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리섬유 및 알루미늄 금속 혼합물 유리조성 개발

        조현제,김천우,Cho, Hyun-Je,Kim, Cheon-Woo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2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0 No.4

        원전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고화처리 방법 중 하나인 유리화기술이 일부 가연성폐기물에 대해 적용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효과적인 감용과 안정적인 처분을 위해 다양한 폐기물에 대한 유리화기술 적용방안이 확대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연성폐기물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금속과 같은 비가연성폐기물에도 유리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공기조화계통 (HVAC)에는 주로 필터가 이용되고 있으며, 사용 후 필터는 여과재 (유리섬유 및 알루미늄)를 이용하여 배기체를 흡착하기 때문에 방사성폐기물로 처리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필터에 대한 처리기술 연구를 위해 유도가열식 저온용융로 (Cold Crucible Induction Melter: CCIM)를 이용한 유리화 타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후 필터에 대한 유리화 (Vitrification)는 먼저 유리섬유 및 알루미늄 함량을 고려한 최적의 유리조성을 개발 하였으며, 개발된 유리 조성을 이용하여 최적의 폐기물 저감을 위한 용융변수와 최종 생성된 유리고화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용후 필터 유리화용 조성유리는 주로 $SiO_2$와 $B_2O_3$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로를 이용한 용융물 특성시험에서는 폐기물 투입률 및 최종 생성물인 유리고화체의 특성이 검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금속과 유리섬유로 구성된 필터에 대한 유리조성 개발과 이를 통해 생성된 유리고화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유리화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Vitrification technology has been widely applied as one of effective processing methods for wastes generated in nuclear power plants. The advantage of vitrifying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s has a large volume reduction and good durability for the final products. Recently, a filter using on HVAC(Heating Ventilating & Air Conditioning System) is composed with media (glass fiber) and separator (aluminum film) has been studied the proper treatment technology for meeting the waste disposal requirement. Present paper is a feasibility study for the filter vitrification that developing of the glass compositions for filter melting and melting test f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evaluation. The aluminum metal of film type is preparing with 0.5 cm size for proper mixing with glass frit, glass fiber is also preparing with 1 cm size within crucible. The glass composition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molten glass are related with wastes reduction. Glass compositions obtained from developing on glass formulation are mainly composed of $SiO_2$ and $B_2O_3$ for aluminum metal. A variety of factors obtained from the glass formulation and melting test are reviewed, which is feeding rate and glass characteristics of final products such as durability for implementing the wastes disposal requirement.

      • KCI등재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의 식생분류, 종다양성 및 구조적 특성

        조현제 ( Hyun-je Cho ),김준수 ( Jun-soo Kim ),조준희 ( Joon-hee Cho ),오승환 ( Seung-hwan Oh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은 기후변화, 식생천이, 인간간섭 등 다양한 교란 요인으로 토지 본래의 식생 조성과 구조의 변화가 커서 생태적 안정성과 더불어 경관적 다양성과 특이성이 점차 저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의 전면적이고 종합적인 보전 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6년에서 2020년까지 5년간 수행된 산림청 백두대간 자원실태변화조사에서 수집된 총 755개 임분의 식생정보를 바탕으로 정량적인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정량적인 이원지표종분석 방법(TWINSPAN)을 병용하여 종조성적 식생유형을 구분하고 그 종다양성과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백두대간 보호지역 침엽수림의 식생유형은 2개 군락군, 4개 군락, 7개 아군락, 그리고 14개 변군락의 식생단위 체계 하에 총 1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침엽수림 구성종의 100 ㎡당 평균 총피도와 출현종수는 각각 232%, 21종 그리고 종다양도와 종우점도 지수는 각각 평균 1.907, 0.222로 나타났다. Coniferous forest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are gradually losing their landscape diversity and uniqueness along with their ecological stability due to changes in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s caused by various disturbance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vegetation succession, and human interferenc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conservation plan for coniferous forest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We classified the vegetation unit types using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and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methods and analyzed the species divers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vegetation information of 755 stands collected in the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2016 to 2020)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refore, the vegetation of the coniferous forests of theBaekdudaegan protected area was classified into 15 types under the vegetation unit hierarchy of two community groups, four communities, seven sub-communities, and 14 variants. Furthermore, we compared the total coverage among vegetation types, importance values, constancy classes, life-forms, and diversity indices. Additionally, the average total coverage and number of species per 100 ㎡ of all coniferous forests were 232% and 21 species, respectively, with the species diversity and dominance indices averaging 1.907 and 0.222,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팔공산 삼림군락의 (森林群落) 식물사회학적연구 (Ⅰ) - 소나무림에 (林) 대해서 -

        조현제(Hyun Je Cho),홍성천(Sung Cheon Hong) 한국산림과학회 199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9 No.2

        Pine forest communities developed in Mt. Palgong, southeastern Korea, were studied phytosociologically, with special reference to multiple management of local forests, and were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 : mountain forest) and P. densiflora-Climbing plants community (II : valley forest) and six subgroups accompanied by several subgroups. Judging from the coincidence method, the division of communities (vegetation units) was closely related to altitude and topography. Based on vegetation units, a vertical distribution map of pine forest communities was prepared. The species composition(%) of pine forest communities under stratification, in upper and lower tree layer, teas I higher than II, in middle and shrubs lacer II higher than I (Total : Upper 15.5%, Middle 28.4%, Lower 34.6%. Shrubs 21.5%. Sum of mean coverage%i of understory vegetation was II twice as high as I (Total. shrubs 28.4%. forbs 11.4%, Graminoids 11.8%, ferns 1.0%). Based on constance, coverage and d.b.h. class etc., an actual growth and occurrence table of tree species and understory vegetation by vegetation unity were prepared, and could assume a criterion for judging potential dominance-growth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산림유존목의 다양성, 공간 분포 및 생태 특성

        조현제 ( Hyun-je Cho ),이철호 ( Cheol-ho Lee ),신준환 ( Joon-hwan Shin ),배관호 ( Kwan-ho Bae ),조용찬 ( Yong-chan Cho ),김준수 ( Jun-soo Kim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4

        우리나라 산림의 이용 문화 및 다양한 교란사는 생물다양성 및 탄소저장의 생태학적, 그리고 인간 활동 및 자연사를 포함하는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오래된 큰 나무로서 유존목(relic tree)의 희귀성 및 보전 활동의 배경이 된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고해상도 칼라항공사진과 현장답사 자료를 토대로 남한 전역의 산지에서 자연적으로 성립 및 분포하고 있는 산림유존목(줄기 둘레 300 cm 이상)의 다양성, 상태 및 그것의 서식 환경을 평가하고, 이를 통한 보전 기반을 조성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확인된 남한 지역의 산림유존목은 총 54분류군(18과 32속 48종 1아종 3변종 및 2품종)으로서 우리나라 교목류의 약 22%에 해당하였다. 837개체의 산림유존목은 개체군이 풍부한 소나무과, 낙엽성 참나무과 및 장미과 수종에서 풍부하였다. 산림유존목은 인간의 활동 및 강도 구배에 따라 주로 고지대(평균해발 1,200 m), 중경사도 이상 및 북사면 지형에서 주로 잔존하고 있었다. 조사된 개체들은 `큰 가지 결손`상태(55.6%)가 가장 많았고, 이와 관련하여 생육 임분의 수관층 피도는 80% 이하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산림유존목은 기후, 기상 및 생물학적 요인들의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현재에 잔존하고 있는 중요한 산림생물다양성 요소로서 평가되었다. 향후, 산림생태계 내에서의 역할 및 기능, 개체 및 생육지를 활용한 현지 내·외 프로그램, 그리고 보전 정책화를 위한 활동이 요구된다.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and variable disturbance history have been affected the rarity and conservation value of forest relict trees, which served as habitat for forest biodiversity, important carbon stock and cultural role include human and natural history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forest resources conservation by clarifying species diversity,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dividual and habitat) of forest relict trees (DBH > 300 cm) based on the data getting from mountain trail, high resolution aerial photos and field professionals and field survey. As results, 54 taxa (18 family 32 genus 48 species 1 subspecies 3 variety and 2 form) as about 22% of tree species in Korea was identified in the field. 837 individuals of forest relict trees were observed and the majority of the trees was in Pinaceae, deciduous Fagaceae and Rosaceae, which families are abundant in population diversity. High elevation area was important to relict trees as mean altitudinal distribution was 1,200 m a.s.l as likely affected by human activity gradients and mid-steep slope and North aspect was important environment for the trees remain. Many individuals exhibited `damage larger branch` (55.6%) and consequent relatively lower mean canopy coverages (below 80%). Synthetically, present diversity and abundance of relict forest trees in South Korea were the result of complex process among climate variation, local weather and biological factors and the trees of big and old were estimated to important forest biodiversity elements. In the future, clarifying the role and function of relict trees in forest ecosystem, in- and ex- situ programmes for important trees and habitat, and activities for building the background of conservation policy such as “Guideline for identifying and measurement of forest relict trees”.

      • KCI등재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 유존군락의 분포유형과 생태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조현제 ( Hyun Je Cho ),이중효 ( Jung Hyo Lee ),추연식 ( Yeon Sik Choo ),홍성천 ( Sung Cheon Hong ) 한국임학회 201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0 No.1

        ZM방식을 응용하여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향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유존군락의 분포유형을 구분한 다음, 이들 분포유형별 구성종의 중요치와 개체목들의 생장특성을 토대로 생태적 관리방안을 검토하였다. 1.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의 분포유형은 해안식생(SV)과 산지식생(MV)으로 대별할 수 있었으며 해안식생은 해안절벽지 분포형(J-SC)과 해안절벽지 능선부 분포(J-SR)형으로 구분되었다. 산지식생은 회솔나무림과 섬잣나무·솔송나무림으로 구분되었으며, 회솔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Ta-R)과 사면부 분포형(Ta-MS)으로 구분되었다.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P·T-R), 사면상부·능선부 분포형(P·T-UR) 및 사면부 분포형(P·T-MS)으로 구분 되었고, 사면상부·능선부 분포형은 제1아유형(1sub-type)인 솔송나무 우점임분, 제2아유형(2sub-type)인 회솔나무 우점임분, 제3아유형(3sub-type)인 섬잣나무·회솔나무·활엽수류 혼효임분으로 구분되었다. 2.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해안절벽지 분포형(J-SC),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Ta-R), 섬잣나무·솔송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P·T-R)은 지형적 극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해안 절벽지 능선부 분포형(J-SR),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부 분포형(Ta-MS)과 섬잣나무·솔송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T-UR) 및 제3분포형인 사면지 분포형(P·T-MS)은 천이도중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지형적극상을 이루고 있는 향나무림, 회솔나무림, 섬잣나무림, 솔송나무림은 천이에 맡겨두고 천이도중상의 분포형에 대해서는 치수의 생장과 치묘 출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숲가꾸기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솔송나무림을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중용수이며 종자의 순량율이 1~2%인점을 감안하여 숲틈(gap)의 형성외에 인공조림을 실행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되었다. 4. 곰솔림의 경우 강한 간벌과 가지치기를 이용하여 틈을 조성한 후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우산고로쇠 등으로 군상혼효림을 조성하는 것이 울릉도 자연식생을 회복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Distribution types of native conifers (Juniperus chinensis, Pinus parviflora, Tusga sieboldii and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were studied by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and ZM method in Ulleung Island, South Korea. Two main types were divided maritime vegetation (Juniperus chinensis forest) and mountain vegetation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The former was divided into sea cliff distribution (J-SC) and sea ridge distribution (J-SR) type. The latter was classified 7 distribution types;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Ta-R)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Ta-MS) type,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P·T-R), upper and ridge distribution (P·T-UR, 3 units sub-types:1sub, 2sub, 3sub),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P·T-MS) type. It was considered that J-SC, Ta-R, and P·T-R were maintained by topographic climax, but J-SR, Ta-MS, P·T-UR and P·T-MS were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Distribution types of topographic climax are entrusted to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Types in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will be needed tending of forest to promote saplings growth and seedlings germination. Especially in order to restore Tsuga sieboldii forest should be afforest and make forest gap because It is mid shade tolerant tree and purity percentage of its seed is 1~2%.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mposition of group mixture forest constituted Pinus parviflora, Tsuga sieboldii, Taxus cuspidat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Acer okamotoanum, etc. will be able to restore native vegetation, after take the form of forest gap by strong thinning and pruning of Pinus thunbergii forest.

      • KCI등재
      • KCI등재

        아고산 지역 상록침엽수림의 종조성과 구조

        조현제 ( Hyun Je Cho ),배관호 ( Kwan Ho Bae ),이창석 ( Chang Seok Lee ),이충화 ( Choong Hwa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0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3 No.5

        An analysis of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vegetation of the subalpine area, South Korea, combining the Braun-Blanquet approach with numerical syntaxonomical analyses(TWINSPAN and correspondence analysis) is presented. Two main vegetation types(Betula ermanii-Rhododendron schlippenbachii-type and Taxus cuspidata-Meehania urificifolia-type) have been distinguished and typified ten vegetation units. The relationships of the vegetation units to complex environmental gradient are controlled primarily by the attitudinal gradient and micro-topographic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