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원 지역 미발굴 작가 한백곤 연구

        정진헌(Jeong, Jin-heo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본고는 중원문화 연구의 일안으로 1930년대 소년문예사로 활동했던 충주 출신 한백곤(韓百坤)의 문학적 궤적을 추적하고자 시작 되었다. 본 논의를 위해 실증적인 자료가 요구되는바 필자는 당시 발간된 아동잡지 및 신문 등을 면밀히 살폈다. 한백곤은 충주시 가금면 창동 무산계급 출신으로 1920년대 말부터 야학당내 ‘새일꾼회’를 조직해 소년운동 및 문예활동을 전개한다. 그리고 『신소년』,『별나라』,『어린이』,『소년세계』의 ‘독자담화실’을 통해 편집진과 잡지 애독자들과의 소통 및 공론의 장을 형성해 가며 아동문단에 발을 들여 놓았다. 해방 이후 소년운동 및 아동예술 관계자들과 “조선소년운동중앙협의회”를 결성한 후 어린이날 행사준비 및 잡지『少年運動』을 발행하며 1950년 전쟁 전까지 소년운동 및 창작을 지속해 나아갔다. 또한 그는 소년문예사에서 기성작가로 발돋움하는 과정에서 야학폐지, 잡지폐간과 같은 아픔을 겪지만 비교육 제도권에서 시대의 아픔을 살아가는 농촌 소년들의 삶을 동요(시), 아동극, 수필, 동화, 소설 등 다양한 장르로 생경하게 그려냈다. 주된 내용을 보면 농촌의 가난한 현실 문제, 야학을 다니며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농촌 소년들, 유산계층에 대한 풍자와 조소, 타향살이를 하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까지 다양하다. 또한 1938년 이후 ≪동아일보≫에 생활 속의 이야기를 주제로 유년이야기와 동화, 소설 등을 창작하며 아동문학 작가로서의 길을 걸어갔다. 아쉽게도 작가가 작품을 발표하던 잡지가 1935년을 전후해 폐간된 이후 작품 활동이 뜸하지만 이후 간헐적이나마 작품 활동과 소년운동단체 활동을 통해 나름 시대의 아픔과 혼돈 속에서 살아간 아동들의 계몽 운동에 일익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s a part of Jungwon culture studie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ltural track of Han Baek-gon who was from Chungju and worked as a juvenile literary writer during the 1930s. Since this study required empirical data, I thoroughly examined the juvenile magazines and newspapers published at that time. As a proletarian from Chang-dong, Gageum-myeon, Chungju-si, Han Baek-gon organized ‘Saeil Club’ in the night school academy and promoted juvenile movements and literary activities since the last 1920s. He entered the juvenile literary circles after making room for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with the editorial staff and readers through the readers’ column titled ‘Dokjadamhwasil’ in the magazines, ‘Sinsonyeon,’ ‘Byeolnara,’ ‘Eorini’ and ‘Sonyeon Segye.’ Since the national independence, Han organized ‘Central Council for the Juvenile Movement in Joseon’ with the parties that concerned with juvenile movement and children’s art and prepared events for Children’s Day and published the magazine titled ‘Sonyeon Undong(The Juvenile Movement).’ He continued the juvenile movement and creative activities until the breakout of the Korean War. In a transition from a juvenile writer to adult writer, he underwent adversities such as the abolition of the night school and ceasing of the magazine that he contributed. However, he vividly described the unfortunate lives of poor boys in rural villages in different children’s literature genres such as song(verse), play, prose and fiction. The topics he chose include the poverty of rural village, boys from rural communities who had lived healthy lives by attending night school, satire and sarcasm against the bourgeoisie and longing for the family living away from home. Since 1938, he contributed juvenile stories, children’s tales and novels under the theme of ‘daily live stories’ to the Dong-A Ilbo and continued his career as a juvenile literary writer. Unfortunately, the magazine to which Han started to write his works was discontinued issuing around 1935. Since then, he occasionally released his works and contributed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for children who had to experience the era of agony and chaos by writing stories and engaging in juvenile movement activities.

      • KCI등재

        화가 임홍은 그림책의 이미지텔링과 활동 양상 연구

        정진헌(Jeong, Jin-heo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6 No.-

        본 연구는 1930년대 중ㆍ후반을 전후해 그림책 작가로 활발하게 활동했던 임홍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1930년대 초 전봉제가 시도한 그림동요를 더욱 발전시켰으며, 그림동화, 만화 등 어린이들을 위한 창작물들을 만들기 위해 헌신했다. 임홍은이 아동문학가로 활동한 시기는 1933년부터 1937년까지이다. 그의 주 활동 무대는 아이생활사에서 발간한 어린이 기독교 잡지 『아이생활』이었다. 그밖에 신문을 통해 동요나 동화를 발표하기도 하지만, 그의 문학적 성과는 단연 『아이생활』에 있다. 그가 잡지에 게재한 그림동요는 50여 편이 넘으며, 단조로운 이야기에 얹은 그림 및 삽화 또한 부지기수다. 한편, 5년간 그의 노고가 집약된 것이 1938년에 출간된 그림책 『아기네 동산』이다. 이 책에는 그동안 『아이생활』 잡지에 실었던 작품들을 모아 놓았다. 목차는 4계절별로 나누어 편집을 했고, 작품은 그림, 곡보(曲譜), 노래(동요), 이야기(동화) 순으로 실었다. 이 책은 그림책의 다양한 종류를 모아놓은 엔솔로지 형태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어린 유아들을 고려한 ‘글 없는 그림’들이다. ‘애기그림책’이라는 제목으로 14점의 그림을 싣고 있는데, 글을 모르는 유아들에게 사실적으로 그린 생활소재의 그림을 보여줌으로써 그들이 사물을 인지하고, 상상력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림동화도 이미지 및 인물묘사의 정교화를 통해 서사의 내용을 충분히 보여주며, 어린이들이 문학적 감수성 및 상상력을 키워가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처럼 임홍은은 당시 일본 그림책들이 활개를 치던 상황 속에서, 조선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 발간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그 방안으로 그림책 발간에 심혈을 기울인 작가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ivities of Lim Hong-eun, a picture book writer during the mid and late 1930s. He developed children’s songs through pictures, a technique first introduced by Jeon Bong-je in the early 1930s, and devoted all his energy to the creation of children’s books such as fairytale picture books and comics. Iim worked as a writer of children’s literature for the children’s Christian magazine ‘Children’s Life’ from 1933 to 1937. Even though some of his pictured children’s songs and children’s stories were released through newspapers, most of his literary achievements were accomplished through ‘Children’s Life.’ More than 50 picture songs were published in the magazine, and most of them had a simple story with illustration. His five-year-long efforts were displayed through the picture book ‘Kids’ Hill’, published in 1938. This book contains his works published in ‘Children’s Life.’ The table of contents is divided into four seasons and compiled in the order of pictures, musical notes, children’s songs, and children’s stories. This book series offers various types of picture books. In particular, it is the ‘wordless pictures’ that have drawn great attention. Under the title of ‘a picture book for babies,’ the book includes 14 pictures. It shows pictures of daily life to young children and helps them perceive objects and develop their imagination. His picture books also adequately show a narrative and include detailed descriptions of characters and situations, helping children build literary imagination. As stated above, Iim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icture books for Korean children during an era when Japanese picture books were being published in high numbers, and sought a solution by making effort to publish his picture books.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창작동요와 전래동요의 영향관계 연구

        정진헌(Jeong, Jin-Heon),박혜숙(Park, Hye-So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9

        본고는 근ㆍ현대 아동문학사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창작동요와 전래동요의 영향관계를 밝혀 1920년대 창작동요에 나타난 전통 수용 양상을 밝히는 데 그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시작하였다. 성인문단에서 민요의 영향을 받아 민요시 부흥운동이 일어났던 것처럼 창작동요 또한 1920년대 초 발생 당시 전래동요의 형식 및 내용을 적극 수용한다. 전래동요가 갖고 있는 집단성과 구전성에서 창작동요는 개인의 서정을 노래하며 본격적인 기록문학으로 성장하게 된다. 당시 신문이나 잡지에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민요 및 전래동요를 모집한다. 특히나 《동아일보》의 경우 1923년 8월부터 당해 12월까지 ‘지방동요란’과 ‘소년소녀란’을 통해 전래동요를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1923년에 창간한 《어린이》와 《신소년》 또한 초창기 문학적 기반이 취약했던 상황 속에서 전래동요를 통해 동요에 대한 정의 및 기법 등을 소개하며 소년문예사들로 하여금 잡지의 참여 주체로 부상시킨다. 그리고 잡지별 차이는 보이지만, 가령 7ㆍ5조가 주가 되었던 《어린이》와 전통 가락인 4ㆍ4조의 리듬을 중시했던 《신소년》은 나름 전래동요의 양식을 수용한다. 1925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전래동요와 창작동요가 형식이나 내용상 혼란을 보이지만 이후 다양한 동요 작법 소개와 기성문단 및 소년문예사들의 참여로 본격적인 아동의 예술성을 노래하는 창작동요로서 자리를 잡아간다. 한편 창작동요는 전래동요의 형식, 수사, 내용 등 다양한 양식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데, 먼저 형식상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은 “순아순아 가막순아”처럼 4ㆍ4조의 음수율과 2음보의 형태이다. 그리고 전래동요의 반복과 병렬구조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 중 “바람바람 겨울바람”처럼 ‘AAXA’ 형태를 가장 많이 취하고 있다. 내용 면에서는 술래잡기, 달맞이, 별따기, 그네타기 등 놀이요가 많았다. 그리고 주술동요와 자장요도 있었다. 기타 새쫓기요, 수요數謠, 감상요感傷謠 등 전래동요에서 볼 수 있었던 다양한 내용들이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1920년대 창작동요는 우리의 전통의식을 바탕으로 탄생했으며, 이는 당시 나라 잃은 시기 글쓰기 주체로 부상하여 살아가던 아동들에게 시대의 아픔을 끌어안는 문학으로서의 기능 외 민족의식을 자각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veil tradition acceptance patterns in creative children’s songs during the 1920s by unveiling the influence of creative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hich haven’t been able to draw much attention in studies on modern contemporary and modern children’s literature. As the Renaissance of ballad poems occurred due to the influence of folk songs in adult literary world, creative children’s songs also aggressively adopted the form and content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early 1920s. In terms of the collectivism and oral trad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reative children’s songs sang personal emotions and grew into documentary literature. At that time, newspaper and magazine publishers collected folk songs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cattered across the nation in order to inherit traditional culture. In particular, 《DongaIlbo》 intensively covere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rough ‘Local Children’s Song’ and ‘Boys & Girls’ columns from August to December, 1923. In addition, 《Eorini》 and 《Sinsonyeon》 which were first published in 1923 introduced the definition and techniques of children’s song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despite poor literary infrastructure and made juvenile writers play a leading role in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magazine, 《Eorini》 with 7ㆍ5 rhyme and 《Sinsonyeon》 with traditional 4ㆍ4 rhyme accepted the pattern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re was some confusion in the form or contents in both creative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until the mid 1925. With the introduction of diverse children’s song composition methods and participation of existing literary circles and juvenile writers, however, it evolved into creative children’s songs which sing children’s artistic values. Creative children’s songs actively accepted the diverse pattern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uch as form, figure of speech and contents. In particular, they revealed a 4ㆍ4 syllabic meter and 2 feet just like ‘Suna-Suna, Gamak-Suna.’ Among the diverse patterns which are found in the repetition and parallel structure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 ‘AAXA’ form just like ‘Baram-Baram, Gyeoul-Baram’ was most common. In terms of contents, there were many play songs such as Sullaejapgi (hide-and-seek), Dalmaji (greeting the moon), Byeolttagi and Geunetagi (swing riding). In addition, ritual children’s songs and nursery songs were found. Furthermore, many other contents from traditional children’s songs (ex : Scarecrow Song, Numeral Song, Sentimental Song, etc.) were accepted. As described above, creative children’s songs in the 1920s were born based on traditional consciousness. They functioned as literature which eased the sorrow and pain of the time for children who emerged as leading writers during the tragic period and were used as a tool to recognize national consciousness.

      • KCI등재

        한국의 그림책 인식과 형성과정

        정진헌 ( Jin Heon Jeong ),박혜숙 ( Hye Sook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6 No.-

        본 논문은 개화기 이후부터 해방 이전까지 그림책에 대한 연구가 부재함을 인식하고, 당시 발간된 잡지나 신문 등을 토대로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발달 과정을 논의했다. 그리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오늘날 그림책과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다. 개화기 이후 구활자본 출판물을 매개로한 인쇄술의 발달은 어린이 독자층을 형성 했을 뿐만 아니라 아동문예물에 다양한 시각적 요소가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동을 위한 그림책이 탄생하는 데에 공헌을 한 이가 최남선이다. 최남선이 1913년에 발간한 붉은져고리와 아이들보이에는 서사적 이야기를 보완하는 그림(삽화)들이 자주 활용되었고, 시간적 순차에 따라 진행되는 서사를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발간의 원동력을 활판인쇄의 유입으로 인한 출판의 활성화, 어린이 운동 등의 영향으로 인한 아동출판물의 폭발적 증가, 그림책 발간에 대한 각계의 염원 등으로 보았다. 1920년대 들어서면서 신문이나 잡지에 삽화들이 편집상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리게 된다. 이 중 오늘날 그림책과 유사한 작품이 있는데, 1927년 5월8일부터 20일까지 연재된 이복형제 이다. 이 그림동화는 13회에 걸쳐 세 칸은 글과 그림 맨 위와 맨 아래는 글만 갖고 내용 보충하는 대위적(counterpointing) 그림책이다. 1930년대에는 조선에 어린이들을 위한 그림책이 부재함을 한탄하는 목소리가 문단 내뿐만 아니라 학부모들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와중에 조선의 어린이들을 위해 그림책 창작을 시도한 이가 전봉제와 임홍은이다. 둘은 조선미술전람회 출신으로 오늘날 운문그림책으로 볼 수 있는 그림동요를 집중적으로 창작했다. 전봉제와 임홍은은 그들이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했던 작품들을 모아 각각 단행본인 그림동요집(1931)과 아기네 동산(1938)을 발간한다. 특히나 그들의 작품은 단순한 삽화가 아닌 글에 정교한 그림을 그림으로써 그림책의 역사를 새롭게 쓰는 계기가 되었다. 임홍은의 아기네 동산 마지막에 실린 그림동화 꽃동리 는 글을 14편의 그림과 함께 배치하여 각 글과 그림에 번호를 붙여놓았다. 이런 그림책은 오늘날의 그림책 이론으로 말한다면 상보성(complementary)의 그림책에 해당할 것이다. 이처럼 한국 근대 그림책은 신문관에서 발행한 아동물부터 신문, 잡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그림들이 글과 함께 유기적인 서사를 만들어내며 창작 되었다. 전문 화가들의 참여는 그림책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림책이 하나의 아동문학 장르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동기가 되었다. This study discusses people`s perceptions of picture book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analysis of newspapers and periodicals such as magazines at that time based on understanding the lack of research done on picture book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to today`s picture books.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hrough old-print publications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formed a community of children readers and brought a turning point to introduce diverse visual elements to children`s litera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was Choi Nam-seon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birth of picture books for children. He often used pictures (illustrations) to complement narrative stories in children`s magazines titled ‘Red Jeogori’ and ‘Children & Boy.’ He illustrated the development of a story using pictures. In terms of the driving force for the publication of picture books,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motion of publication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ypography, dramatic increase in publications for children and wishes for the publication of picture books from all fields. Entering the 1920s, illustrations started to be us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to enhance visual effects. Among them, ‘Half Brothers,’ published from May 8 to 20, 1927 is very similar to today`s picture books. It is a counterpointing picture book which narrates a story with writing and pictures in three pages and writing only at both the top and the bottom for 13 publications in total. In the 1930s, there were many voices lamenting the absence of picture books for children in Joseon from parents to literary circles. In these situations, it was Jeon Bong-je and Im Hong-eun who attempted to make picture books for Korean children. Both participated in Joseon Art Exhibition and focused on picture books for children, which were similar in verse to today`s children`s picture books. The two writers collected their publications in newspapers and magazine and published ‘Collection of Picture Books for Children (1931)’ and ‘Baby`s Hill (1938).’ In particular, they added sophisticated paintings, not just simple illustrations, to picture books. In the picture book ‘Kkotdongni’ added at the end of ‘Baby`s Hill (written by Im Hong-eun),’ writings were compiled with 14 paintings, and both writings and paintings were numbered. This kind of picture book can be equivalent to a complementary picture book from today`s perspective. As stated above, Korea`s modern picture books created a variety of narratives from children`s picture books to newspapers and magazines with a mixture of pictures and words. Professional painters` participation was a turning point to enhance the artistic value of picture books and help them settle as children`s literature genre.

      • KCI등재후보

        일제 강점기 한국 그림동요 연구

        정진헌(Jeong, Jin He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5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연구에 한정 되었던 그림책의 역사를 새롭게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혼종 텍스트인 그림동요는 그림과 글이 함께 조화를 이룬 것으로 아동문학가와 화가가 협력하여 만든 기획물이다. 이는 당시 작가와 화가의 인적 네트워크가 문단 내에 형성되었기에 가능했다. 1920년대 아동문예물에 실린 삽화가 ‘문주화종(文主畵從)’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면, 1930년대는 글과 삽화가 주종의 관계가 아닌 대등한 관계로 상호보완성을 띄게 된다. 특히 그림동요는 림책의 하위 장르인 운문그림책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데, 작가의 참여와 장르 명기 그리고 저서물의 출간 등을 이유로 들 수 있다. 일제 강점기 그림동요의 개척자는 전봉제이다. 서양화를 전공한 전봉제는 1931년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전부터 《동아일보》에 25편의 그림동요를 연재한다. 게다가 1931년 후반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어린이』에 그림동요 8편을 발표하기도 한다. 그림동요는 동요 한편에 그림 한 점이 한 프레임 안에 실려있다. 그림은 글 전체의 내용을 담아야 하기 때문에 삽화에 비해 정교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실험 장르의 시도는 1930년대 당시 한국 그림책이 전무했던 시대, 어린이들에게 그림책의 전사 역할을 충분히 했으리라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of picture books. To date, studies of picture books have focused mostly on the period since the 1980s. Children’s songs with pictur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intained harmony between pictures and stories. They were specially developed by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nd painters. At that time, writers and painters were well connected with each other through a good network. The illustrations in children’s books during the 1920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munjuhwajong, which literally means ‘story first, then picture.’ Entering the 1930s, however, the hierarchical story-picture relationship was transformed into an equal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particular, children’s songs with pictures were recognized as children’s picture books in verse under the category of picture books because of author participation, specification of genre and publication. Jeon Bong-je opened a new genre for children’s song-based picture book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joring in western painting, his children’s songs with pictures (25 songs in total) were published in the Donga Daily News before being exhibited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in 1931. In late 1931, his children’s songs with pictures (8 songs in total) were published in CHILDREN. The category of Children’s songs with pictures is typified by one picture per a single children’s song in the same frame. The picture should describe the entire story, making it more precise than an illustration. It appears that an attempt in this kind of experimental genre brought a new hope to children during the 1930s, when picture books were not available in Korea for children.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신소년≫ 소년시少年詩 연구

        정진헌(Jeong, Jin-heon),김승덕(Kim, Seung-de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8

        본고는 한국 아동문학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소년시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1920년대 소년시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실증적인 자료 분석이 요구되는 바, 당시 발간된 ≪신소년≫을 중심으로 한 아동잡지와 신문, 그리고 각종 인쇄 매체에 실린 소년 담론 및 소년 문예 운동과 관련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20년부터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소년 운동은 소년 문예 운동으로 이어져 소년들을 문학의 장으로 호출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 이후 학교 교육에 편입한 소년들은 청년과 유년 사이의 근대적 소년이라는 지위와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소년들은 각 지역에서 문예 단체를 조직해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하며, 잡지나 신문에 작품을 투고하게 된다. 소년시는 1920년대 중반부터 각 지방의 소년문예사들에 의해 자유시라는 명칭으로 창작되고 있었다. 이후 1926년 6월 ≪신소년≫에 본격적으로 게재되면서 소년시가 탄생하게 되었다. 소년문예사들은 ≪신소년≫ 독자 투고란에 동요와 소년시 두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을 투고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작가로서의 꿈을 키워갔다. 소년시 창작 초기, 일부 작품에서 동요처럼 7ㆍ5조나 4ㆍ4조의 정형률 형태를 보이기도 했지만, 대부분이 자유율 형태의 형식적 특징을 고수한다. 소년시의 주제는 자연에 대한 감흥 및 묘사, 계절에 따라 느끼는 애수, 가족과 친구에 대한 그리움, 대상에 대한 연민, 근면한 삶과 면학, 소년들의 진취적 기상 등 다양하다. 비록 정제되지 않은 표현과 평범한 수사 그리고 직설적인 토로가 한계로 지적될 수 있지만, 소년 문예 운동을 통해 문학의 장에 편입한 그들이 문학 시장의 생산과 유통을 활성화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것을 우리는 결코 부인할 수 없다. 소년시의 등장은 동요가 가지고 있는 형식적 한계를 뛰어넘어 소년들의 사상과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기제가 되었다.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이무영 아동문학 연구

        정진헌(Jeong, Jin-heon),김승덕(Kim, Seung-de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1

        이무영은 한국 근ㆍ현대문학사에서 농민소설가와 희곡작가로 알려진 인물이다. 본고는 이무영 작품 세계의 외연을 넓히고자 그동안 한국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1930년대 아동문학작품 활동에 주목했다. 이무영은 1929년 『조선일보』에 동화 「엿장사이야기」를 시작으로, 이듬해인 1930년부터 아동잡지 『별나라』에 아동소설 「어린영웅」과 수필 「오남매」를 발표한다. 그리고 1933년부터『어린이』에 아동소설 「장미꽃과 꾀꼴새」와 동극 「가난뱅이왕자」를 발표하며 아동문단에 참여를 보인다. 또한 1934년 『동아일보』 입사 후 애기네소설(유년소설) 19편과, 소년장편소설 「똘똘이」(총 72회), 유년동화 「복숭아」 등을 발표하며 1937년까지 아동문학작가로서의 길을 걸었다. 또한 1930년대 초 라디오 동화구연 프로그램에 참여해 동화를 낭송하며 아동문학의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이무영이 창작한 작품 내용을 보면 어린 주인공들의 모험담과 선행, 욕심에 대한 경계, 가난에 대한 연민의 정, 유년 시절 생활에 대한 단상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그가 『동아일보』 입사 이후 1935년에 연재한 애기네소설 ‘경재’ 시리즈는 유년들의 삶의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또한 1936년 2월 9일부터 5월 20일까지 총 72회에 걸쳐 연재한 장편소년소설 「똘똘이」는 청인(중국)에게 납치된 동생 복순이를 찾아 서울로 간 똘똘이와 그의 친구 수동이의 험난한 여정을 그리고 있는데, 이 작품은 14개의 에피소드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의 서사를 이끌어 가고 있어 아동문학의 대중성에 기여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1930년대 이무영은 성인문단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아동문단에 참여해 신문 및 아동잡지에 동화, 아동소설, 동극, 애기네소설, 장편소년소설 등을 발표하며 아동문학의 발전에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Lee, Mu-young is known as a peasant novelist and dramatist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This paper is focused o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30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order to broaden the scope of the world of Lee, Mu-young’s works. Starting with a fairy tale, Yutjangsayiyagi published in CHOSUN ILBO in 2919, Lee, Mu-young published a children’s novel, orinyoungwoong and an essay, Onammae in a children’s magazine, BYULNARA in the following year, 1930. Then he joined the circle of children’s literature by publishing a children’s novel, Jangmikkotgwa kkoekkolsae and a dramatic play, Ganabangyiwangja in EORINYI from 1933. After entering DONG-A ILBO in 1934, also, he published 19 early children’s novels, a full-length juvenile novel, Ddolddolyi(a total of 72 times) and an early children’s fairy tale, Boksoongah, and walked a path as a children’s literature writer by 1937. In addition, he mad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in children’s literature by reciting a fairy tale in a radio storytelling program in the early 1930s. Most of the works created by Lee, Mu-young contain adventure stories and good deeds of young main characters, the boundary of greed, a sentiment of pity for poverty and memories of life in childhood. In particular, an early children’s novel, ‘Gyeongjae’ series that he published in 1935 after entering DONG-A ILBO, describes juvenile life stories realistically. The full-length juvenile novel, Ddolddolyi that he published serially 72 times from February 9th to May 20th 1936, shows a tough journey of Ddolddolyi that goes to Seoul for finding his younger sister, Boksunyi kidnapped by a Chinese man, and his friend, Sudongyi. In this novel, 14 episodes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they lead the whole story. For this reason, this is rated as a novel, which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children’s literature. As stated above, Lee, Mu-young played a role in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by working in the circle of adults’ literature, and publishing fairy tales, children’s novels, dramatic plays, early children’s novels and full-length juvenile novels in the circle of children’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