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정 도서 개발 과정의 교과서 수정 양상 분석: 2009 개정 통합 교과서를 중심으로

        조상연 ( Sang Yea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국정 도서(교과서)를 편찬하는 5개의 과정본 교과서(초고본, 원고본, 실험본, 수정본, 결재본)를 대상으로 교과서 수정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5개의 과정본에 대한 수정은 총 2,111건이 이루어졌다. 첫째, 초고본의 수정은 171건으로 전체 대비 8.1%로, 주로 텍스트를 중심으로 차시의 교수ㆍ학습 초점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고본의 수정은 333건(15.8%)이었고, 텍스트를 수정하여 차시의 교수ㆍ학습 초점을 향상하거나, 삽화를 수정하여 교과서 표현이 좀더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보편성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였다. 셋째, 실험본의 수정은 1,177건(전체 55.7% 해당)으로 가장 많았고, 주로 삽화를 수정하여 보편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수정한 특징이 있었다. 넷째, 마지막으로 수정본의 수정은 430건(전체 대비 20.4%)으로 실험본 다음으로 많은 수정이 이루어졌는데, 텍스트와 삽화를 수정해서 차시의 교수ㆍ학습 초점을 향상하거나 보편성을 확보하는 방향에서 수정되었다. 마지막 수정은 교수ㆍ학습 상황의 관점에서 초고본, 원고본, 실험본에 비해서보다 세밀하게 차시의 양 조절, 오류 정정 등을 점검하는가 하면, 현재 사회문적화적 쟁점인 양성평등 등의 관점도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ification system of five process versions of Korean national textbooks(draft version, manuscript version, temporary version, modified version, and published vers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ve process versions of Korean national textbooks have been modified for a total of 2,111 cases. Firstly, draft versions have been modified for 171 cases (8.1 percents of the total). In these cases, the ‘texts’ have been modified manily, and the main reasons were for focusing in each lesson. Secondly, manuscript versions have been modified for 333 cases (15.8 percents of the total), in these cases, ‘texts modifications’ for ‘focusing in each lesson’ or ‘illustrations modifications’ for ‘pursuing universality’ were mainstream. Thirdly, the temporary versions that accounts for the largest number of modification have been modified for 1,177 cases (55.7 percents of the total). They have been modified mainly ‘illustrations’ for ‘pursuing universality’. Fourthly, modified versions have been modified for 430 cases (20.4 percents of the total) that were the second largest. The modified versions have been modified mainly ‘texts’ and ‘illustrations’ for ‘focusing in each lesson’ and ‘pursuing universality’. The last modif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were analyzed more closely. In this context, for exampl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in lessons, the correction of errors, and social and cultural issues of at the times, like gender equality were checked more closely.

      • KCI등재후보

        제4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초등 통합교과의 발생적 의미

        조상연 ( Sang Yea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1

        초등학교 통합교과는 제4차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정책의 하나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당시 통합교과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발생적인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으로서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으로서 정책’으로 개념을 구분한 Elmore & Sykes(1992)의 논의 중 ‘정책으로서 교육과정’에 기초해서 제4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통합교과의 성격을 정책의 의도, 의제형성과정, 구현 형태로 나눠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과는 첫째, 2~3 교과의 시간을 통합해서 운영한다는 정책 의도로, 둘째, 밖으로는 과열과외 문제 해결, 안으로는 인간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장했으며, 셋째, 통합수업에 대한 경험과 능력을 갖추지 못한 당시 학교현장의 현실에서 이를 ‘교과서’를 통해서 구현하는 방식을 선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를 통합교과에 대한 초심으로 규정하였다. 이런 초심에 기초해서 볼 때, 우리나라 통합, 통합교과 및 교과 통합 분야에서 ‘통합’의 취지를 교과 내용 통합을 넘어서 보다 확장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통합교과서를 가르치면서 통합을 실행해 온 초기의 관행을 넘어서 학생의 배움을 기초로 교과를 통합할 수 있는 교사의 통합수업 설계 및 실행 능력을 연마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재음미하였다.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have been started with the fourth revisional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s a search for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on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explored the genetic meanings of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 devi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ubjects of the fourth revisional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to ``intent of policy``, ``agenda formation``, and ``forms of action`` and explored that characteristics based on discussions of ``public policy perspectives on curriculum`` and ``curriculum on public policy perspectives`` by Elmore & Sykes(1992). As a result, the integrated subjects have been introduced for, firstly, the intent was incorporating the lower grades in class. secondly, problem solving for overheating private education outside and ways to implement human-centered education inside, and thirdly,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teaching by providing textbook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er qualified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 학교교과 생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조상연 ( Sang Yean J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이 연구는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안으로 들어온 초등 학교교과의 도입ㆍ생성 양상을 고찰하고 그에 영향을 미친 요인 및 함의에 관해 논의한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교교과 생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먼저 살펴보고이 논의들을 기반으로 하여 국가 주도의 공교육에 근대적인 학교교과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던 개화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새롭게 도입된 초등 학교교과의 생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새롭게 생성된 교과는 긴급조치기의 ‘공민’, 교수요목기의 ‘사회생활’, 제3차 교육과정 시기의 ‘도덕’, 제4차 교육과정 시기의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등의 세 통합교과, 그리고 제6차 교육과정 시기의 ‘영어’가 있으며, 이들 교과는 모두 교육과정 내적인 요인과 함께 교육과정 외적인 요인, 특히 당대의 정치권력의 영향력이 비교적 크게 작용하여 생성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aspects on the introduction or generation of elementary school subjects from the Late Period of Chosun to modern times. For this, at the very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diverse discussion on the generation or formation of school subject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ried to historical review about the elementary school subjects they have been introduced or generated from the Late Period of Chosun to modern times. As a result, It have been introduced or generated that were ``Civics`` of the Period of Emergency Measures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Social Life`` in the Period of Syllabus, ``Morality`` in the period of The Third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in the period of The Fourth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nglish`` in The Sixth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se school subjects have been newly introduced or generated for the factors of education on both of internal and external. Especially, it was the political power of the time that had been relatively significant affected on the introduction or generation of these school subjects.

      • KCI등재

        제4차 교육과정 시기의 초등학교 통합교과 생성 과정 고찰

        조상연 ( Sang Yean Jo ),정광순 ( Gwang Soon J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제 4차 국가교육과정 개정 당시의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 생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교육과정 개정 과정을 설명.분석하는 체제를 제시한 Thomas(1968)의 준거에 따라 제4차 국가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초등학교에 통합교과를 도입한 과정을 고찰하고, 당시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아이디어는 인간중심 교육에 대한 방향을 구체화한다는 의미에서 교과서의 모습으로 구체화되었다. 둘째, 제4차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주체는 국보위, 문교부, 개발원을 중심으로 한 참여자들이었다. 우선 국보위는 초법적인 위치에서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통해서 과열과외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집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리고 문교부는 시행 기구로서 자신이 가진 법적 권한을 행사하여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원은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구 개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수준교육과정 연구 기관(CDC)으로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개발원 내의 연구체제를 정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은 첫째, 학생의 학습을 배려하려는 의도로 둘째, 정책적으로 도입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in terms of that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quite political. For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n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criteria of Thomas(1968). Because of his criteria offer the system that is explain and analyze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the fourth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for the leading of three units they were the National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is process,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ould b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various interactions of the three units

      • KCI등재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상연 ( Sang Yean J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이 의도하는 교육적 지향의 궁극적인 구현은 교실 수업의 변화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주 사용자인 교사의 입장에서 교육과정 문서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의 중요한 제안들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의 주요 제안은 첫째, 교과 교육과정 전반에 핵심역량을 반영하라는 것, 둘째, 융합ㆍ연계 교육을 위해 교과 내용체계를 모든 교과가 그 형태를 어느 정도 통일하여 재구조화하라는 것, 그리고 셋째, 성취기준 진술을 수행중심 진술로 개선하는 것이었다. 이를 교육과정을 사용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고찰한 결과 국가교육과정 문서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교육과정의 주 사용자가 교사인 것을 명확히 하고 교사가 제시된 교육과정을 제대로 이해하여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진술해주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view the main proposal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lanning, and based on that, the researcher tried to suggest its implications. As a result, the main proposal of the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lanning are, first, it should reflect the core competencies across the curriculum standards, second, it should be re-structured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and third, it should improve the form of statements on curriculum standards. The results from this is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stated in the way of teacher planning.

      • KCI등재

        교과서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초등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조상연 ( Sang Yean Jo ),김세영 ( Se Young Kim ),정광순 ( Gwang Soo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3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편찬 과정을 분석하여 현행 초등 통합교과(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이 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 소주제, 활동주제 및 성취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과서의 교육과정 편성은 분책계획 단계에서 대주제를 기준으로 16책을 개발하였다. 이에 현 8개의 대주제가 적절한지, 16개로 확장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논증하고 실증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각 책의 단원은 교육과정 소주제를 기준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이에 각 대주제를 구성하는 4개의 소주제 조직의 원리를 탐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주제별 교과서 차시의 내용 및 활동 선정의 기준은 교과별 활동주제와 성취기준이었다. 이에 총 99개(바른 생활, 33개, 슬기로운 생활 33개, 즐거운 생활33개)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을 교과서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성취기준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광범위하거나, 협소하여 개선이 필요한것이 13개였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potential improvements or the Korean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for Grade 1 (G1) and Grade 2 (G2), by examining approaches to compiling national textbook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textbooks organize the given curriculum, providing suggestions for main-themes, sub-themes, and activity-theme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sixteen national textbooks have been organized according to the main-the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themes have been bound into plans, represented by fascicle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research be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themes should be expanded from eight to sixteen. Secondly, each lesson in the textbooks has been organized according to sub-the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principle of organizing each main theme into four sub-themes should be investigated. Finally, the standards of the content and activity-selection lessons focus on activity-themes and academic achievements; as a result, all ninety-nine academic achievements for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were analyzed. This study found that thirteen of these academic achievements are inordinately abstract, lacking in comprehensiveness, or are exceedingly narrow. Improvement plans for these academic achievement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