of governing system which is one of the dynamic external variables was found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as the importance of political trends in MSF. Next, the role of policy intermediary and policy leader, the components of ACF and MSF, is important for policy outputs. In particular, the President, a policy leader produces policy by according to his/her belief system using absolute authority and political power. However, in the case of Advocacy Coalition in ACF, both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hold up producing policy without making concessions owing to political camps. This research suggests political implications for resolving similar cases especially highly related to public’s understanding which are falling behind because of tension and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 KCI등재

        국가보안법 존치 당위성에 관한 고찰

        채성준 ( Chae Seong-joon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3

        본 연구는 국가보안법이 제정된 지 70년이 다가오는 현 시점에서 아직까지 왜 존폐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지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안보현실에서 국가보안법 폐지가 과연 타당한 지에 대한 결론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보안법의 주요내용과 제정배경 및 존폐논란 실태를 심층 검토하는 한편, 이를 북한 및 주요국의 안보관련 법 체제에 대입시켜 분석함으로써 국가보안법 존치의 당위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국가보안법이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존치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북한이 우리나라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붕괴를 목표로 하는 대남적화전략을 포기하지 않고 있는 엄중한 안보현실과 관련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둘째, 현재 거론되고 있는 국가보안법 폐지 주장과 관련된 제반 문제점은 7차례의 법 개정 과정과 대법원 및 헌재의 판례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으며, 법 악용 우려는 민주화 이후 언론과 시민단체 등의 감시활동이 활발한 우리 사회 수준에서 볼 때 기우에 불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북한이 남한과 전 세계의 공산화를 지상과제로 삼아 반국가범죄 등에 대해 우리 국가보안법보다 더 가혹한 법제를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주요국들도 각기 자국 상황에 부합하는 안보관련 법제를 유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가 앞장서 국가보안법을 폐지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다만, 국가보안법 역시 정치의 산물이므로 시대변화에 맞춰 기본적인 법 정신은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남북관계 진전에 장애가 되거나 국민기본권 침해 및 위헌성 소지와 같은 비합리적인 부분을 선제적으로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The National Security Law was enacted in order to prevent the anti-government activities of left-wing forces from establish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However, from the time of the enactment of the law, problems such as infringement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abuse of the law enforcement agencies have been raised. And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argued ag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clusion about whether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valid in Korea. We examine the main content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background of its enact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controversy at the present time, while analyzing our security realities and the security systems of North Korea and major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undamental reason why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not lost its identity since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related to the serious security reality that North Korea has not abandoned its strategy aiming at the collapse of our liberal democracy. Second, the National Security Law has been constantly improving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the law seven times and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ird, North Korea maintains a harsher legal system for anti-state crimes based on communism and major nations in the world maintain security-related legislation. Finally, if there is an unreasonable par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make a preemptive supplement.

      • KCI등재

        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가정보기관의 역할정립 방안

        채성준(Chae Seong Jo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of intelligence agency reform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A in tune with the worldwide changing of intelligence environment since the age of cold war. It also diagnoses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Korean intelligence agency so as to suggest the future desirable role of it. Each nation has established its own basic framework for intelligence agency today since the cold war system was built between the East and West after World War Ⅱ. Even though there was no direct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USA and the Soviet Union at the time, information warfare and intelligence activities assumed a fierce aspect due to the fact that vicious hostile relations have continued resulted from propaganda, infiltration, and indirect economic and military pressure. Furthermore, each country including the USA and the Soviet Union strived to build systematic intelligence agency in order to carry out intelligence activities. While security environment became more diverse in terms of economy, resources, environment, ecology, human and cyberspace after the end of cold war, intelligences agencies faced with intelligence capacity weakening after they were restructured as demands of military intelligence collection which was the high priority in the age of cold war were reduced. However, 9/11 attacks led every country to integrate dispersive intelligence agencies in order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overall operation system. Moreover, countries tend to not only increase budget and enlarge organization for expansion of intelligence capacity but also ease the regulations on intelligence activities. With the analysis results on changing of worldwide intelligence environment after the Cold War and especially reorganization of intelligence agencies after 9/11 attacks, this study suggests plans to establish desirable role of Korean intelligence agency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 end of cold war and the spread of globalization can be double threats of national security to the Republic of Korea. It must not to be lightly valued to conduct proper intelligence activities against North Korea based on the traditional notion of national security as long as North Korea continues war threats and strategy to communize Korea Peninsula by force. Second, as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A put every effort into intelligence capacity expansion to deal with new security treats after 9/11 attacks, Korean intelligence agency is also recommended to build more effective intelligence cooperation system and to supplement law and system in tune with the times by enacting Anti-Terrorism Law, Anti-Cyber Terrorism Law, etc. Third, the Republic of Korea shoulders the double burden of dealing with traditional and new security threats. In this connection, it is suggested to increase investment in sectional intelligence agency as well as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Moreover, it is also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lifting restrictions on intelligence activities by enacting the National Secret Protection Law, revising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etc. Fourth, it is crucial to strengthen training program targeted to intelligence personnel which covers intelligence ethics and to provide democratic controlling system in order to enhance public trust in intelligence agency by reinforcing internal inspection. Additionally, strategic effort for communication is required such as granting a role of 'intelligence- friendly media' through closed network construction with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n conclusion, seeking for direction of intelligence agency reform should accompany consideration of unique situation that the Republic of Korea faces and of worldwide intelligence environment in which new security treats increase. The status and the role of advanced intelligence agency suitable to the 21st century are needed to be set up leaving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본 연구는 현재와 같은 국가정보기관의 기본 틀이 갖춰지기 시작한 냉전시대 이후 전 세계적 정보환경 변화와 이에 따른 미국 등 선진국의 정보기관 개편 추세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 정보기관의 현주소 진단 결과와 비교분석해 국가정보기관의 바람직한 역할정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재와 같은 각국 정보기관의 기본 틀이 갖춰진 것은 2차 대전 종료 후 동서간 냉전체제가 구축되면서부터였다고 할 수 있다. 당시에는 미ㆍ소 양국 간에 비록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은 없었지만 선전과 침투, 그리고 간접적인 경제ㆍ군사적압력에 의한 극심한 적대관계가 지속되었기 때문에 첩보전과 정보활동은 더 치열한 양상을 보였으며, 미국과 소련을 비롯한 각국은 광범위한 정보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체계적인 정보기관 양성에 주력하였다. 냉전 종식 이후 안보환경은 경제ㆍ자원ㆍ환경ㆍ생태ㆍ인간 및 사이버에 이르기까지 다양화 되었으나, 냉전시대에 중점을 두었던 군사적 정보수집 활동의 수요가 감소되면서 정보기관들이 사실상 구조조정을 당하는 등 정보역량 약화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9ㆍ11 테러사건을 계기로 각국은 분화되어 있던 정보기관들을 통합시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공동체 운영 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정보역량 확충을 위해 조직ㆍ예산을 증대시키고 정보활동에 대한 규제를 과감히 완화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냉전시대 이후 전 세계적 정보환경 변화와 특히 9ㆍ11 테러를 계기로 각국 정보기관의 개편 추세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 정보기관의 바람직한 역할 정립방안을 제시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탈냉전 도래와 그에 따른 세계화의 확산이 우리나라에게는 이중적 안보 위협으로 다가온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으로부터의 전쟁 위협과 대남적화 전략이 종식되지 않는 한 전통적인 안보 개념에 입각해 본연의 대북 정보활동에 한치의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9ㆍ11 테러 이후 미국 등 선진국들이 신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정보역량 확충에 매진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정보기관도 보다 더 유기적이고 효율적인 정보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테러방지법ㆍ사이버테러방지법을 제정하는 등 법과 제도를 시대 상황에 맞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인 안보위협은 그대로인 가운데 신 안보 위협에 도 대처해야 하는 이중적 부담을 안고 있으므로, 국가정보기관은 물론 부문정보기관에 대한 투자를 늘려나가고 국가기밀보호법 제정ㆍ통신비밀보호법 개정 등을 통해 정보 활동상 제약요인을 해소하는데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정보기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구축을 위해 내부감찰 강화 등 민주적 통제장치를 마련하고 정보요원 대상 정보윤리 확립을 위한 교육을 강화하는 한 편, 각계각층과의 비공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정보 친화적 미디어' 역할을 부여하는 등 전략적 소통 노력이 요망된다. 결론적으로 볼 때 정보기관의 개편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더 이상 보수ㆍ진보 진영 논리에 함몰되지 말고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상황과 신 안보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전 세계적 정보환경을 고려해 21세기에 걸 맞는 선진정보기관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보기관에 대한 통제의 효율성 제고 방안

        채성준(Chae, Seong-Jo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4

        본 연구는 민주국가에서 국민의 기본인권을 보장하고 알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정보기관에 대한 통제가 필수적인 상황에서 선진국의 정보기관 통제사례들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국가들의 정보통제 상황을 종합 검토해 보면 국가정보기관이 태동한 냉전초기에는 대체로 국가안보적인 측면에서 정보활동 비밀성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이 강해 정보통제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으나, 1970년대 들어 정보기관의 일탈 행위가 사회 문제화 되면서 비로소 정보통제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고 제도적 기반이 구축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통제가 이루어졌다. 정보통제 관련 우리나라의 사례를 살펴보면 1994년 국회 정보위원회가 설치되는 등 제도적인 기 반은 구축되었으나, 정보기관과 통제주체 간에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실질적인 정보통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보통제의 주요 주체인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그리고 언론등 각 분야별로 효율적인 정보통제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부의 통제에 있어서는 현재로선 대통령에 의한 통제 또는 내부의 자체 통제 이외에 다른 수단이 미약하다보니 객관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정파적 이해관계에 얽매지지 않고 전문성과 보안성을 갖춘 독립적인 통제기구를 마련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입법부에 의한 통제는 정보위원회 설치를 계기로 제도적인 장치는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정파 간 당리당략적 입장을 벗어나지 못하거나 정보위원들의 정보부족 및 전문성․보안성 결여 등에 따른 형식적인 운영으로 인해 실질적 통 제기능을 발휘하고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보위원 선임절차를 강화하고 연임 규정을 마련하는 등 보다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사법부의 통제와 관련해서도 정보기관의 통신․전자 업무에 대한 감시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정보활동 과정에서 불미스러운 사건 발생 시에 국가기밀 정보에 대한 적절한 보호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위상을 갖는 전담 사법기구 설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언론에 의한 정보통제 역시 정보기관과 언론 간 불신의 장벽이 높아 정보제공이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알 권리 제약과 무분별한 폭로로 인한 국가안보와 국익 훼손 사례가 많으므로 상호 간에 전문성과 보안성을 지닌 소통 창구를 두어 불필요한 갈등 관계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볼 때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상황과 신 안보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전 세계적 정보환경에서 국가정보기관의 역할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반면, 국민의 기본권과 정보활동의 투명성․책임 성․정당성 역시 포기할 수 없는 민주적 기본가치이므로 이를 잘 조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선진국들의 사례를 교훈으로 삼아 정보기관 본연의 활동을 위축시키지 않으면서 국민의 신뢰 속에서 21세기 선진정보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민주적 통제장치 구축이 시급한 정책적 과제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agnose present Korean situation and to deduce implications under the circumstances of democracy where controling intelligence agency is necessary in order to protect basic human rights of the people and satisfy their right to know, based on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When it comes to intelligence control in major countries, the necessity of intelligence control was not emphasized because when the intelligence agency like these days has born at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a perspective of confidentiality of intelligence activities was prioritized in the aspect of national security, but by the 1970s when deviant behaviors of intelligence agency arouse social problems, finally the importance of intelligence control started to be focused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was formed but practical intelligence control based on mutual trust between intelligence agency and control principle. From this perspective, policy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telligence control by the field of main principles of intelligence control, the executive, the legislature, the judiciary and the pres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controling the executive, currently there is no other means but by the president or internal self control, there is controversy over objectiveness. It c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a secure and professional independent control agency free from party relations. Secondly,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control by the legislature is formed by establishing intelligence committee, but the party relations are still concerned and it is not practically but operated with mere formality due to intelligence committee members have lack of information, security and professionality. Therefore, institutional amendment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such as strengthening intelligence committee member and make policy on consecutive terms. Third, it also should be consider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legal institu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electronic communication surveillance activities of intelligence agency and to protect national secret intelligence when intelligence process of relevance to the judiciary control. Fourth, intelligence control by the press also harms national security and interest due to indiscriminate disclosures so efforts to build a secur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channel in between is required. In conclusion, Korea's unique security situation where South and North face each other and international intelligence circumstance where new security threat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cannot be exaggerated. But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transparency, accountability and legitimacy of intelligence activity are democratic values that cannot be given up so both should be well harmonized. Therefore, by referring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it is an urgent policy task not to constrict original activities of intelligence agency and to set democratic control in order to reform it as 21st century's leading intelligence agency position of public tr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