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심리치료의 언어로서 은유와 그 불교적 의미

        주성옥 ( Song Ok Ch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2 No.-

        불교는 고통이 갈애라는 정서적 요인뿐 아니라 무명이라는 인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기 때문에 인식과 정서 양쪽에 걸쳐 작용하는 은유는 심리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교는 언어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은유가 인식적 통찰과 심리적 고통의 해소라는 두 가지 목표를 훌륭하게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사실에 대하여 일찍부터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은유 이해는 서양에서도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지적 혁명에 의해 가능해진 것으로, 최근의 인지언어학 연구는 수사학의 대상으로 여겨졌던 은유가 언어의 특별한 기교가 아니라 언어의 본질적인 것이며 사고와 행위의 중심적 기제라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일상적 개념체계의 대부분이 그 본성에 있어서 은유적이기 때문에 무의식적인 은유 체계의 분석은 자아 이해의 인지적, 정서적 차원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심리치료와 정신분석 역시 오래전부터 은유의 이러한 가치를 인식하여 무의식을 분석하거나 무의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은유를 활용하였다. 불교 경전과 조사어록에서 은유가 중요한 교화와 수행의 방법으로 작용한 사례를 널리 찾아볼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불교적 정신치료의 원형을 보여주는 끼사 고따미의 이야기와 마조 스님의 이야기에 나타난 은유 분석을 통해 은유가 고통으로부터의 해방과 깨달음에 실제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이야기들은 ``겨자씨``와 ``기와``라는 은유를 사용함으로써 치료에서 해답을 제시하지 않고 열린 채로 남겨둠으로써 끼사 고따미와 마조 스님이 스스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불교적 심리치료는 ``정면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닌, 해소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스스로 자각을 얻게 하는 것이 특징적인데, 그런 점에서 은유는 명상 못지않게 불교적 수행과 심리치료의 고유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Generally speaking, Buddhism has a negative attitude toward language, but in fact, language, especially metaphor has been widely used in Buddhism. Metaphor is the most effective to reduce our sufferings (duhkha) because metaphor works in a cognitive and emotional way which is the cause of our sufferings. There are many stories in Buddhist scriptures and zen writings which show how metaphor works for attaining the Awakening and the liberation from psychological sufferings. It is not know until recently in western philosophy and linguistics that metaphor is not a rhetorical device but the essential in language and the core mechanism of thinking and behavior. According to cognitive linguistics, most of our ordinary conceptual system is metaphorical in its nature, therefore an analysis of an unconscious metaphorical system will give insights on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 of self-understanding. Metaphor also has been used in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to analyze the unconsciousness o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unconsciousness. In this paper, I analyzed two examples to show how a metaphor was used as a method of the Buddhist edification and practice. The story of Kata Gotami, which is considered as an archetype of Buddhist psychotherapy, is an excellent example how metaphor served to attain the Awakening and the liberation from sufferings. In this story, a handful of mustard seeds is a metaphor of a medicine for her dead baby. She could not get a handful of mustard seeds from the house where nobody had been dead. Instead of giving a direct solution or teaching for her, the Buddha left the problem open and let her to solve it by herself. Buddhist psychotherapy prefers to let people to solve problems by themselves rather than to give the solutions directly, because an indirect method works on the unconscious state of mind. In conclusion, metaphor, as an original method of Buddhist psychotherapy, works as efficiently as meditation to relief our sufferings.

      • KCI등재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과 오리엔탈리즘

        주성옥 ( Song Ok Chu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8 No.-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은 한국미술에 대한 근대적 담론으로서 그동안 한국미학과 미술사에서 지배적인 권위를 행사해왔다. 서양의 ``예술`` 개념으로 기술할 수 없는 동양 특유의 미적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서 주장된 ``민예``는 사실상 일본 국가주의에 기초한 ``일본성``의 담론이며 이 과정에서 일본은 서양의 오리엔탈리즘을 전복시켜 "지적, 도덕적 시점보다 미학적 관점을 우위에 놓는 것"을 통해 일본의 우월성을 주장했다. 근대 일본은 서양의 ``오리엔트``와 마찬가지로 "이상화되고 낭만화"된 공간으로서 ``동양``을 발견했다. 야나기는 서양 근대와 동양 전통을 대립시키고 서양의 ``예술``과 동양의 ``민예``를 이 문맥에 삽입시켰다. ``예술``에는 서양 근대의 자유와 개인을, ``민예``에는 동양 전통의 자연과 민중을 귀속시키고 후자에 절대적인 우위를 부여했다. 또한 ``민예``를 모든 아름다움의 표준으로 삼고 그것을 통하여 세계를 구원할 사명을 자신에게 부여했다. 야나기는 기계의 사용과 개인주의를 공예에 허용되어서는 안 될 서양근대의 부정적인 특징이며, 공예의 미가 가장 본질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민중의 생활과 제일 인연이 깊은 잡기류로 업신여김을 당하는 게테모노라고 주장하면서 ``민중성``을 일본공예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결정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그것을 서양의 이지와 대비되는 동양적인 것으로 특권화된 ``무심``, ``직관``과 관련시킴으로써 서양중심주의를 역전시키려고 했다. 그는 일본 공예품을 서양근대예술에 대한 탁월한 대안으로서 제시하기 위해 ``타력도``라는 종교성을 끌어들였다. 그러나 그것은 그가 영국의 미술공예운동과 서양에 대한 지식에서 얻은 "서구적으로 훈련된 눈"을 통하여 발견된 것이다. 그러므로 야나기의 민예론은 서양과 동양의 종교와 예술을 통합한 혼성물이다. 야나기는 일본과 ``동양``의 과거를 담고 있으면서 그것에 질서를 부여한 ``민예`` 개념을 통해 일본의 근대적 정체성을 창출했으나 ``미적인 것으로서의 일본``은 과거의 민예에 고정되어 버렸다. 따라서 민예론은 한국미술을 기술할 수 있는 ``전통적이고``, ``진정하게`` ``오리엔탈``한 것이 아니라, "오리엔탈리즘의 복잡한 문화 정치학 속에서 창조된 혼종이며, 근대적 산물"이다. Yanagi Soetsu`s mingei theory has exercised great influence on the study of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s until recently. In fact, it is a discourse on Japanese national identity. Reversing Orientalism, he gave ``the aesthetic`` the superiority over ``the intellectual and moral`` to show off Japanese superiority. Modern Japan invented ``the East`` as an idealized and romanticized place like ``the Orient`` in the West. Yanagi put ``arts`` and ``mingei`` in the politico-cultural context between the western modernity and the eastern tradition. He also made mingei as standard of Beauty. Yanagi considered machinery and individualism as neg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asserted the Beauty of crafts appeared only in Getemono, an object for ordinary people. He related crafts to ``mindlessness`` and ``intuition`` in the East against the intellectual in the West to reverse Eurocentricism. He also introduced the religious "other power" into mingei, discovered by an eye trained in the West. In conclusion, mingei theory is not a ``traditional``, ``authentic``, and ``oriental`` theory for Korean traditional arts, but ``an hybrid and modern concept in the complicated politico-cultural context of Orientalism``.

      • KCI등재

        북송시대 文의 부활과 불교의 과제

        주성옥(Chu Song-Ok)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4 No.-

          Against our generally accepted idea that Buddhism was declined in Song, Buddhism was developed. But from middle Tang, Chinese society had changed great deal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Office-literati in North Song endeavored to restore Chinese culture. The revival of Wen (文, culture) is characterized by returning to Chinese original value, but there were two different models of Wen. One is the tendency of literary refinement which had started from Tang. The leader of this group was Yang-yi, a poet of Xi-gun-pa (西崑派). The other was proposed by moralists, especially neo-Confucians who regarded the ancient Confucianism as a single value.<BR>  It is interesting that their different model of Wen were correspondent with their attitude toward Buddhism. The first group thought Buddhism was useful to make Confucian identity and able to enrich Confucian culture, but the second group thought that the establishment of new Confucianism made way against Buddhism. So there were two tasks in Buddhist community in North Song in order to adapt itself to the changed society. One was to overcome the negative opinions against Buddhism and the other was to present new values which would be appropriate to the secularconfucian society.<BR>  There also were some monks who made their best to restore Wen. They represented the trend that made Buddhism be in harmony with Confucianism. They are 贊寧(Zan-ning), 智圓(Zhiyuan), 契嵩(Xie-song). They tried to prove that Buddhism is not only one of Chinese tradition, but also useful to the reign of emperor. They insisted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is identical and have the same educational effect on people. But they failed to persuade Confucian because they emphasized much the similarity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he political efficacy of Buddhism, so that they blurred out its own characteristics.<BR>  But from the point of view which emphasized the diversity of culture, Buddhism was approved as a kind of Chinese culture. Chan Buddhism appealed to office-literati who were more tolerant, because it did not claim to be a legitimate factor of Chinese culture but emphasized its special origin and inherits. In fact it contributed to the restoration of Wen not by the way of integration but by the way of extending the contents of Chinese culture. So it had much influence on Chinese literature and arts. The critique on Buddhism in Song for its secularization is not proper.

      • KCI우수등재

        『능엄경』에 나타난 마음의 논증 분석

        주성옥(Chu Song-Ok)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3 No.-

          In Surangamasutra, Buddha denied our common belief that Mind exists in Body. We believe that the Self is composed of Body and Mind in Body. We separate Mind as Subject from World as Object and regard Mind as consciousness. This belief results in the conviction of the existence of the Self that brings about many sufferings in life. In order to be delivered from sufferings we should know that there exists no Mind.<BR>  In the discourse with Buddha, Ananda argued that the Mind exists in Body and other six places. Ananda"s belief about the existence of Mind in Body is similar to Descartes" Mind-Body theory. Against his opinion, Buddha presented counter-examples. In this argument Buddha used Nagarjuna"s reduction to absurdity and Dignaga"s Buddhist Logic. He concluded that there is not Mind in seven places. His conclusion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thing. According to his argument, if there is nothing we have no conscience as the wood and the rock do not when we are delivered from the worldly existence. But Buddha didn"t deny the existence of the true Mind, namely Tath?gatagarbhav?din. In order to show the existence of true Mind, his argument first denied the Existence of Mind.<BR>  The analysis of Mind in Buddhism is very similar to the modern Philosophy of Mind because both of them equally regard Mind not as Entity of a single quality but as a collection of psychological phenomena. But Functionalism explains that the psychological world is based on the physical world. So it reduces Mind to the physical functions. It also misunderstands the dependent rising in Buddhism as the relations of cause and effect. Above all Functionalism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Mind. Seen In this respect, it differs from Buddhism.

      • KCI등재

        < 기획논문 1 > 불교 지성에 대한 성찰과 현대적 모색 : 불교 지성의 시대적 과제와 현대적 모색

        주성옥 ( Song Ok Ch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3

        후기근대사회에서 지식인의 변화된 위상에도 불구하고 불교지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팽배하다. 일제강점기 이래 한국불교는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 채 일본불교를 근대적인 선진문물로서 수용했으며 해방 후에는 기독교의 사회적 활동을 모델로 한국불교의 현대화를 추구했다. 근대주의는 한편으로 전통불교를 기복불교라고 비판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서양 또는 일본의 관점을 내면화한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한국불교를 이상화하고 신비화했다. 불교지성은 현실세계의 문제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보다 전통에 안주했으며 비판적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몽적이고 특권적 지위를 고수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정보화의 결과, 지식인 위상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다중과 다중지성이 출현함에 따라 대중을 계몽하는 근대적인지식인이 대중을 억압했다는 비판과 함께, 지식인/대중으로 나누는 전통적인 분할이 사라지고 있다. 20세기 후반 다문화사회, 지식기반사회로 변모함에 따라 종교의 사사화와 세속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극단주의가 일어나고 있다. 불교지성은 지식사회의 변화를 수용하고 지식인의 위상의 변화를 감내할 자세가 필요하다. 후기근대가 요구하는 전문적 지식을 창조해내기 위해 전문화된 영역들을 통합하는 새로운 관점과 통찰력이 요구되며 현대사회에 맞는 윤리적 기준들을 확립하고 스스로 실천해야 한다.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to engage in comtemporary social issues although the status and role of intellectuals have dramatically changed in late modern society.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have tried to modernize Korean Buddhism by accepting Japanese Buddhism, but little participated in socially-engaged activities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fter liberation in 1945, they followed the model of Christian social activities but actually they didn``t take part in the nationalism discourse in Korea. On the one hand, Buddhist Modernism criticized the traditional popular Buddhism as Fortune Belief, but on the other, it idealized and mystified the traditional monastic Buddhism through the lens of Orientalism that actually had internalized the western or Japanese colonialist perspectives. They are complacent about the tradition and maintain an authoritative attitude even though they did not engage with society as critical intellectuals did. As a result of advance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re was a dramatic change in the status of intellectuals. It brought forth ‘multitude’ and made it possible to develop multiple intelligence which removed traditional division between the intellectuals and the masses. It is criticized that traditional intellectuals oppressed the masses rather than enlightened (cultivated) them. As Korean society changes into a multicultural and knowledgebased society, privatization and secularization of religion is ongoing while forms of extremism appear. Buddhist intellectuals are required to accept the changes in Korean intellectual society and discard their privileged status. It is also important to have perspectives and insights that can integrate specialized knowledges in order to create new knowledge which is useful in the late modern ear. Buddhist intellectuals also have to develop ethical criteria and apply it to themselves.

      • KCI등재

        『능엄경』 주소(註疏)를 통해 본 과문의 특징 - 『계환해』와 『정맥소』를 중심으로

        주성옥(CHU, Song-ok)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1 No.-

        『능엄경』은 중국과 한국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었던 경전 중 하나로, 어떤 종파의 소의경전으로 채택된 적은 없지만 천태종, 화엄종, 선종 등에서 많은 주석서가 찬술되었다. 특히 기존의 경전해석 틀로 해석되지 않는 모호한 부분이 많을 뿐 아니라 선정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때문에 주석가의 독자적인 경전 이해가 요청되었으므로 선종 계열의 주소가 많이 찬술되었다. 이런 특징 때문에 『능엄경』 주석은 중국불교에서 경전 주석이 갖는 의미와 특징을 잘 보여준다. 중국불교에서 교상판석이 경전들 사이의 관계와 위상을 정립하는 작업이라면 과판은 경의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경전의 대의를 도출하는 작업이다. 경전을 분류하고 체계화하기 위해서 개별 경전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반대의 과정도 필요하다. 교판을 확정하는 작업과 대의를 도출하는 작업은 경전의 대의를 이해하는 데 순환적으로 작용한다. 경전을 수미일관하는 하나의 구조로 읽으려는 『계환해』와 경전의 내적 구조를 천착한 『정맥소』는 기존의 과문에 의문을 제기하며 단락나누기부터 자신의 관점을 적용시켜 전체를 일관된 체계로 구조화한다. 이 주석서들은 기존의 교리나 해석틀을 버리고 경전의 원문에 충실하게 해석하려는 텍스트중심주의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xtual organization(Gwamun) in the Commentary of Jiexuan and Zhengmai Commentary, both widely distributed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in China and Korea. Even though this sutra was never accepted into the core canon of the various schools of Buddhism, many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have been written in schools such as Huayan, Tientai and Chan. The first concern that many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deal with is establishing its status and classification. In Chinese Buddhism, the panjiao (Doctrinal classification) served as a tool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y different Buddhist teachings and establish the status of each, while the kwapan was a tool to analyze and clarify the structure of a scripture in order to reveal the crux of the text.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s necessary for clarifying the meaning of individual scriptures, and vice versa. The panjiao and kwapan are thus mutually synergistic tools for the greater goal of understanding Buddhist teachings.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have been very controversial due to its ambiguities and internal contradic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assess through pre-existing analytical frameworks. It also has many passages on Chan meditation which demand the exegete’s own meditation experience and hermeneutic perspective, and the Chan tradition has thus contributed many of its commentarie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Commentary of Jiexuan Textual organization(Gwamun) analyzed this sutra as a coherent structural whole, while the Jeongmaegso Textual organization(Gwamun) focused on its internal structure. They suggested a new internally consistent Textual organization(Gwamun) structure, and applied their own hermeneutic viewpoint in their analysis of the text. These commentaries opposed conventional doctrine and frameworks of analysis with a novel focus on the text itself.

      • KCI등재

        서양 현대예술에 나타난 선과 오리엔탈리즘

        주성옥 ( Song Ok Chu ) 한국미학회 2010 美學 Vol.64 No.-

        Modernist who sought a new transcendental ground for Being and consciousness interested in the Orient as an alternative of Modernity. But the oriental spirit, which was introduced as a source of creativity for modernism, was framed by orienalists. Japan also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to establish its own national identity, to propagate the superiority of Japanese Culture, and to support its colonialism. It is called Japanese Orientalism or reverse-Orientalism. D.T. Suzuki did a great job in introducing Zen Buddhism into the West. He isolated Zen Buddhism from its religious context and romanced it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western society. His interpretation of Zen influenced modern arts, especially Avant-garde art through the concepts of casualness and automatism. For Cage, casualness was a method to bridge the gap between arts and life. On contrary, Ad Reinhardt opposed to casualness in Art and transformed the artistic experience into phenomenal experience of perception. In spite of american critics` denial of the influence of Zen, Zen Buddhism worked on western modern arts, by changing of concept of arts from `an object of visual pleasure` to `an experiential activity in time and space`.

      • KCI등재
      • KCI등재

        『선문염송』의 글쓰기-정통과 민족적 정체성의 지향

        주성옥 ( Chu Song-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간화선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본질이라는 주장은 역사에 대한 해석이며 하나의 담론이다. 고려의 간화선 수용은 ‘화이관념’을 통해 송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구축하고자 한 송의 문화정치와, 중심인 송의 문화에 대한 동경과 그것을 전유하려는 고려의 열망이 일치함으로써 이루어진 문화전이의 한 형태이다. 송대 선의 새로운 전개는 선과 문자의 결합으로 특징지어진다. 등록과 염송이라는 새로운 글쓰기는 선종의 종파적 정체성과 역사성을 확립하면서도 공안을 새로운 안목으로 비평하고 반복하는 염송을 통해 현재적 경험으로 살려냈다. 그것은 인도로부터 중국으로의 불교의 중심 이동이며 송대문화의 복고적이면서도 내면적이고 사변적 성향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송조에 의한 중국문명의 중심성 회복과 선불교의 전통의 창안은 당대 동아시아 주변국에서 다시 중심과 주변의 운동으로 반복되었다. 고려는 중심국 중국문화의 가장 근접한 국가로서의 자부심을 향유하며 당시 송조의 세력 약화로 인해 예외적으로 가능했던 탈중심의 중심이 될 수 있었다. 고려 후 기 일어난 禪籍의 수입과 편집은 고려로 하여금 정통의 계승자라는 자부심을 가능케 했다. 고려는 송대문화와 동시대성을 공유하면서 간화선의 정통성을 전유했다. 혜심의 『선문염송』은 이러한 전환의 중심에 있다. 혜심으로부터 시작된 간화선의 전통성의 전유는 문화의 고착화를 초래했지만, 긍정적으로 볼 때 송대 선종의 등록과 염송을 통해 시도했던 인도불교로부터 정통성을 전유하는 방법은 한국불교에도 적용될 수 있는 탈중심적인 운동이며 자기 자신의 현실로 재맥락화 하는 방법으로서 작용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It is a kind of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a discourse that Ganhwa-Seon 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which constitutes Korean Buddhism. Introduction of Ganhwa-Seon from Song China to Korea is a kind of cultural transition which was possible by the cultural politics of Song. Song China tried to be the center of East Asia by Sinocentrism. Seon Buddhism in Song is characterized by the conjoin of Seon practice and literature. The new style of writing such as record of transmission and commentary of koan established the identity of Seon schools and their histories. Due to these writings, the center of Buddhism is changed from India to China and it was repeated in the other east asian countries. Korea has enjoyed its superior state among other east asian countries because of the cultural similarity with Song China. Seonmun-yeomsong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for the Korean Buddhism which tried to have the legitimacy of Seo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