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자기라는 여자: 소설 『드라큘라』에 나타난 여성 저자성과 타자기

        조은혜 ( Cho Eunhae ) 한국비교문학회 2018 比較文學 Vol.0 No.76

        브램 스토커의 소설 『드라큘라』의 등장인물 미나 머레이/하커는 다양한 매체로 작성된 등장인물들의 기록을 모아 타자로 정서하는 역할을 맡는다. 등장인물 간의 서신이나 일기를 통해 전체 사건을 유추하게 되어 있는 이 소설의 특성상, 미나는 소설 내의 편집자일 뿐 아니라 사실상 사건의 전달과 해석에 최종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서술자로, 일종의 저자성을 획득한다. 19세기에 여성의 저자성을 둘러싼 사회적 불안과 강박이 강력하게 발생했음을 상기한다면 미나의 이러한 모습은 당대의 여성성에 반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남성 동료들과 함께 뱀파이어 퇴치를 위해 노력하는 미나의 모습은 전형적인 빅토리아적 여성성 및 공사의 구분을 침해한다. 그러나 소설 속에서 젠더/섹슈얼리티 체계를 교란하는 다른 인물들인 드라큘라나 루시 웨스텐라와 달리 미나는 처벌받고 퇴치되어야 할 존재로 규정되지도 않고 오히려 그 역할로 인해 찬사를 받는다. 이 글은 일견 모순으로 보이는 이러한 현상이 당대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에 주목한다. 그 과정에서 미나는 단지 작가가 아니라 타자수이며, 타자기를 통해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에게 금지되어 있었던 저자성을 획득한다는 점이 드러난다. 미나의 이런 모습은 여성 사무원 및 타자수의 폭증이라는 당시의 시대상 및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적・담론적 젠더 질서의 위기를 재현하고 있다. 소설 말미에 타자기를 통해 얻은 미나의 저자성이 소실되고 미나의 역할이 비가시화되어 작가로 여겨지기보다 타자기라는 기계와 동일시되는 과정은 여성 타자수와 그들의 신체를 타자기라는 기계로 재의미화함으로써 기존의 젠더 위계를 방어했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젠더 담론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글은 『드라큘라』에 드러난 과학 및 테크놀로지 발전과 젠더 구성의 교차를 드러낸다. Wilhelmina “Mina” Murray/Harker is a character derived from the Bram stoker's novel of Dracula. She assembles all of the records of the other characters, whom are composed of various media, and transcribes everything onto her typewriter. The narrative style of this particular novel mainly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letters, diaries and telegrams. This allows her to be not only an editor in the novel, but also the most important narrator of the entire storyline. She has the final authority over the interpretation and deliberation of each and every incident. Her role and character resists the gender norm of 19th century, as there was a massive social unrest and anxiety surrounding a woman's actual authorship at that time; and her activity as a vampire hunter with male characters goes against from Victorian femininity and violate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 However, unlike the count Dracula and Lucy Westenra, who disturb the gender and sexuality norms of the time and were ultimately punished for it, Mina was neither punished nor eradicated; on the contrary, in this novel, she was praised for her outstanding works. This paper notes this clear paradox surrounding Mina as being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analyses intersections of technology and gender discussion during this era. Mina is not just a writer but a typewriter; it is the machine that brings her the authorship that was forbidden at the time to Victorian women. Mina represents the social and discursive crisis caused from the explosive increase of female clerks and typists of this era. At the end of the novel, her position is completely deprived of the authorship and equated with typewriting machine. This reveals the procedure that late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gender discourse that highlighted the female clerks and their body as typewriting machine and secured an established gender hierarchy.

      • KCI등재

        국내 미디어에 등장한 도시언어현상의 탐색

        신동일(Dongil Shin),조은혜(Eunhae Cho)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미디어로부터 도시언어현상(Metrolingualism)의 출현이 어떻게 시작되고 있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해외 거주와 유학을 경험한 내국인과 외국인들이 급증하면서 한국은 다문화, 다언어주의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사회구성원들은 혼합적인 언어사용에 점차 관용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성을 도시언어현상의 개념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도시언어현상이란 다양한 언어, 민족, 국가의 배경이 혼합되어 있는 도시공간에서 사용되는 일상적이고 횡단적이며 유희적인 언어실천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등장한 국내 미디어자료를 수집하면서 한국사회에서 이미 등장한 도시언어주의현상을 다섯 가지 영역(일상성, 유희성, 중층적 정체성, 재지역화, 멀티태스킹)으로 재배치하여 논의하였다. 대중매체를 통해서 영어-한국어가 횡단적으로 혼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심지어 언어적 실천을 다소 유희나 겉멋으로 소비하는 경향도 있었다. 또한 메트로링구얼들은 낱말의 국적이 모호한 다국적 어휘를 사용하면서 초국가적인 정체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특정 언어를 사용하면서 특정 공동체에서 소속감을 찾고자 하는 도시민족성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이질적인 것과 고유한 것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혼합하는 재지역화, 도시공간에 허락된 모든 언어자원들을 최적화시키는 멀티태스킹의 속성 역시 본 연구에서 수집한 미디어자료로부터 유추할 수 있었다. 앞으로 후기-세계화, 이주의 현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국내 사회에서 도시민족성의 특징을 보유한 도시언어현상 연구는 관련 학계에 유의미한 질문을 던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trolingual practice in the Korea media. Facilitated by the increased flow of (Korean) foreigners, linguistic landscape in Korea has become heterogeneous. It can be well understood in terms of metrolingualism, which explains everyday language practice in diverse urban spaces. For example, it includes the mixture of various languages, ethnic groups, and nationalities. In this study, TV advertisement, broadcast, and newspaper articles from the Korean mass media were collected and placed in the five domains of metrolinguistic landscape in Korea: everyday practice, playfulness, layered identities, relocalization, and multitasking. It was found that everyday translingual practice often appeared in the Korean media. Playfulness through code-switching was taken as fashion. Fluxity and fuilidity of languages and identities were intersected, where metrolinguals crossed the borders among different languages as they insisted upon the conventional membership by speaking the language of their target community. Metrolingualism was also well explained in relocalization of cuisine, in the lyrics of hip-hop, or in the multitasking of all linguistic features as resources. It can be argued that language is emergent from the local urban practice, where social interaction arises with spatial interaction. Metrolingualism is expected to describe how different languages, or language with varieties, are adopted to communicate, and predict the upcoming linguistic societies in Korea.

      • KCI등재

        소아천식 환자에서 충격진동법과 폐활량기로 측정한 소기도 장애와 호기산화질소와의 관계

        서보선 ( Bo Seon Seo ),이정민 ( Jeong Min Lee ),조은혜 ( Eunhae Cho ),백지현 ( Ji Hyeon Baek ),이경석 ( Geong Suk Lee ),신윤호 ( Youn Ho Shin ),지혜미 ( Hye Mi Jee ),정영호 ( Yong Ho Jung ),한만용 ( Man Yong Han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3 No.4

        Purpose: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is a maker of airway inflammation, and impedance of low frequency in the impulse oscillometry system (IOS) reflects small-airway obstruc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the FeNO level with IOS parameters and spirometry results in asthma patients. Methods: Fifty-eight children with asthma (60.3%, male), mean age 8.3 years (range, 4.5.16.0 yea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Reactance and resistance at 5 Hz with IO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flow 25%.75% of the vital capacity (FEF25%-75%) with spirometry and FeNO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The Z-score of spirometry and IOS parameters and the mean level of FeNO were used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eNO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ight, age, or other demographic paramet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irometry results and IOS measurements. The FeNO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OS variables. After adjusting for height, sex, atopic status, and the use of inhaled corticosteroid, the FeNO leve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Z-score of FEV1/FVC (P=0.037, adjusted R2=0.234). Conclusion: FeN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Z-scores of FEV1/FVC, but not with IOS variables. Therefore, FeNO may be used to detect whole airway obstruction, but not small-airway obstructio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267-27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