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층의 모바일 격차

        조주은(Cho Jooeun)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5

        휴대전화에 관한 이론 및 모델들은 대부분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립되었기 때문에 고령층을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조사를 통하여 고령층이 휴대전화를 채택 및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고령층 모바일 격차의 특성과 영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이동통신기술에서의 정보격차는 기존의 정보격차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인터넷과 달리 휴대전화는 고령층에게도 급속히 확산되어 접근격차는 문제시되지 않고, 이용 차원에서의 격차가 바로 문제로 대두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고령층 내부에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휴대전화 채택과 수용에 있어서는 생활시간사용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소극형 고령층은 주로 본인이 아니라 자녀의 동기에 의하여 휴대전화를 선물 받게 되고, 휴대전화를 집전화처럼 음성통화 위주로 이용하였다. 이와는 달리 자기향유형 고령층은 휴대전화의 채택과 수용에서 젊은층과 차이가 없었으며, 휴대전화는 그들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셋째, 문자메시지는 고령층의 휴대전화 이용격차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는데, 전형적인 정보격차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사용법 학습환경’, 즉 가족형태가 결정적인 변수가 되었다. 이것은 휴대전화가 가족 및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고령층의 가족형태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휴대전화가 가족 및 세대 차이를 해소하고, 관계를 강화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끝으로 휴대전화와 같은 상호작용 멀티미디어의 경우 ‘채택’을 기능의 이용여부보다 이용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ories and models on mobile phone acceptance and adoption have been constructed mainly around young users, which posits limits in understanding elderly users.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ain how the elderly users accept and adopt mobile phones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users. Utilizing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discusses three main arguments. First, the elderly users show a distinctly different pattern from young users in accepting and adopting mobile phones, and the difference seems due to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mobile phone usage ability. Considerable variances exist among the elderly users, which can be explained by time use factors and subjects' environments to provide usage tutorials. Secondly, text messaging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in evaluating usage differentials. Acceptance and adoption of text messaging is unique compared to general aspects of digital divide in that 'learning environment' is the decisive variable. It suggests that an important factor to explain mobile phone usage by the elderly is not the lack of desire to use but their capability to fulfill the desire to use and the existence of environment to teach them how to use. Thirdly, due to their insufficient usage ability of mobile phones, the elderly users show high level of discordance between acceptance and adoption: those who want to participate if tutorial sessions are offered and those who feel mobile phones friendly and useful tend to show such discordance.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when evaluating the level of 'adoption' of interactive multimedia tools such as mobile phones, how much or to what degree one uses can be a better criterion than whether one uses certain functions or not.

      • KCI등재

        정보 격차의 확대재생산

        조주은(Jooeun Cho)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에게 확산되지 않은 원인을 노인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스마트폰 수용과정에서 정보 격차가 노인의 인식을 통해 스마트폰 격차로 확대재생산되는 기제를 보여주었다. 노인들이 스마트폰이 필요 없다고 인식한 이유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는 피처폰 사용법을 배우려다 실패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은 스마트폰 사용법을 습득할 수 없다고 인식하는 유형으로, 아날로그 노인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두 번째는 디지털 노인 중에서 스마트폰의 비싼 요금 때문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못하는 저소득 노인이다. 세 번째는 자발적으로 기술 변화에 참여하지 않은 유형으로, 소신에 의해 스마트폰을 수용하지 않은 도시의 디지털 노인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들은 소신을 바꿀 만한 스마트폰의 이용 동기를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스마트폰 수용과정에서 노인의 정보 격차가 확대재생산되는 양상은 두 가지 측면에서 확인되었다. 하나는 아날로그 노인의 정보 격차가 스마트폰 격차로 확대재생산되는 것인데, 여기에서 정보 격차가 노인의 ?인식?을 통해 구조화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디지털 노인들이 스마트폰의 비싼 요금과 이용 동기를 찾지 못해서 새로운 정보 격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 격차가 확대재생산되는 과정에서 ?노인은 정보 무능력자?라는 사회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노인은 피처폰에 만족하고, 스마트폰은 욕망하지 말라?는 규범이 농촌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Based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of elderly people, this study examines why the elderly hesitate to embrace smartphones despite the seemingly universal acceptance of the device by younger users in Korea. It also tries to show how the digital divide affects elderly users’ perception of smartphones and how the digital divide gets further deepened. Most elderly person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accept smartphones because smartphones were not necessary. The lack of necessit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those who had failed to learn to use feature phones and readily gave up on smartphones. Most “analog elderly persons” belong to this category. The second group comprises “low-income digital elderly persons” who could easily learn to use smartphones but could not afford one. The third group is formed by "urban digital elderly persons" who chose not to accept smartphones even though they could use and afford the phones. The digital divide among elderly users was expanded in the process of their accepting smartphones. In the process of the digital divide being reproduced and deepened, the elderly persons were labeled as “information illiterate.” In rural area, such an image was being structuralized into a norm that “elderly persons should be satisfied with feature phones, thus should not desire smartphones.”

      • KCI등재

        파놉티콘의 강화 혹은 역감시?

        전현재(Hyunjae Jeon),조주은(Jooeun Ch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 No.28

        최근 자동차 블랙박스가 확산되면서 블랙박스에 의한 감시가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사고 발생시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기 위해 블랙박스를 구입하고, 블랙박스로 자기 자신을 감시한다. 블랙박스 감시는 두 가지 측면에서 파놉티콘 감시와 구분되는 탈파놉티콘 감시의 특징을 지닌다. 하나는 블랙박스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디지털화된 감시 도구이며, 다른 하나는 파놉티콘 감시하에서 감시 대상이던 개인이 감시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블랙박스동호회의 인터넷 게시판을 통하여 사람들이 블랙박스로 무엇을 하는지, 구입 의도대로 자기 보호를 위해서만 블랙박스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다른 용도로도 사용하는지, 그리고 블랙박스가 기존의 감시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은 블랙박스로 자기 자신, 타인, 보험회사 등 다양한 대상을 감시하면서 감시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었다. 구입 목적과는 달리 자기 보호보다 타인 감시에 블랙박스를 더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인터넷 동호회는 일종의 시놉티콘으로 작용하였는데, 일반 대중이 블랙박스 이용의 모델을 제시하고,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블랙박스 감시는 ‘신고’ 행위를 통해 감시 어셈블리지에 연결되고, 파놉티콘 감시 권력을 강화시켰다. 넷째, 블랙박스와 그에 의한 신고가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은 블랙박스감시를 내면화하고, 감시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사고발생시 보험회사가 판단한 과실비율에 문제를 제기하는 역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는 또다른 시놉티콘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에 의한 블랙박스 감시는 파놉티콘 감시체제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역감시도 수행하고 있었다. The dashboard camera is now an essential part of an automobile, which entails increasing surveillance by the cameras. dash-board cameras, or dash-cams, are useful in assessing responsibility in an accident and for reporting traffic violations. Dash-cam surveillance is different from panopticon surveillance in two aspects. First, dash-cam is a digitalized surveillance tool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Secondly, the individual, who was being watched under the panopticon surveillance, is now the active surveillant. This study analyzes internet bulletin boards of an online dash-cam club and examines whom people watch, why they do it, what the surveillance behavior means to them, and what effects the new surveillance system has on the old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watch various targets such as themselves, others, and insurance companies, and in doing so they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ctive surveillants. Secondly, the online dash-cam club works as a kind of synopticon. In the club, a layperson can suggest a models in which to use the dash-cam, influencing public opinion. Thirdly, dashcams are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assemblage through the acts of reporting, therefore strengthening the panopticon surveillance. Fourthly, as dash-cams are now a part of everyday life and reporting crimes/violations based on their video footage is common, people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surveillance by dash-cams and the social acceptance of the surveillanc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Lastly, insurance companies’ decisions regarding who is at fault in a car accident are often disputed by dash-cam videos, which can imply a synopticon situation where the majority exercise watch over the minority. In summary, while the dash cam surveillance over individuals has strengthened the panopticon surveillance system, it has simultaneously operated as the synopticon surveillance system.

      • KCI우수등재

        SNS는 사회관계를 변화시키는가?

        후빈(Bin Hu),조주은(Jooeun Cho)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2

        카스텔을 비롯한 여러 사회학자들은 인터넷이 관심과 정보를 공유하는 개인 중심의 사회관계를 확장시킬 것으로 예측하였고, SNS는 이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SNS의 확산은 연고가 강력한 사회자본으로 작동하는 한국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은 기술결정론의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SNS 이용행태의 사회적 차이에 주목하고, 그것이 각 사회에서 지배적으로 작동해 온 사회자본의 차이에 기인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고와 꽌시와 같이 지배적 사회자본의 영향력이 뚜렷한 한국과 중국사회를 선택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배적 사회자본은 SNS의 선택과 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SNS의 확산은 오프라인에서 지배적인 사회자본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국사회에서는 폐쇄형 SNS가 친밀한 연고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만들고, 반개방형 SNS는 연고관계의 범위를 확장시키면서 연고의 지배력을 강화하였다. 개방형 SNS는 이용되지 않고, 반개방형 SNS에서 새로운 사회자본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연고는 더욱 공고해졌다. 중국사회에서도 개방형 SNS는 거의 이용되지 않았으나, 반개방형 SNS에서는 새로운 사회자본이 형성되고 꽌시로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SNS가 개인중심의 사회관계를 형성하고 교량형 사회자본을 확대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제공하였지만, 사회적 요인 때문에 기술적 가능성이 기대만큼 사회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았다. 역으로 SNS는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기존의 사회관계를 강화하고 있었다. Many sociologists including Manuel Castells predicted that the internet would expand social relationships of the individuals sharing interests and information, and that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s (i.e., SNS) would accelerate this process. In this regard, the expansion of SNS might result in significant social changes in Korea where ‘Yongo’ is a form of strong social capital. Such a prediction, however, is based on technological determinism.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societal differences in SNS usage behavior in Korea and China, and attempts to reveal that such differences are due to the type of dominant social capital in each society. As Korea and China have dominant social capital form in ‘Yongo’ and ‘Guanxi’, respectivel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from these two countries for a comparative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type of dominant social capital affects: the what and how in terms of using certain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expansion of SNS strengthens already existing offline social capital. In Korean society, closed SNS further tightens existing Yongo, and semi-open SNS expands the range of Yongo, thus strengthening the dominance of Yongo-relationship. That is, open SNS is not practiced, and semi-open SNS strengthens Yongo without forming new social capital. In China, semi-open SNS forms new social capital, which is developed into Guanxi. Open SNS is not utilized in China, either Although SNS provides technical possibility of forming individual-centered social relationships and expanding bridging social capital, the technical possibility, due to social factors, does not significantly change social relationships. In contrast, SNS strengthens existing social relationships in unexpected ways.

      • KCI등재

        지역별 초과 주택담보대출의 추정

        김희호(Heeho Kim),조주은(JooEun Cho) 한국경제연구학회 2017 한국경제연구 Vol.35 No.4

        최근 연구는 주택담보대출을 정책변수로 가정하여 담보대출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은 경제 시스템에서 결정되는 내생변수이며, 균형 수준에 비해서 얼마나 심각하게 초과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담보대출의 결정 모형을 도출하고, 2008년 1월~2015년 12월까지 부동산 월별 자료와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지역별 초과 대출수준을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최근 서울, 대구와 부산에서 초과 대출압력이 강하게 나타고 있어서 이들 지역에서 소득 대비 주택가격이 너무 높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지만, 다른 지역은 그렇지 않았다. This paper derives a model of optimal mortgage, and estimate an excess mortgage relative to optimal magnitude of house debts. Using monthly data of Korea in January 2008-December 2015, and the random effect model, we fi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ouse mortgages. The excess mortgages come mainly from Seoul, Daegu, and Pusan, which have higher house prices than other cities. These cities with high excessive mortgages also have the high leverage effect of cheonsei. The government policy keeps the house prices of these cities to be lower than the critical level of price causing excess mortg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