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과 만성 합병증과의 관계

        정혜수 ( Hye Soo Chung ),서지아 ( Ji A Seo ),김신곤 ( Sin Gon Kim ),김난희 ( Nan Hee Kim ),김두만 ( Doo Man Kim ),정춘희 ( Choon Hee Chung ),최동섭 ( Dong Seop Choi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5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만성 합병증의 유병률은 종족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른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보고는 적은 실정이어서,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인자에 따른 대혈관 및 미세혈관합병증의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10개의 종합병원에서 새로이 당뇨병을 진단받고 5년 이상 추적관리를 받은 환자(진단 당시 연령 만 30세 이상, 75세 미만)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603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대사증후군 진단은 NCEP-ATP III의 진단 기준은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증례기록서 작성 지침을 기준으로 의무기록과 가능한 경우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결과: 당뇨병 진단 당시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른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의 발생률에 대하여 분석하였을 때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가되는 결과를 얻어서 한국인에서의 대사증후군이 당뇨병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인종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당뇨병환자가 대사증후군의 구성인자를 많이 가질수록 관상동맥질환과 당뇨병성 신증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론: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이 동반되었을 때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이 증가하였다. 이는 당뇨병환자에 있어서 엄격한 혈당조절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의 구성인자 개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Background: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t the time of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and the development of chronic complications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had undergone treatment for at least five years prior were collected from 10 general hospitals in Korea. Among a total of 1,418 patients reviewed for possible inclusion in this study, 603 patients were selected, and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mong these patients was evaluated. Results: Among the 603 patients (male, 253; female, 350), 154 males (60.8%) and 266 females (76.0%) were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The incidence of chronic complications (average follow-up 15.2±4.9 years) included 60 cases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57 case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CVA), 268 cases of diabetic retinopathy (DR), 254 cases of diabetic nephropathy (DN), and 238 cases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PN). As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the adjusted relative risks (95% CI) of incidental diabet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ere 3.28 (1.40~7.71) for CAD, 2.04 (0.86~4.82) for CVA, 1.53 (1.10~2.14) for DR, 1.90 (1.29~2.80) for DN, and 1.51, (1.06~2.14) for DPN. With the addition of just one constituent of metabolic syndrome, the relative risk of developing CAD, CVD, DR, DN, and DPN increased by 2.08 (95% CI, 1.27~3.40), 1.16 (0.80~1.66), 1.09 (0.93~1.26), 1.29 (1.06~1.57) and 1.06 (0.87~1.26), respectively. Conclusi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bo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Korean Diabetes J 33:392-400, 2009)

      • KCI등재후보

        한국인 말단 비대증에서 Long acting Lanreotide의 치료

        양세정 ( Sae Jung Yang ),서영진 ( Young Jin Seo ),은채령 ( Chai Ryoung Eun ),정혜수 ( Hye Soo Chung ),최혜정 ( Hye Jung Choi ),김남훈 ( Nam Hoon Kim ),김혜숙 ( Hye Sook Kim ),박주리 ( Ju Ri Park ),김동진 ( Dong Jin Kim ),류혜진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말단 비대증 환자에서 수술 후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을 사용하였을 때의 치료 효과와 내당능 장애 및 부작용에 관하여 살펴 보고자 함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말단 비대증으로 진단받고 수술한 이후 고대 구로병원에서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을 사용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BMI) 및 serum IGF-1, 75 gm OGTT 후 GH level, HbA1c 및 원발 종양의 크기를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사용 전과 후 6개월, 12개월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11명의 환자 중 10명에서 투약 전후 성장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였는데, 3예에서는 목표치인 1 ng/mL에 가까운 정도로 감소하였고, 그 외의 환자들도 기저치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GF-1은 투약 전 862±314.06 ng/mL이었으나 6개월째에는 549±371.62 ng/mL (p=0.003, vs baseline, n=11), 12개월째에는 439±342.53 ng/mL (p=0.005, vs baseline, n=1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표 3). 투약에 따른 부작용으로 우려되었던 내당능 장애 혹은 당뇨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투약을 시작할 때 위험군으로 사료되었던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당화 혈색소 값을 측정하였으며, 5.8±0.5%에서 5.9±0.3%으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 환자들 중 당뇨가 있던 3명의 환자들 역시 기저치의 당화 혈색소와 큰 차이는 없었다. 연구 기간 동안 환자들에게 특별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국내의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의 치료효과는 외국에서 시행되었던 연구와 유사하게 기존 약제에 비하여 특별한 부작용 없이 사용방법의 간편화 및 순응도의 개선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약제의 장기적인 치료 효과 및 부작용, 치료 반응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Somatulin-Autogel(R)) in Korean acromegalic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Method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11 acromegalic patients (5 men and 6 women) who had undergone transsphenoidal tumor resection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The anthropometric parameters,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FBG), IGF-1, HbA1C, mass size and GH level following a 75 g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ere measured in each subject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a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ubjects was 41 yrs (range: 28-52 yrs) (Table 1). The mean pre-operative levels of serum IGF-1 in the 11 patients was 1185±323.58 ng/mL, and post-operatively it was 862±314.06 ng/mL. The mean serum IGF-1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862±314.06 ng/mL to 549±371.62 ng/mL after 6 months treatment with the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p=0.003, vs baseline, n=11), and it decreased further to 439±342.53 ng/mL after 12 months treatment (p=0.005 vs baseline, n=10) (Table 3). Two patients achieved the target level of IGF-1. The HbA1C measured before and after lanreotide treatment was 5.8±0.5% and 5.9±0.3%,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a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decreased the IGF-1 and GH levels without significant side effects. In spite of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formulation of lanreotide is effective for the post-operative management of acromegaly.(Korean J Med 73:50-57, 2007)

      • KCI등재후보

        새로 진단받은 제2형 당뇨병에서 미세알부민뇨와 관련 인자

        김동진 ( Dong Jin Kim ),유성진 ( Seong Jin Ryu ),서영진 ( Young Jin Seo ),김남훈 ( Nam Hoon Kim ),정혜수 ( Hye Soo Chung ),은채령 ( Chai Ryoung Eun ),최혜정 ( Hye Jung Choi ),김혜숙 ( Hye sook Kim ),양세정 ( Sae Jeong Yang ),박주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5

        Backgroun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the associated factors of microalbuminuria in Korean subjec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Methods: A total of 304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that visited Anam Hospital,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studied cross-sectionally for the presence of microalbuminuria and other micro-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Microalbuminuria was calculated by the amount of albumin excretion in the urine for 24 hrs (30-299 mg/24hr) or by the albumin creatinine ratio in a spot urine sample (30-299 mg/g creatinin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normoalbuminuria group and the microalbuminuria group. Results: The prevalence of microalbuminuria, normoalbuminuria and overt proteinuria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17.1%, 80.3% and 2.6%. respectively. Microalbuminuri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body mass index (BMI), fasting insulin level, fasting C-peptide level and triglyceride level.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microalbuminuria. In patients with microalbuminuria and without retinopathy, the correlation of microalbuminuria and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microalbuminuria in 304 Korea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17.1%, and microalbuminuria had a correlation with the BMI, fasting insulin level, fasting C-peptide level, HOMA level, triglyceride level and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Korean J Med 73:503-511,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