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진왜란 終戰後 李舜臣 幕下人物의 활동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7

        This researh is conducted to find out activities of Admiral Yi s officers who played important part during the Imjin-Waeran(1592~1598), and how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estimated those figures. For the research, we divided Admiral Yi s subordnate into three group. The fisrt, activities of those who worked with Admiral Yi when he was commander in chief of navy of Jeolla left province. The second, Activities of Yi sun-sin s staffs and their descendants. And the third, Activities of officers who carried out the war under Admiral Yi s command during Jungyou-Jaeran(1597~1598, Janpanese second invasion). we can find out that some of Admiral Yi s subordinates did not work in the government, and lived a life in seclusion, But many of Yi s subordinate were appointed in high position in the millitary, and played the important role. Yi s men carried out their duty as an army commander, as well as navy commander faithfully, and goverment of Joseon dynasty also set a high value on their millitary merits. Especially, Lee sun-sin(李純信) and Kwon jun(權俊) was appointed as a meritorious retainer and You hyung(柳珩), Woo chi-juck(禹致績) and Lee woon-ryong(李雲龍) played important part in the millitary, as navy commander of three province and other key positions

      • 거북선의 복원(復元)에 관한 소고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6

        2006년 7월 현재 우리나라 해안 부두에는 총 4척의 복원된 거북선이 계류되어 있다. 이 거북선들은 모두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유적지와 관련이 있거나 이순신의 후예들이 전기를 갈고 닦는 곳에 위치하여 그의 정신을 선양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남해 충렬사 앞에 있는 거북선은 연평균 15만 명의 관광객이 찾고 있으며, 해군사관학교의 거북선은 군항제 때 관광객들의 단골관람 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외형적인 모습과는 다르게 최근 들어 거북선에 관한 구조와 기능 면에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학계에서 수십 년간 지속되어 온 것이지만, 최근에는 거북선을 관광하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다. 먼저 구조면에서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복원거북선들은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이라고 설명하면서도 사실상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의 모습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다. 그 예로써 기록과는 다르게 용두(龍頭) 내부에 현자총통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선체 내부에 노군과 전투원이 한 곳에서 활동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다는 것 등이다. 이와 함께 거북선이 철갑선인가 하는 의문도 계속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점들이 문제점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최근 들어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을 새롭게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들은 아직까지도 거북선에 관한 정확한 연구 성과가 없다는 것을 의시 이전의 구조로 복원된다면 이는 다시금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거북선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하여 몇 가지 고려할 점들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거북선 복원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한계가 있다. 즉 제목에서도 소고(小考)라고 했듯이 조선공학적 차원에서 검토해야 할 전문 분야를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는 다만 거북선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와 문헌들을 토대로 거북선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 후 거북선 복원시 고려요소를 필자의 주관적 견지에서 제기해 보고자 한다. The Turtle ship is the special type of warship that was invented by Admiral Yi Sun Shin jus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rendered great service to destroy enemy ships in naval warfare during the invasion. In modern times, to restore the Turtle ship, progressive experiments from many historians were conducted but since we are not restoring the Turtle ship to proper Japanese invasion era quality, the proper structure of the turtle ship is controversial. In order to settle the problem, with my investigatio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turtle ship that are listed in naval tactics and old documents, I surmised under careful consideration to restore the turtle ship. As a result, looking at the tactical sides or pictures of the Turtle ship from old documents gave me a strong belief that the structure of the turtle ship consists of 3 floors.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is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dragon head and iron-clad problems in the rear side will be able to be solved.

      • 조선시대 李舜臣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5

        忠武公 李舜臣은 임진왜란 시기 수군을 지휘하여 침략자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그러기에 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그는 우리 민족의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더욱이 1908년에 신채호의『성웅 이순신』이 발간된 이후 수십 년간 이순신은 우리 민족의 聖雄으로까지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현대시기에 들어서도 1960 ~70년대 정부의 이순신 선양활동과 맞물려 국민 저변에 폭넓게 확산되었다. 특히 정부 선양활동의 일환으로 이순신과 연관된 지역과 기관은 추모행사와 유적지 정화사업 등을 통해 그의 업적을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그 결과 우리 국민들의 대다수가 이순신이 어떤 인물인지 알게 되었다. 그런데 1980년대 이후 이러한 이순신에 대한 성웅화 또는 신격화 경향에 대해 일부 역사학계의 부정적인 시각도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각은 민주화의 진행속도에 비례한 것이기도 하다. 예컨대 이들 학자들의 주장은 이순신이 임진왜란 시기 다대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공적이 현대 시기에 너무 과도하게 평가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순신의 성웅사관과 순국사관 등은 지양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시각은 현재도 지속되면서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그러면 이 같은 인식이 생긴 배경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이순신에 대한 선양방법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즉 이순신은 그동안 불세출의 영웅으로서, 성웅 또는 신과 다를 바 없는 존재로까지 간주되어 왔다. 이 현상과 관련하여 비록 지난 시기이지만 한 일본인의 지적이 주목된다. 즉 가와다 이사오(川田功)는 1911년에 발간한 『포탄잠재우기』라는 그의 저서에서 “대단히 실례인줄 알지만, 한국인들은 이순신장군을 성웅이라고 떠받들기만 할 뿐, 그분이 진정으로 얼마나 위대한 분인가 하는 것은 우리 일본인보다도 모르고 있는 것 같다.”라고 언급하였다. 이 말에 반드시 동의할 필요는 없지만 오늘날에도 음미할 가치는 있다고 생각한다. 또 한 가지 문제점으로는 이순신의 인품과 업적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동시대 인물인 元均과의 이분법적인 비교가 자행되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를테면 이순신은 무결점의 인격자이자 全勝의 신화를 남긴 사람이고, 원균은 이순신을 모함한 인물이자 패전의 장본인으로 간주한 것이다. 그 결과 이순신이 성인이 된 반면에 원균은 역사의 죄인으로 인식된 것이다. 이러한 선양방법의 잘못으로 오늘날에도 이순신에 대한 인식에 논란이 있는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지적이 없더라도 우리는 이순신의 실체를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오늘날의 이순신 像이 그려지게 된 배경에 대해서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정확한 역사적 사실 추구를 통해 도출한 교훈을 현실 생활에 반영하는 자세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적으로 전근대 시기 이순신에 대한 인식의 흐름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즉 이순신 생존 시기나 그의 사후 조정과 당대·후대 인물들의 이순신에 대한 인식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의 인식이 생겨난 배경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임진왜란 시기 정치권의 역학관계와 조선후기 왕들의 통치형태도 일부나마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본고에서는 이순신에 대한 인식의 흐름을 사료에 나타난 그대로 정리해 볼 뿐이다. 이를 토대로 한 당시의 정치적 역학관계나 집권자들의 통치행태에 대한 분석은 추후의 작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순신의 활동시기였던 선조집권기에 조정이 이순신을 어떻게 인식했는가를 살펴본 후 순국한 직후 당대의 인물들에 의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조선후기 왕들과 지식인들의 이순신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위주로 선조를 포함한 역대 왕들과 조정 신료들의 이순신에 대한 인식 정도를 밝혀보고자 한다. 아울러 관련 인물들의 문집류에 나타난 내용들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The name of Admiral Yi Sun Shin is renowned throughout South Korea ; he is probably the one historical hero the Korean people are most proud of. However, due to past misrepresentations, the Korean public has only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real man behind the publicly presented image. I believe we need to acknowledge the real Yi Sun Shin, not merely the myth. To do this it will be helpful to take a closer look at how his image came to be presented as it is today. Accordingly I have attempted to reconstruct from historical records, the public and scholarly perceptions of Yi Sun Shin over the years. I have organized my researches into three time periods, the first, that period covered by the reign of King Sun- jo(宣祖), being the time during which Yi Sun Shin lived and came to prominence. All of the records concerning Yi Sun Shin during this period come either from the King himself or from the members of the Imperial Court. An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ecurity of Korea was under threat of war, making military successes and failures of prime concern to everyone. Yi Sun Shin s reputation was made during this time of war, and this reputation for courage and skilled leadership, continued into the second period. During this time, both Korean scholars and Chinese general write positively of Yi Sun Shin and his abilities. During the third and final period, that of the Chosun Dynasty, Yi continued to be seen in a positive light. It was at this time that Yi Sun Shin was deliberately promoted as a symbol of Korean patriotism. Possibly in order to prevent future wars. All the foregoing contributed to today s understanding of Yi Sun Shin, and it is therefore not surprising that he is worshipped as a national hero and symbol of Korean military prowess.

      • KCI등재

        露粱海戰과 이순신 戰死 狀況에 관한 고찰

        제장명(Je, Jang-myun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군사 Vol.- No.78

        This paper points out the meaning of the Sea Battle of Noryang further, therefore, it is aimed for the raw circumstances of admiral, Yi Sun-sin who had lead the battle to defeat and the very moment passing away at the battle. This is because while the sea battle of Noryang has yet to be generally estimated, there are hypotheses scattered out about Yi Sun-sin’s death. It has been asked a proper time to clear up the reality of admiral, Yi Sun-sin’s death and the sea battle of Noryang. The purpose and the intentions of this paper w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sea battle of Noryang was the only Joseon and Ming Combined Forces Operations during the lmjin War. Hence, it was the most significant issue to have capable directions of the Ming commander, Chen Lin who operated the rein. Yi Sun-sin derived the Ming Navy which were lead by Chen Lin to the battle with his excellent leadership. Furthermore, what he had credited by Chen Lin with building Yi’s willingly cooperated manners resulted the Sea Battle of Noryang a complete victory. Yi Sun-sin’s brilliant tactics and strategy were one of the reasons for the success on the Sea Battle of Noryang. For instance, his superlative strategy to settle on a prior occupation and to entice the Japanese Forces to Noryang Strait were an extraordinary strategy of the victory. In addition, this victory of the battle meant a lot to let the neighbor countries know the superlative of the Joseon Naval Force, of course dismissing the Japanese Forces which attacked the Joseon. The image toward Joseon of Ming turned to be amenable in the meantime. Furthermore, this victory of the battle gave ordinary citizens who were slumping down consoled a lot as well. Yi Sun-sin died at the sea battle of Noryang meant so much. I have analysed the surroundings of Yi Sun-sin’s death : the sea and the time of Yi’s death, the situation of the shooting, and who reinforced after the death. According to the research, Yi Sun-sin’s death area could be considered nearby the way in Gwaneumpo, and the time of death is highly regarded at dawn. A stray bullet by one of Japanese Forces had struck him high on the left side of his heart and eventually pierced it, and it is certain that Yi had been wearing an armor. By the time it is skeptical that he was committed suicide but he was shut bounding up himself unintentionally. The captain, Song Hui-rip who had been at the flag ship took over maintaining Yi Sun-sin’s death and assured the command during the battle being waged. The cooperations with Ming leaders were on Son Mun-wuk in the meantime.

      • 임진왜란 시기 당항포해전의 전술적 특징과 해전사적 의미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0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on the Joseon(Korean) Navy Forces which did the crucial role on the battles during Imjin War, and it will be definitely connected to look into the Admiral Yi Sun-sin’s works. The 3 great naval battles lead by Yi was notable, however, Danghang- po naval battle gives much strategical points for the war history with the importance of tactics. First, this first Danghang-po naval battle in 1592 is the third battle of Yi’s second operations of three in total. It can be the crucial point of the war history of sea that the victory of this battle along the other three naval battles gave the effort for the Great naval battle at Hansan-do (The Great Hansan-do naval battle). For the correcting information, Sacheon naval battle which became a cause of Hansan-do naval battle accomplished to sink 15 Japanese warships. Also, I have found that Joseon’s Navy Forces sank 28 Japanese warships. This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2nd Danghang-po naval battle broke out during the negotiation period. Having the dragging talk, Joseon’s Navy could reinforce their internal power not like the earlier phase of the war. This time, Yi made remarkable strategies towards the enemies and demolished them. Simply, it has different naval battle aspects on the 2nd Danghang-po naval battle from the naval battle in 1592. The naval battle in 1592 was interactional at any, and the 2nd naval battle at the same place was the condition which Japanese troops were fleed away to on land and incinerated empty vessels. Yi’s incredible ability by having the twice naval battle at the same point had been proved. For instance, prior to opening the naval battle, Yi gathered information of Japanese camp and made precise plans for the naval battle. Moreover, he showed proper tactics of each state extending the duration of the naval battle like attacking first the master ship. However, Joseon Navy had its won problem not to cope. Yi always raised his voice that Joseon troops had to have the allied troops of army and navy to be succeeded, but the Joseon Army was far away to be with Yi’s strategies. It can be read this point through two battles at Danghang-po naval battle as well. Interestingly, Yi sometimes took his commandership over to other when it comes. The formation of his was recreated from the army’s military tactics. These twice battles at Danghang-po gives some points towards war history of sea. Korean Navy could strive and accomplish the harsh moment of the horrible Imjin War from the 1st Danghang-po naval battle, and the 2nd battle gave critical stroke to enemy who brutally abused Korean during the dragging negotiation talk. 임진왜란 극복의 주 동력인 조선 수군의 해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이순신의 활약상을 제대로 드러내는 데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이순신이 주도한 3대해전 외에 해전사적 의미와 전술적 가치가 큰 해전이 바로 당항포해전이다. 먼저 1592년의 제1차 당항포해전은 이순신이 주도한 조선 수군의 제2차 출전 중 세 번째에 벌어진 해전이다. 이 해전에서의 승리는 다른 3번의 해전과 함께 한산도해전의 배경이 되었다는 면에서 해전사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부가하여 이 해전의 배경이 되는 사천해전에서는 기존 연구 성과와 달리 15척의 일본 군선을 격침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당항포해전에서도 기존 연구 성과와 달리 28척의 적선을 격침 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1594년에 벌어진 제2차 당항포해전은 임진왜란 강화교섭이 진행되던 시기에 벌어진 해전이다. 당시 조선 수군은 임진왜란 초기와 다르게 막강한 수군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 해전에서 이순신은 매우 주도면밀한 작전을 수립하여 일본군을 일망타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제2차 당항포해전은 임진년의 당항포해전에 비해 교전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임진년의 해전에서는 상호 공방전에 의한 해상전투의 비중이 컸지만, 2차 해전에서는 대부분 일본군들이 육지로 도망가 버린 상황에서 남아 있는 빈 배들을 분멸시킨 것이 차이점이라 할 것이다. 2차례의 당항포해전을 통해 이순신의 해전술 발휘에의 전형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이순신은 준비단계에서 적정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치밀한 사전 조치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공격 단계에서는 적 대장선에 대한 선제 기습공격을 하는 등 적 상황에 맞춰서 적절한 해전술을 구사하였다. 그러나 조선 수군의 작전구사에는 한계도 있었다. 이순신은 적을 완벽하게 제압하기 위해서는 수륙합공이 절실하다는 점을 항상 강조했지만, 육군의 능력 부족 때문에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당시 전투 양상이었음을 2차례의 당항포해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순신은 사안에 따라 자신의 지휘권을 위임하기도 했다. 또한 당시 수군의 전투 편제는 육전에 사용하던 병법을 수군에서 창의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2차례의 당항포해전은 해전사적으로도 의미를 가진다. 제1차 당항포 해전의 경우 해전 승리를 통해 임진왜란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제2차 당항포해전은 임진왜란 강화기 일본군의 만행을 종식시키고 서진의지를 약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해전이었다.

      • KCI등재후보

        임진왜란 시기 수군 깃발의 형태와 용도

        제장명(Je Jang-m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장서각 Vol.0 No.25

        임진왜란 시기 조선 수군의 활동을 현대적으로 밝히는 일들 중의 하나로 조선 수군이 사용했던 깃발을 고증하는 것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늘날 임진왜란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는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깃발을 제작해서 활용하면서도 깃발의 정확한 형태나 용도에 대해 알지 못한 채 무의미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관련 축제나 프로그램들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면이 강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글은 임진왜란 시기 조선 수군이 사용한 깃발들을 역사적으로 고증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나아가 고증된 깃발 표본을 가지고 향후 깃발을 복원하는 데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 현황과 조선시대 병법서와 관련 기록들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조선시대 기록들은 먼저 조선 전기의 병법서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당대의 편제와 깃발들에 대한 자료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임진왜란 시기의 편제와 깃발 관련 기록들을 살펴본 후 깃발 명칭 확인과 함께 조선 전기 편제와의 일치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런 후 조선 후기의 각종 병서들을 살펴보고 깃발 종류들을 망라하여 검토하였다. 아울러 조선 후기에 사용된 깃발들이 임진왜란 시기 깃발들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시기 수군 깃발은 『五衛陣法』과 당대 병서에 수록된 깃발로 단정할 수 있다. 여기에다 일부 그림에 나오는 깃발을 보완하여 임진왜란 시기 조선 수군의 깃발을 구성하면서 채색을 하였다. 다시 말해 『오위진법』에 나타난 招搖旗를 비롯한 19가지의 깃발과 당대 기타 자료에 보이는 督戰旗 등 5가지 깃발이 임진왜란 때 조선 수군이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한계점으로는 임진왜란 시기 『오위진법』에 나오는 깃발 외에 사용된 깃발들에 대해 완벽하게 고증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의 관련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라 연구 성과도 소략한 면이 있으므로 정확한 판단을 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 A modern perspective of the works of Joseon navals with naval flags during the Imjin War would be an essential. In other words, there have been many tries on the Imjin War into modern ways by using naval flags for events, however, the flags are being used without what the usage are each. Due to the wrong information of the flags, many events and programs the Imjin war related are often out of the significance. I myself would like to give a historical research that the naval flags used during the Imjin War. By making the historical research, I would like my paper be a fundamental resource for restoration of the Joseon’s naval flags. I looked up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tactics of Joseon on this. Most notably, by making a clear point of the early Joseon’s tactics, I got the sources on contemporary formations and flags of Joseon navay. Second, there needed to be pointed 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s accordance of formations along the names. And then, I had my study all kinds of flags and tactics used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be clear. I as well made the relations between during the Imjin War and the post Imjin War. According to my research, Joseon naval’s flags during the Imjin War surely be said that they were identified on 5 guiding battle formations(5-wee jinbup) complementing some flags to Joseon naval’s flags with the colors during the Imjin War. Namely, it is said to be that 19 kinds of flags and choyogee(招搖旗) which appears on 5wee battle formation(5-wee jinbup), dokjungee(督戰旗) at that period, and 5 etc. flags are used during the Imjin War by Joseon navay. It is regretful that I could not be perfectly required further on flags besides for 5 guiding battle formations(5-wee jinbup: 五衛陣法). Very much simple previous studies due to the insufficiency of historical materials, it was hard to conclude.

      • 노량해전의 역사적 의미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7

        Sea battle at Noryang, which was the last naval battle of Imjin-Waeran, had achieved the most brilliant war results over 100 of naval battles for 7 years. This sea battle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battles because of many reasons. For example, It was the only battle that Ming navy played the active part in the battle, and it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joint operation between Joseon and Ming, And Yi sun-sin, who was the most great admiral of world history, died a glorious death in a battlefield. And this sea battle is also important because the other countries made much of Joseon s navy due to the victory of this battle. As a result, Japan could not try to invade the south sea of Joseon for about 280 years. As we can see above, sea battle at Noryang should be considered to one of the most great battle in history of naval warfare. Although it is premodern sea battle, 400 years ago, it is worth of notice. and we need to learn a lesson from this sea battle, with mourning for the dead who died in this battle.

      • 이순신 정론Ⅰ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7

        Establishing broadly accurate thesis on Admiral, Yi Sun Sin, there should come to study the previous theories. Which I examined again is 3 themes; The numbers of naval battles in the Imjin war, Death excemption card[免死帖], and Serving with no rank in the army[白衣從軍]. First, I could emphasis on The numbers of naval battles in the Imjin war is there had not been correct definitions on each naval battle which the most previous studies. Yi’s 23victory battles of none to be defeated is know to most Korean population by the TV drama, ‘Immortal Admiral, Yi’, however, there is hard to agree on his 23 victories. Still it is hard to define even the sum of naval battles Yi faced. Furthermore, there still do not have extent of each naval battle. Thereupon, I would like to classify the naval battles macroscopically and microscopically. I hypothesized the microscopic battles to Yi faced. With this hypothesis, I would conclude that Yi took in 45 times microscopic battles and he had never defeated after all. My second point is again from some TV works have made stories about Death exemption card[免死帖] system. Death excemption card[免死帖] is not the system originated in Joseon but the system is brought from Ming, China assisting the Imjin War. The only one reason how Yi got the document is the document is not directed Yi himself, but the Ming, China general Yang Ho sent the document to Yi to save the citizens pro-enemied. Thus, we could fully clear the incorrect sources of materials released about Yi connected on getting the Death exemption card[免死帖]. Finally, serving with no rank in army[白衣從軍] system is a punishment applied during the early Joseon era. This punishment is firstly conducted the bastinado and send back him to camps with no official position. At least, this punishment is applied to one who had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s. However, it is known that this demotion system is targeted mostly to the bureaucrats who ran away while not defending the enemy. Yi’s first serving with no rank in army[白衣從軍], he distinguished on a such small village battles taking a part in a low graded solider. On his second serving small with no rank in the army[白衣從軍] case he also did some work distinguished in battles that he was on advisory on battles, cultivated the garrison farms, and practised the naval troop’s works. It can easily tell the works had been done during the serving with no rank in the army [白衣從軍], period was a low class bureaucrat was hard to cough. 이순신 정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다양한 주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필자가 검토한 주제는 3가지로, 해전횟수, 면사첩, 백의종군에 관해서이다. 먼저 해전횟수에 대해 검토한 결과 기존의 주장들은 해전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자의적으로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된 ‘23전 23승’이라는 일반적 주장은 더욱더 그 근거가 맞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전횟수는 아직 완벽하게 정리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없다. 임진왜란 전체 해전에 대해 완벽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진행형이라고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해전의 범위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기도 하다. 따라서 필자는 기존에 밝혀진 해전에 한해 대표해전과 세부해전으로 구분하였고, 세부해전의 횟수를 이순신 참가해전으로 간주하였다. 그럴 경우 45회의 세부해전에 이순신이 참가했고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고 잠정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두 번째로 최근 이순신 관련 드라마나 저작물들에서 발견되는 조선시대 면사첩제도에 관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면사첩 관련 사료들을 검토하여 소개하는 장을 마련하였다. 면사첩은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 시행한 제도가 아니라 임진왜란 중 명나라로부터 도입된 제도이다. 아울러 소설과 드라마를 통해 잘못 알려진 이순신이 면사첩을 받은 이유에 대해서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순신이 면사첩을 받은 것은 이순신 본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적에게 어쩔 수 없이 협조한 사실이 있는 사람들을 이순신더러 구제하라고 명의 경리 양호가 보낸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살펴본 백의종군은 조선시대 초기에 이미 적용했던 형벌의 일종으로서 장형(杖刑)을 집행한 다음 ‘관작(官爵)과 보직 없이 충군(充軍)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 형벌은 적어도 과거에 급제한 인물들 이상에게만 적용되던 것이었다. 한편으로 조선시대 백의종군 사례들을 살펴보면 주로 전쟁이 일어났을 때 적을 막지 않고 도주하거나 패한 경우 적용한 사례가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다. 평소에는 중형을 집행해야 하지만 임진왜란 시기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적을 맞아 싸울 장수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하여 전공을 세워 죄를 갚으라는 의미로 부과된 비교적 가벼운 형벌로 볼 수 있다. 이순신의 경우 첫 번째 백의종군 중일 때는 시전부락 전투에 우화열장이란 전투 편제로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두 번째 백의종군 중일 때도 이순신은 백의종군 여정에서 전관예우를 톡톡히 받았다. 아울러 백의종군 중일 때 이순신의 역할은 전쟁지휘부의 군사자문 역할과 둔전 경영, 그리고 수군상황 파악이었다. 이것은 결코 낮은 신분으로서는 행할 수 없는 일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