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맞춤형 에너지교육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사례로 본 지역성의 반영

        조미성(Miseong Ch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4

        지역의 독특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에너지교육은 장소감을 형성하고 삶의 문제해결에 기여한다. 그러나 마을에서 이루어지는 에너지교육이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성을 반영한 환경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맞춤형 에너지교육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사례를 통해 지역환경교육 활동가들의 지역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다수의 참여자들이 지역에 대한 비장소와 장소상실을 드러냈으나, 워크숍을 통해 학습자의 일상경관과 삶의 문제를 교육내용으로 끌어오며 유사-환경정의 관점을 발견하였고, 환경교육자로서의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소가 상실된 대도시에서의 재거주화 방안 및 학습자의 일상과 환경정의 관점을 아우를 수 있는 지역환경교육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Energy education as a new way of life’ is likely to be realized in local communities. If we provide energy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ontext of the local community, we can form learner’s sense of place and deal with real-life problems. However, the contents of energy education, which are implemented in some villages, do not tend to reflect local contexts or learners’ everyday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locality can be achiev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 examined what grassroots energy activists appreciate ‘locality’ and how they develop energy education programs with local context through ‘Workshop for development of locally-specific energy education programs.’ Non-place and placelessness were found among considerable participants. However, the participants could apply the everyday lives of learners to contents of education, develop partial-environmental justice perspectives, and improve their ability as environmental educators.

      • KCI등재

        에너지전환운동 과정에서의 생태시민성 학습

        조미성(Cho, Mi Seong),윤순진(Yun, Sun-Ji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4

        에너지자립마을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위기에 대한 지역적 대응이며, 주민들의 자발적인 주도와 참여가 핵심적인 성패 요소다. 이 연구는 지역 주민들이 에너지자립마을 운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무엇이며 어떠한 변화와 성장을 겪는지 살펴보 고, 이를 생태시민성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관악구에서 에너지자립마을 활동을 하는 소모임 구성원들에 대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위주로 하면서 문헌 조사를 병행하며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주민들은 초기 에는 사회적 관계망이나 재미에 이끌려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점차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며 생태시민성을 함양해갔다. 이들이 시민성을 형성하는 과정은 전통적인 학습보다는 참여와 실천을 통한 사회적 학습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구 성원 각자의 생태시민성은 부족해 보였으나, 집단적으로 하는 활동은 생태시민들의 모습을 띠었다. 이러한 양상은 생태시민성을 개인 차원의 접근에 머무르기보다 사회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과정적이고 학습적인 관점에서 해석해야 함을 시사한다. 참여자들은 교육 수준이나 환경의식이 평범한 성인들로서 이들의 변화에 대한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전환운동이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전략적 기초가 될 수 있다. The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ESSV) movement, which relies heavily on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is a lo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the energy crisi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y participants get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and how they have changed and grown through their ESSV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from an ‘ecological citizenship’ perspective.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using primarily participant observation of Gwanak District’s ESSV, using both interviews and a literature survey. Many respondents reported initially getting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due to recommendations from social contacts or for leisure. However, participants then attached social meaning to their ESSV activities and cultivated ecological citizenship. ESSV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citizenship development reveal a departure from conventional classroom learning and instead demonstrate a type of social learning cultivated through participation and practice. We found that, while individually, members did not have high levels of ecological citizenship, collective activities among members seemed to reveal stronger ecological citizenship. This implies that rather than approach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an individual perspective, we must approach ecological citizenship from collective and procedural perspec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 which reveal behavioral and attitudinal changes experienced by adult participants with average levels of educa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 can inform strategies for expanding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o reach the greater public.

      • KCI등재

        제로에너지주택 거주자들의 변혁적 확장학습에 대한 사례 연구

        조미성(Miseong Cho),김남수(Namsoo Kim),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1

        제로에너지건축기술은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지속가능한 주거 기술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술결정론과 전문가주의의 담론속에서 시민들의 역할과 학습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제로에너지주택단지인 A주택 주민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시민들이 어떻게 학습하며, 독자적인 시민지식을 생산해내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시민들은 일방적인 전달식 교육 방식에는 거부감을 드러냈고, ‘문제’를 드러내고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확장학습의 양상을 보였다. 이들은 전문가들과는 다른 관점과 관심사를 가지고 기술을 바라보았고, 독자적인 시민 지식을 생산해 내었지만, 성과로 연결되거나 더 큰 비전을 가지지는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지식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시민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는 변혁적 학습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Recently, soci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zero-energy building technology as a sustainable housing technology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However, discussion and researches have been rarely conducted on the role of citizens and learning in the discourse of technology determinism and expertism. This study explored how citizens learn and produce their lay knowledge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on residents of a zero energy housing complex, called A-house. Findings revealed that residents were opposed to one-sided transmissive education. Expansive learning emerged as residents tried to reveal and solve the ‘problems’ they had faced. They had different perspectives and interests from experts about technology, and produced unique lay knowledge. However, their efforts were limited in that they had hard time to achieve changes and to have a greater vi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ition to a sustainable social system requires transformative learning approach in which diverse perspectives on knowledge and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are premis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