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 목회적 돌봄과 의례의 관점에서 본 극단적 선택에 의한 죽음의 예식

        주종훈 개혁신학회 2024 개혁논총 Vol.67 No.-

        In the Christian faith, death is more than just the end of life as an inevitable part of life. Pastoral ministry must be careful and intentional in its practical care for the dead and relevant support for the deceased’s family and colleagues.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funeral services in the context of pastoral care for the grief and loss of families facing death by extreme choice (suicide). The fulfillment of the task of pastoral care calls for a specific and detailed approach, such as a ritual for the dying, a rite for the dead, and a rite for those who mourn the death. However, the practical task of the pastoral approach to the ritual of death is related to the type of death. One of the most perplexing cases of conducting a ritual as a pastoral care for death is that of death by extreme choice. The conduct and procedure of the rite and process of confronting a believer who faces death with extreme choices, and pastoral care for the family, colleagues, and community who must accept that death, is a difficult task. First of all, pastoral care in relation to the case of suicide becomes a more important and priority task to focus on comforting the bereaved family for the sudden loss and grief of death rather than on presenting or evaluating theological judgments about the reasons for death in the funeral proces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death by extreme choice,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following the basic procedures and methods of funeral rites, which proceed with a pastoral approach to death itself. Finally, it is important to reinforce the aspect of worship and the gospel that connects the place of sorrow with God in the conduct of the funeral rite and declares and proclaims God’s sovereignty over death and life.

      • KCI등재

        예배, 문화, 그리고 신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예배신학의 새로운 발전

        주종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3 복음과 실천신학 Vol.27 No.-

        This article attempts to construct liturgical theology through integrating worship, theology, and culture in the light of theology of culture. As a distinctive discipline seeking for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Christian worship, liturgical theology includes the influence of culture on worship or cultural understanding of worship in the major themes of its research. When it comes to methodological approach to worship and culture, there have been three main positions. The first position is Nairobi Statement which figure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and culture based on Niebuhr's paradigm. The second one is inculturation of worship/liturgy as seen in the case of Anscar Chupungco. The Third one is multiculturalism which is broadly practiced in evangelical worship. Although each of these methodological approaches contributes to renewal of Christian worship worldwide,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apply them to each different worship practice. While crit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se three methodological approaches, this article endeavors to newly deal with that issue in the perspective of theology of culture. In particular, this article premises that worship could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as a distinctive culture. As an appropriate methodology of approaching to worship as culture, Paul Ricoeur’s theology of culture (poetic and narrative theory of culture) could be liturgically adopted. Although it does not offer any practical methods of implementing Ricoeur’s poetic approach to worship, this article methodologically presents an opportunity and possibility of organizing the traditional components of worship as narrative of merging human story into God’s story in a creative/poectic way.

      • KCI등재후보

        예배와 예식의 표준 제시를 위한 개혁주의적 이해, 원리, 그리고 실천 과제

        주종훈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Reformed tradition has been developing the practice of worship according to the Bible and the confession of Reformed faith. Yet, there is not a fixed form of the service of worship in the Reformed tradition by allowing pastors to implement the practices of worship with pastoral discernment. In this distinctive way of shaping a Reformed worship, it is important and even necessary to guide it with the standard of the liturgy according to the biblical principle, theological orientation, and denominational identity. This article attempts to guide the orientation and task of the standard of liturgy for a denomination following the Reformed tradition by exploring biblical emphasis on the rites and comparing liturgical standards of selected denominations in Korea.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Reformed standard of liturgical rites are: (1) to reflect denomi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rites, (2) to provide various rites appropriate to the cases of pastoral care, and (3) to present liturgical receptivity for the change of worshipers’ life. 개혁주의 전통은 성경에 기초한 신앙고백을 따라 예배의 구체적인 구성과 실천을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개혁주의 전통은 예배 실천의 고정된 방식을 제안하지 않는다. 목회자들은 성경의 원리에 따라 목회적 분별력을 사용해서 각각 주어진 상황에 부합한 예배 실천을 구현한다. 이러한 예배 실천 과정에서 성경적 원리, 신학적 방향, 교단의 정체성을 제시하는 일종의 표준 제시는 중요하고 필요하다. 이 글은 한국의 개혁주의 전통에 속한 교단의 예배 표준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원리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한 ‘표준예식서’의 개정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성경은 예배의 의례와 예식을 명확히 제시하고 강조한다. 개혁주의 전통은 예배의 표준 제시를 위한 예배서 제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고정된 형태의 예배 모범을 제시하기보다는 성경에 따른 예배 구성과 실천의 원리를 표준으로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은 목회자들의 자율적 판단에 맡겼다. 아울러, 이 글은 국내 몇 교단의 예배 예식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대에 요구되는 예배의 표준 제시 방향을 살펴본다. 개혁주의 교단의 예배 표준 제시 방향은 첫째, 교단 헌법의 예배모범과 지침을 기초로 교단 신학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둘째, 목회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돌봄을 의례의 방식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셋째, 공예배와 함께 시대적 요구에 따른 다양한 상황과 환경을 반영하는 의례 방식들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John Calvin on the Word in Worship

        주종훈 개혁신학회 2009 개혁논총 Vol.12 No.-

        이 논문의 목적은 칼빈의 말씀 사역을 예배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말씀 중심의 사역은 칼빈의 종교 개혁 활동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성경과 관련한 칼빈의 종교 개혁은 대략 두 가지 방향에 집중해왔다. 하나는 성경 해석과 전달과 관련한 것으로, 이 입장은 칼빈을 종교개혁이후 성경 해석의 토대를 구축한 신학자로 평가하고, 그의 설교사역에 연구를 집중한다. 다른 한 가지는 중세의 성찬 중심의 의식에 빠져있는 말씀의 의미와 역할을 다시 재 발견하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그리스도의 임재와 관련한 성찬에서 말씀이 없으면 그 자체로 단순한 신비의 의식일 뿐이라고 비판하면서, 말씀을 통한 그리스도의 임재를 다시 강조한다. 이 두 가지 입장의 기여는 하나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권위를 다시금 강조하고, 그것이 기독교 신앙형성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한다는 것을 부각시킨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 공동체의 모임 즉 예배의 형식을 갖춘 의식 안에서 그 의미와 역할을 드러낸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설교와 성찬은 모두 예배의 의식 안에 담긴 요소들이다. 따라서 칼빈의 성경 중심의 개혁 활동은 그의 예배 사역안에서 고찰할 때 더욱 분명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이 논문은 칼빈이 예배 안에서 말씀 사역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개혁주의 전통의 중요한 말씀 사역의 특징과 원리를 발견한다. 칼빈은 예배 안에서 매일 연속적 성경 읽기와 연구를 통해 개혁주의 영성의 토대를 구축했다. 특별히 칼빈에게 있어서 예배는 기독교 영성의 토대와 기본 방식인데, 그 안에서 성경을 읽고, 성경을 노래하고, 그리고 성경을 설교하는 기본 방식을 통해, 개혁주의 영성을 촉진시켰다. 이 논문은 칼빈의 말씀 사역을 예배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개혁주의 영성에서 예배와 말씀 사이의 상호 관계를 더욱 깊이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예배의 통일성과 자율성: ‘성경적 예배’ 원리의 개혁주의적 수용과 실천을 위한 과제

        주종훈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2 역사신학 논총 Vol.40 No.-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the less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Regulative Principle of Worship’ as a foundation and guide of Reformed worship for our contemporary Reformed churches. ‘Regulative Principle of Worship’ has guided rigorous practices of biblical worship by emphasizing the unity of Reformed worship. Yet, this Reformed emphasis on the unity of worship, at the same time, has led Reformed churches to avoid one and only fixed model of worship as a vision of Reformed worship by allowing the freedom in the practice of worship. In the history of Reformed churches, it is clear that Reformed worship has been changed in a mixed and complicate ways. Calvin sought for the freedom from the Medieval Mass while beholding biblical principle of worship. ‘Westminster Directory’ sought the unity of various Reformed worship while respecting the freedom in worship. By following this dialectic development of worship, Reformed churches have developed and articulated the unity and freedom of public worship appropriate to each different context of worship. The unity and freedom of worship as a Reformed characteristic of worship ha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worship. Most of all, it assigns the Reformed churches to compose and implement the reading, singing, and praying the Bible according to ‘the Regulative Principle of Worship.’ In addition to that, it allows the Reformed churches to freely enact the order of worship based on the pastoral discernment. In this regard, Reformed churches are required to promote an organic change of worship based on the given situation of the congregation by wisely and creatively leading the public worship both seeking the glory of God and serving the world as the core teaching of the Bible. 이 글은 개혁주의 전통에서 발전시킨 성경적 예배의 원리를 오늘날 개혁주의 전통에 속한 교회들이 어떻게 수용하고 구체적으로 실천에 반영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역사적으로 개혁주의 예배 원리로 발전한 성경적 규율원리는 예배 구성과 실천을 성경이 명확하게 규율하는 것에 따를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규율원리는 개혁주의 예배의 통일성을 제시한다. 곧 어느 하나의 고정된 예배 방식을 모범으로 제시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변화하며 발전해왔다. 하지만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주어진 개혁주의 예배는 자율성을 동시에 반영한다. 칼빈은 가톨릭 미사로부터의 자율성을 강조했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따른 예배는 자유의 방종을 경계하면서 개혁주의 예배 실천의 공통된 일치를 강화시켰다. 이후 개혁주의 전통은 성경의 규율에 따른 양심의 자유를 활용해서 예배 공동체의 상황에 부합한 목회적 분별과 책임 있는 선택과 결정으로 예배를 구성해왔다. 개혁주의 예배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주어진 통일성과 자율성은 예배의 실천의 실천적 과제를 명확히 제시한다. 우선 성경적 규율원리에 따라 말씀을 읽고, 선포하고, 기도하고, 노래하는 구성을 계속해서 강화하는 것이다. 동시에, 성경적 예배 구성의 구체적인 순서 배열과 실천 방식은 어느 하나의 고정된 형태를 모델로 제시하지 않고 예배 공동체의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유기적 발전을 허용한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개혁주의 예배는 성경적 예배 구성요소들을 회중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음악과 기도 그리고 고백에서의 지혜로운 수용과 창의적 실천을 요구한다. 개혁주의 역사에서 발전해 온 예배의 구성과 실천은 성경의 가르침을 확신하면서 새로운 문화적 상황에서도 여전히 예배자들이 적극적으로 하나님을 향한 경배와 서로를 향한 사랑과 섬김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목회적 지혜를 구현하는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예배의 목회적 신학적 고찰과 실천 방향

        주종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60 No.-

        디지털 예배는 기독교 공동체의 예배를 제한된 상황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실천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이 글은 디지털 예배 실천의 정당 성 또는 반대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예배 실천 의 목회적 과제를 신학적으로 고찰하는데 주력한다. 디지털 예배는 가 상공간의 실재성과 중심성을 제시하고, 하나님의 임재 이해와 경험의 새로운 전환을 초래하며, 예배자들 상호간의 교통과 나눔의 새로운 변 화를 이끌어 낸다. 이러한 예배 경험의 새로운 전환에서 주어지는 목회 적 과제들은 신학적 고찰을 요구한다. 이 글은 성례신학적 입장에서 디 지털 예배가 하나님의 임재를 어떻게 제시하는지 분석한다. 디지털 예 배에서 하나님의 임재는 실제적(real)이지만 제한된(limited) 경험이고, 실체적(substantial)이지만 전인적(holistic) 참여를 제한시키고, 개인적 (individual) 측면의 부각으로 공동체적(communal) 참여를 약화시킨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디지털 예배 실천의 목회적 방향과 과제를 몇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는 공동예배의 새로운 가능성과 제한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다. 둘째는 디지털에 의한 연결성이 초래하는 소외의 문제를 고려하고 목회적 환대를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는 새로운 실험적 대안이 아닌 신앙과 삶의 형성을 위한 실천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넷째는 예배의 소비 현상에 의해서 대화 구조를 약화시키지 않 는 것이다. 다섯째는 스크린 중심의 예배 경험을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 영역을 제한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다. 결국 디지털 예배의 목회 적 과제는 예배자들이 더욱 직접적이고 인격적으로 하나님의 임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된 상황에서 책임과 돌봄을 제공하는 실천의 방향성을 구체하시키는 것이다. Digital worship has been accepted as a new mode of worship for contemporary Christian communities. Christian worship is a crucial place in which media technology and faith formation are intertwined. How then does digital worship shape the faith of worshipers? This article neither intends to undergird the validity of digital worship nor efforts to provide support of avoiding the practice of digital worship. This article rather attempts to clarify the pastoral task of digital worship by reflecting theological issues of worship in digital technology. Digital worship helps worshipers fostering the connection between each other and provides a new possibility of worshiping God. Yet, worshipers’ mere connectivity neither guarantee the holistic experience of community nor automatically turn the substantial experience into the embodied participation in the presence of God. In this challenging context of digital worship, pastors are required to take more responsibility of forming the worshipers based on theological reflection. An appropriate theological approach to digital worship can be found in the sacramental theology. Although it cannot be counted as an element of sacraments when it comes to the presence of God, digital worship presents the centrality of experiencing the presence of God by providing a new space of encountering God. In this new and inevitable context of worship, pastors are expected to faithfully serve the congregation by (1) providing more careful hospitality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to access to the virtual space, (2) leading them not to merely new experience of worship but to establish sound relationship with God, (3) organizing the practice of worship as a structure of conversation between God and worshipers, (4) helping them not to show a limited part of their lives through the screen with hiding themselves, and (5) guiding them to take digital worship as a temporary and limited experience of glorifying God.

      • KCI등재

        오늘날 예배 갱신에서 음악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유형들 고찰

        주종훈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Music has significant functions in shaping the structure of worship and leading the congregations to participate in the service of contemporary worship. This article attempts to reflect the places and roles of music in the contemporary worship renewal movement. There are three most distinctive paradigms of music in the contemporary worship. The first paradigm is the one that attempts to sync with worshipers and reveal the values of their cultures in the practice of worship. This paradigm has been actively accepted by the church growth movement. The second paradigm is the one that emphasizes the sacramental function of music in worship. As a central figure of praise and worship movement, this paradigm promotes the intimate participation in the presence of Christ through music. The third paradigm is the one that articulates the formative role of music. This paradigm accentuates the shaping of identity, relationship, and imagination through music for the contemporary worshipers. Contemporary music artists and theologians tend to take this paradigm as a hermeneutical frame of interpreting and directing music in worship. These three main paradigms of music have their own origins and developments by influencing each other in complicate ways. A most desirable and practical way of connecting between these paradigms and the practices of contemporary worship would be not so much of choosing one of them as of integrating them into a service with pastoral and discerning spirits. Based on pastoral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is article suggests a direction of music in worship: accepting the inclusiveness of music from different cultures and generations, promoting holistic participation of worshipers in the presence of Christ not by limiting only emotional experience as musical participation, and alerting the functional approach to form the faith and life of worshipers through music. 오늘날 예배 갱신에서 음악은 예배 구조와 예배자들의 참여 방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은 오늘날 예배 갱신에서 음악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유형들을 고찰한다. 우리 시대 예배 갱신에서 음악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예배자들의 문화를 수용하는 음악 유형이다. 이 유형은 음악을 예배자들과 연결하고 그들의 문화를 수용하기 위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배자들이 선호하는 음악을 예배 안으로 수용하고 교회의 성장을 위한 대안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두 번째는 음악을 통한 성례적 경험을 강화하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예배자들이 음악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직접적이고 친밀한 만남을 경험하게 하는 것을 강조한다. 세 번째는 음악을 통한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예배 음악이 예배자들의 정체성과 관계를 형성하고 상상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삶을 형성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세 가지 예배 음악의 유형들은 오늘날 예배에 다양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며 발전하고 있다. 오늘날 예배 갱신에서 음악과 관련한 과제는 이 세 가지 유형 가운데 어느 하나를 택하기보다는 한 예배 공동체에서 신학적 고찰과 목회적 분별력을 갖고 지혜롭게 통합 및 수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예배가 음악을 통해 특정한 예배자들을 향한 적실성을 추구하기보다 서로 다른 문화를 포용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아울러, 음악을 통한 하나님의 임재 경험을 감정적 영역으로 제한하지 않고 삼위 하나님에 대한 전인적 참여가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배 음악이 예배자들의 변화를 기능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창조와 구속의 완성을 담아내고 삶의 전 영역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성경의 내러티브를 더욱 강화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음악은 말씀과 성찬과 함께 현대 예배자들의 예배 참여 방식과 신앙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예배 갱신은 다양한 방식으로 주어지는 음악의 위치와 역할을 신학적으로 고찰하고 예배자들의 적극적이고 전인적인 참여를 제시하기 위한 목회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요구한다.

      • KCI등재

        예배의 공동체성과 공공성 회복: 예배 위기에 대한 개혁주의적 대안

        주종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3 복음과 실천신학 Vol.66 No.-

        This Short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phenomenal crises of public worship in the time of new normal and even endeavors to propose a direction and pastoral task of renewing public worship in a Reformed perspective. The experience of worship in the new normal has led to a weakening of the centrality of public worship in faith formation and a shrinking of the dialogue structure of between God and worshipers. This phenomenon leads to crises such as reinforcing individualistic participation in public worship, confusing simple connectednes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with true communality, and reducing or omitting components of public worship as we become accustomed to reduced components of worship. In this phenomenon and crisis, Reformed theology clearly orients the practice of public worship according to biblical principle. The Reformed practical responses to the crisis of public worship present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1) strengthening the centrality of public worship practice for the connection between faith and life, (2) resisting individualistic participation in worship, (3) strengthening the communality of worship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sharing of hospitality and passing of peace, (4) presenting the publicity of worship through public confession of faith, and (5) strengthening the liturgical practice of public theology through intercessory communal prayer. 이 글은 한국교회 예배의 위기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대안으로서 성경적 원리에 부합한 개혁주의 예배 실천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뉴노멀 시대의 예배 경험은 신앙 형성에서 예배의 중심성이 약화되고, 하나님과 예배자들 사이의 대화 구조가 위축되는 현상을 초래했다. 이러한 현상은 공예배에 대한 개인주의적 참여를 강화하고, 단순한 연결성과 자발적 참여를 공동체성과 혼동하며, 제한된 방식의 예배에 익숙해지면서 예배 구성요소들의 축소 또는 생략과 같은 위기를 이끈다. 이러한 현상과 위기에서 개혁주의 신학은 성경의 원리에 따른 예배 실천의방향을 명확히 제시한다. 이 글이 제시하는 예배의 위기에 대한 개혁주의적 실천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믿음과 삶의 연결을 위한 공예배 실천의 중심성 강화, (2) 예배의 개인주의적 참여 경계, (3) 환대와 평안의나눔의 구성요소들을 통한 예배의 공동체성 강화, (4) 공적 신앙고백을통한 예배의 공공성 제시, (5) 도고 중심의 공동 기도를 통한 공공신학의 예전적 실천을 강화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