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도-제주도 해역에 서식하는 저서다모류의 분포양상과 건강도 지수를 이용한 저서환경 평가

        김광배 ( Kwang-bae Kim ),정윤진 ( Yoon-jin Jung ),오정규 ( Jeong-kyu Oh ),강훈 ( Hoon Kang ),김동영 ( Dong-young Kim ),이동훈 ( Dong-hoon Lee ),임성률 ( Seong-ryul Lim ),손대선 ( Dae-sun Son ),마채우 ( Chae-woo Ma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저서다모류 군집의 구조와 생태학적 건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에서 각 7개씩 총 14개 정점에서 2010년 8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반기별로 저서다모류 군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서다모류의 서식기질로서 퇴적물의 입도조성을 분석한 결과 진도 해역은 비교적 혼합질 퇴적상을 나타낸 반면 제주도 해역은 모래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14개 정점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는 68종, 231 ind./㎡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진도 해역에서는 61종, 167 ind./㎡, 제주도 해역에서는 62종, 295 ind./㎡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출현종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제주도 해역에서 전반적으로 종수 및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출현 서식밀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점종을 선정한 결과 진도 해역은 Heteromastus filiformis,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igambra tentaculata, Thelepus sp.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도 해역은 Amphicteis gunneri,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piochaetopterus costarum, Heteromastus filiformis 순으로 나타났다. 종조성과 정점 간 유사도에 근거한 집괴분석 결과 정점 5와 6을 제외한 정점에서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으로 확연히 구분되었다. AMBI 분석 결과 1.2-3.4의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정점에서 Ⅴ등급 저서다모류는 출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은 지리적 위치 및 퇴적상에 따라 저서다모류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시공간적인 큰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Assessment of benthic quality status was implemented along the subtidal areas of Jindo and Jejudo to understand faunal structure of polychaete assemblages and ecological quality of the benthic environment. Sediment analysis was characterized by well sorted of both mud and sand in Jindo, and a little higher sand in Jejudo instead. A total of 68 polychaete species were found at 14 sampling stations with a mean density of 231 inds./㎡, and 61 species, 167 inds./㎡ and 62 species, 295 inds./㎡ in Jindo areas and Jejudo areas. Dominant species found in Jindo areas were Heteromastus filiformis,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igambra tentaculata, Thelepus sp. and Amphicteis gunneri,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piochaetopterus costarum, Heteromastus filiformis in Jejudo. With a help of clus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ampling stations showed distinctive pattern of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benthic quality status in Jindo and Jejudo except sampling station numbers 5 and 6, respectively. AMBI analysis the results were 1.2-3.4, grade Ⅴ benthic polychaetes did not appear. It was evident that both Jindo and Jejudo had different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assemblages.

      • KCI등재

        음식물 쓰레기의 호기성분해를 위한 고온균의 분리 및 생육 특성

        최민호,조성은,유정목,정윤진,박연희,Choi, Min Ho,Cho, Sung Eun,Yoo, Jung Mok,Chung, Yoon Jin,Park, Yun Hee 유기성자원학회 1995 유기물자원화 Vol.3 No.1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미생물제제 개발을 목적으로 토양, 퇴비 등으로부터 고온균을 분리하여 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81주 중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전분 분해효소, 단백 분해효소, 지방 분해효소 및 섬유소 분해효소의 활성이 높은 20주를 분리하여 형태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그람 양성의 간균으로 카탈라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17주는 포자 형성균으로 밝혀졌다. 이 균주들은 대부분 pH 5에서 pH 10까지 생육할 수 있었으며 8% NaCl이 함유된 배지에서도 성장하였다. 또한 각 효소의 생산 균주 그룹별로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통기에 의해 생육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50^{\circ}C$ 이상 온도가 올라갈수록 생육이 저하되었다. For development of microbial additives applicable to in-vessel composting system of food waste, thermophilic bacteria which showed amylase, protease, lipase and cellulase activity were isolated from soil, compost and food waste. Among 81 isolates,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20 strains with high enzyme activity were examined. All strains are Gram positive rod with catalase activity and 17 strains are spore formers. At $50^{\circ}C$, most of the strains were able to grow from pH 5 to pH 10 and in presence of 8% of NaCl. In trypticase soy broth, the growth of these strains was greatly increased by aeration, but decreased at elevated temperature above $50^{\circ}C$.

      • KCI등재

        만성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에서의 Anti-D immunoglobulin 치료

        김혜정 ( Hye Jeong Kim ),정윤진 ( Yun Jin Jung ),황의남 ( Eui Nam Hwang ),김영훈 ( Young Hoon Kim ),최진성 ( Jin Sung Choi ),남승현 ( Seung Hyun Nam ),김봉석 ( Bong Seog Kim ),오도연 ( Do Yeon Oh ),윤성수 ( Sung Soo Yoon ),박선양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2

        목적: 성인 만성 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 환자에서 anti-D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여 혈소판 상승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이전 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거나 재발한 전체 14명의 성인 만성 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4명 환자가 스테로이드 요법을 받았고, 10명의 환자는 비장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Anti-D 면역글로불린의 주입량은 50~70 μg/kg이었으며 단 한번 주입하여 반응을 확인하였고, 치료 반응의 평가는 혈소판 및 혈색소 수치를 추적 검사하였다. 결과: 치료 반응이 확인된 경우는 전체 환자의 36% 인 5명이었고, 혈소판 상승이 지속된 기간은 평균 7일이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만성 면역혈소판감소자색 반증에서 Fc 수용체 차단제인 anti-D 면역글로불린을 이용한 치료가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Aims: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is an autoimmune disease that is mediated by anti-platelet antibodies. Based on the pathogenesis of ITP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intravenous anti-D immunoglobulin for adult chronic ITP. Methods: Fourteen patients (4 without splenectomy and 10 with splenectomy) with refractory chronic ITP were treated with 50-70μg/kg of intravenous anti-D immunoglobulin only once. Treatment effec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platelet counts and hemoglobin levels. Results: Five patients (36%) showed a response; improvement in the platelet count lasted for on average 7 days (range: 2~24 days).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ffects. Conclusion: Anti-D immunoglobulin, which is associated with an Fc receptor blockade, appeared to be saf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adults with chronic ITP.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and define further potentially effective treatment protocols with intravenous anti-D immunoglobulin. (Korean J Med 74:176-180, 2008)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용 디젤엔진에 대한 코로나탈질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장홍기(Hong Ki Chang),최창식(Chang Sik Choi),신중욱(Jung Uk Shin),지영연(Young Yeon Ji),홍민선(Min Sun Hong),정윤진(Yoon Jin Chung)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11

        다양한 배출 특성을 지닌 질소산화물을 제어하기 위해, 코로나 방전 탈질 시스템을 대용량 발전 설비에 적용해 그 가능성과 경제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탈질 효율과 소비에너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실험한 결과 조건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유량이 많고 초기 농도가 낮을수록 소비에너지가 작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7.5 kW급 출력 용량의 펄스전원을 이용한 시험에선, 0.6 MW급 발전시설의 배가스 처리를 위해 대략 15 kW급 출력용량의 펄스전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 때 약 65% 정도의 탈질 효율을 나타냈으며 최적의 반응기 형태를 위해 1.5∼1.7 ms/ppm 이상의 체류시간이 필요함을 알았다. 또한, 최적 반응기 설계 제작을 위한 임피던스 정합이 중요하며, 반응기 정전용량 대비 펄스전원 출력부의 30% 이내로 설계해 주었을 때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전됨을 확인하였다. 이 조건에서 반응기에 투입되는 최적의 펄스당 방전 에너지는 약 20∼25 J/pulse 범위일 때 최적의 제거효과를 보였다. We have studied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and economical efficiencies of multi-staged corona DeNOx process which is applicable for the industrial power facilities.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DeNOx efficiencies and energy costs, and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energy costs seem to be lowered at high flow rates and low NOx concentrations. 7.5 kW pulsed power supply test showed that the 15 kW pulse power supply might be required for the 0.6 MW industrial diesel engine exhaust gas treatment with 65% DeNOx efficiency, and that the minimum 1.5~1.7 ms/ppm of residence time for optimal reactor design. Also,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energy cost and NOx removal efficiency is very important scale up factor to optimal reactor design and manufacturing for system stability. generally, about 30%(reactor capacitance versus pulse power supply capacitance) is optimal level and 20~25 J/pulse is optimal discharging energy.

      • KCI등재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미세 장염의 임상양상 및 특징

        이세영 ( Se Young Lee ),전성우 ( Seong Woo Jeon ),정윤진 ( Yun Jin Chung ),박영대 ( Young Dae Park ),윤석진 ( Seok Jin Yoon ),박수영 ( Soo Young Park ),김은수 ( Eun Su Kim ),정민규 ( Min Kyu Jung ),김성국 ( Sung Kook Kim ),최용환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4

        목적: 아교질성 장염과 림프구성 장염은 만성 설사를 하는 환자들 중 정상적인 내시경 소견 및 방사선 소견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는 미세 장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진단율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만성 설사로 본원에 내원하여 미세 장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임상 양상, 특징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만성 설사로 내원하여 대장내시경 검사 및 조직 생검을 시행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80명의 환자들 중 12명(15%)이 미세 장염으로 진단되었다. 이 중 아교질성 장염이 6명(남:여=2:4, 평균 연령 54±20.1세), 림프구성 장염이 6명(남:여=5:1, 평균 연령 51.2±21.4세)이었다. 4명(33%)이 자가 면역성 질환을 동반하였고, 3명(25%)이 원인 약물의 복용력이 있었다. 여기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ticlopidine, ranitidine, acarbose가 속하였다. 치료를 받은 모든 환자가 호전 및 완치되었고, 1명은 원인 약물을 중단 한 후 호전되었으며, 1명은 치료를 받지 않고 자연 호전되었다. 지사제, mesalazine, cholestylamine은 모두 효과적이었다. 아교질성 장염 중 1명, 림프구성 장염 중 1명이 재발하여 현재까지 약물 치료 중이다. 결론: 최근 만성 설사로 내원한 환자의 미세 장염에 대한 진단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 경험한 미세 장염의 임상양상 및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앞으로 아교 질성 장염과 림프구성 장염 각각의 특징, 치료 및 예후에 대한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Collagenous colitis (CC) and lymphocytic colitis (LC) are characterized by chronic diarrhea and normal radiologic and endoscopic findings. These are currently not uncommon entities whose incidence in increasing as more clinicians take biopsies from macroscopically normal col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in microscopic colitis.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6,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rom 80 patients with chronic diarrhea, who had normal colonoscopic findings but underwent biopsy. Patients with microscopic coliti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the pathology databases and by reviewing biopsies. Results: Microscopic colitis was diagnosed in 12 patients (15%). Six patients with CC (Male:Female=2:4, mean age 54±20.1 years) and 6 patients with LC (Male:Female=5:1, mean age 51.2±21.4 years) were identified. Autoimmune disease was diagnosed in 4 patients (33%). Drug-induced disease was suspected in 3 patients (25%). The inciting drugs were NSAIDs, ticlopidine, ranitidine, and acarbose. Complete or partial resolution of diarrhea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including spontaneous resolution in 2 patients. Antidiarrheal drugs, mesalazine, and cholestylamine were highly effective in both diseases. Recurrence of symptoms occurred in 2 patients (17%). They are taking medicine at present. Conclusions: Microscopic colitis is a relatively common cause of chronic diarrhea that appears to be increasing in incidence. We reported clinical features,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response of microscopic colitis in our experience.(Korean J Med 74:397-402, 2008)

      • 악안면골 성형재건수술(Maxillofacial Reconstructive Surgery)에 적용하였던 유도저혈압 마취의 유용성 비교

        허철회,정윤진,김종운,김문철,우성,조강희 인제대학교 1996 仁濟醫學 Vol.17 No.3

        저자들은 본원에서 1990년 3월부터 1995년 7월까지 198례의 악안면골 성형재건수술에서 선택한 저혈압 약물의 차이에 따라 달리 하였던 유도저혈압 마취방법들을 4군으로 분류하여, 제1군을 흡입마취제(enflurane, halothane)와 sodium nitroprusside(SNP) 사용군, 제2군은 흡입마취제, SNP, 그리고 beta blocker(labetalol) 사용군, 제3군은 흡입마취제와 beta blocker 사용군, 제4군은 propofol과 fentanyl을 사용한 완전정맥마취와 SNP와 beta blocker 사용 군으로 하였다. 마취 및 수술 소요시간, 혈압조절의 용이성, 반사성 빈맥의 유무, 수술중 수혈 여부와 양, 수술후 중환자실 재원일수 및 총 입원일수, 수술후 부작용 등을 비교한 결과 propofol과 fentanyl을 사용한 완전정맥마취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수술시간의 감소, 반사성 빈맥의 발생 빈도의 감소, 수혈 빈도와 수혈량의 감소를 보였던 바 완전정맥 유도저혈압 마취방법이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The maxillo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is needed close care during operation and anesthesia. The field of operation is limited by the mouth cavity. Airway managements and blood pressure controls are keystone. So, the induced hypotensive anesthesia is essential to the maxillo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for bleeding control and accurate operation. There were 198 cases of maxillo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under induced hypotensive anesthesia in the plastic surgery department of Paik Hospital from 1990 to 1995. Authors had divided them in 4 groups base on anesthetic protocols. Group I(N ;43) was inhalation anew thetics(enflurane, halothane) and sodium nitroprusside(SNP) ; group II(N;99) was inhalation anesthetics(enflurane), SNP, and labetalol ; group IIII(N ; 27) was inhalation anesthetics(enflurane) and labetalol ; group IV (N ;29) was total intravenous anesthesia(propofol, fentanyl, midazolam) with SNP and esmolol(or labetalol). The retrospective study was taken base on the several records of the patients, especially, the duration of operation and anesthesia, degree of fluctuation in the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mounts of the blood loss and transfusion during operation, complications, and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in respectively. Mean operation times of 4 groups decreased periodically, and there were the controlability of blood pressure without reflex tachycardia in beta blocker using groups. Amounts and incidences of transfusion were also decreased in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ies in total admission days and ICU stay periods between 4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