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드(THAAD) 이슈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 공중 간 갈등 인식 변화 추이 연구 : 시계열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정원준(Wonjun Ch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2

        본 연구는 2016년 7월 한국 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이하 사드)’ 배치 결정 후 한·중 간 첨예한 대립과 갈등의 상황에서, 갈등 주기 중 ‘갈등 고조기’와 ‘갈등 완화기’에 맞춰 패널을 구성하여 양국의 공중 간 사드갈등 쟁점 발생 요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 추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사드 갈등의 요인을 ‘국제정세와 정치적’, ‘자국의 안보적’, 그리고 ‘소통 미비에 의한 갈등관리 부실’ 등 세 가지로 규정하고, 2017년 하반기에 있었던 ‘한·중관계 개선에 대한 협의’를 포함한 양국 정부 간의 갈등완화를 위한 협력적 노력이 시행 된 시점을 전후로 각 요인에 대한 양국 공중의 인식 차이를 시계열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국제정세와 정치적 요인’과 ‘자국의 안보적’ 요인에 대해서는 양국 정부 간 협력적 노력과는 관계없이 두 공중 집단이 상이한 인식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통 미비에 의한 갈등관리 부실’에서는 두 공중 집단 간 ‘부(不)동의와 불일치적인’ 인식에서 ‘동의와 부분일치적’ 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국가 간 갈등 상황에서 신뢰와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하는 갈등관리와 효과적인 상호지향적인 방안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양국 공중의 염원을 표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Using a time-series co-orientation model,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regarding the THAAD conflict in terms of its perceptional attributes, that is, political, homeland security, and a lack of conflict management aspec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wo group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political and homeland security, regardless of the two different times. However, the two had a quite same point of views on a lack of conflict management of the two countr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광고PR분야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적합성 및 효과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채용공고 내용분석 및 NCS 교육 이수 실무자 대상 조사를 토대로

        정원준(Wonjun Chung),한규훈(Kyoo-Hoon H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광고PR분야 NCS 기반의 교육에 대한 적합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광고PR학 전공교육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는 역량 중심 NCS 교육의 현실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를 실행하고, 이들을 통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1에서는 NCS에 기반한 광고PR분야 채용공고 847개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산업계가 요구하는 광고PR분야의 세부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 순위 및 상호연결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2에서는 과거에 NCS 교육과정을 이수한 광고PR분야 실무자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이 취업 후 인식하는 NCS 교육의 적합성 평가와 더불어, 학습동기, 학습전이, 교육만족도, 직무만족도, 그리고 NCS 교육 지속가능성 간의 영향경로 분석을 토대로 NCS 기반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1과 연구 2의 수행을 통해 도출한 통합적 연구결과 및 함의를 토대로 향후 광고PR학 전공교육에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현행 NCS 체계의 적용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NCS-based education in the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hereafter PR) field were assessed, and based on the results, realistic directions for operation of competency-oriented NCS education that needs to be actively introduced in the advertising and PR major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To this end, this research conducted two studies and integrated them to draw conclusions. In Study 1, the importance ranking and degree centrality among basic job abilities and job performance abilities in the advertising and PR field required by the industry were examin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847 recruitment announcements. In Study 2, a survey of 238 practitioners in the advertising and PR field who have completed the NCS-based educational program was conducted. At this stage, the effectiveness of NCS-based education was verified on the basis of the path analysis amo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transfer, satisfaction with NCS-based education,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job, and sustainability of NCS-based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derived through the performance of Study 1 and Study 2, several directions for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 NCS system that can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advertising and PR majo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책 결정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원준(Wonjun Ch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3

        본 연구는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대한 인식이 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인과 구조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한 · 중 FTA(Free Trade Agreement, 이하 FTA) 사례를 배경으로, 정부의 정책 결정 공정성, 정책 결정 참여 기회 제공, 그리고 정책 정보 투명성을 독립 변인으로 놓고 이러한 독립 변인들이 매개 변인인 정부 신뢰와 정책 신뢰, 그리고 정책의 수혜/혜택 인식이라는 조절 변인을 통하여 정책 수용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 · 중 FTA 통상 정책과 관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다중 집단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층화적 샘플링 방식으로 모집된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 · 중 FTA 통상 정책 결정의 공정성은 정부 신뢰와 정책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기회 제공인식 정도는 정부 신뢰와 정책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정책 결정 투명성 인식 정도는 정부 신뢰와 정책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나아가, 정부 신뢰 그리고 한 · 중 FTA 통상정책 자체에 대한 신뢰 모두 정책 수용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한 · 중 FTA 통상 정책에 대한 수혜/혜택 인식 정도는 정책 신뢰와 상호작용하여 정책 수용도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관여도를 기준으로 나눈 두 집단 간의 차이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 전략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of communication variables(policy fairnes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nd policy information transparency) on policy acceptance in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making, mediated by government rust and policy trust in the case of the Korea-China FTA. Using 1,000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policy fairnes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nd policy information transparency positively influence both government trust and policy trust that in turn increase the level of policy acceptance. And, this process differs between high involved group and low involved group of the FTA.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strategic government communication management.

      • KCI등재

        사드(THAAD) 이슈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 간 갈등 쟁점의 변화 추이 연구

        정원준(Chung, Wonj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3

        본 연구는 2016년 7월 한국 내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 이하 사드)’ 배치 결정 후 한·중 간의 첨예한 대립과 갈등의 상황에서, 양국 간의 사드 갈등 쟁점을 갈등 주기 모형(갈등 생성기-갈등 표면화기-갈등 고조기-갈등 완화기)에 맞춰 연구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네이버 뉴스 홈페이지를 통한 국내의 사드 연관 온라인 뉴스기사와 바이두(BAIDU)를 통한 중국의 사드 연관 온라인 뉴스를 웹 스크래핑(web-scraping) 기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총 6032(한국: 4533; 중국: 1499)건의 빅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TF와 TF-IDF를 활용한 주제어 빈도 분석, 시계열적 토픽 모델링의 LDA 기법과 주요 토픽 군집의 단어 간 네트워크 생성을 통한 의미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한·중 언론 매체의 뉴스 기사에서 나타난 사드의 주요 쟁점은 각 나라 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한·중 양국은 국가의 전략적 안보 이익과 안보 주권, 미국 사드 시스템 편입 여부, 사드와 북핵의 관계와 경제 이슈 등 부분에서 전략적 인식 차이가 존재하였음을 방증한다. 둘째, 국가 간의 외교적 역학 관계와 자국의 입장 및 대책에 따라 각국 언론의 보도 쟁점은 갈등 주기에 따라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적 갈등에 대한 다각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y differences of the major keyword and topics related to the THAAD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periodical changes of the overall topic trends along with four conflict sta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July, 2016 to February, 2018. For the end, this study used several big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a keyword frequency analysis, a topic modeling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fter collecting newspaper article text data (a total of 6,032 texts consisting of 4,533 Korean texts and 1,499 Chinese ones) from each country’s major portal site which are NAVER and BAIDU.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ach country used different terms in different ways in order to frame the THAAD conflict toward other related publics. In addition, each country changed the major topics along with each conflict stage to get the justification and to emphasize the legitimacy regarding the THAAD conflict, that each one has kept.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conflict manag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메타버스 사용자의 지속 사용 의도 연구: 실제 사용량 차이에 따른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정원준 ( Wonjun Chung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메타버스 실제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확장된기술수용모델(ETAM)과 가치기반수용모델(VBAM)을 응용하여 메타버스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사용량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메타버스 실제 사용자 600명을 설문한 본 연구결과, 지각된 용이성, 유희성은 지각된 가치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염려와 시간 및 비용에 대한 희생 속성은 가치 정도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가치는 지속적 사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만, 본 인과과정에 대하여 메타버스 실제 사용량에 의한 분류된 두 집단(경사용자 vs. 중사용자)간 차이가 유희성,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염려, 시간 및 비용에서 존재하였다. 이에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지속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메타버스가 개선해야 할 가치를 강조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process of the sustainable usage intention of the Metaverse. For the end, this study applied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and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VBAM)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 total of six factors in the comparison with two groups(light vs. heavy users). A total of the 600 Metaverse users were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Metaverse and its enjoyment positively influenced the perceived value while the concer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and time/cost concern negatively effected the value. Furthermore, the value in turn posively inluenced the the sustainable usage intention. However, this whole process differed in the two group comparison.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new media platform’s sustainabilit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언론 기사와 댓글 속 미세먼지 위험 커뮤니케이션 담론 연구 : 이슈 순환모형을 적용한 시계열분석으로

        정원준(Wonjun Ch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2

        본 연구는 미세먼지가 우리 사회의 주요 환경 문제로 부각 된 상황에서 온라인 언론 기사와 댓글 속 위험 커뮤니케이션 담론을 이슈 순환 주기(이슈 생성기-이슈 표면화기-이슈 고조기-이슈 완화기)모형에 맞게 시계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웹크롤링 기법으로 네이버 뉴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총 33,307건의 미세먼지 연관 온라인 언론 기사와 언론 기사에 달린 총 201,237건의 댓글을 대상으로 TF와 TF-IDF를 활용한 주제어 빈도분석, 시계열적 토픽 모델링의 LDA 기법과 주요 토픽 군집의 단어 간 네트워크 생성을 통한 의미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기본적으로 각 주기 별 언론 기사와 댓글 상 아젠다와 토픽은 차이가 있었다. 언론 기사의 경우 미세먼지 이슈가 점차 고조화 되어 갈수록, 국민 건강을 위한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과 관리 등의 계획과 실행방안에 대한 하부토픽이 주를 이뤘고, 국민개인적 차원에서의 예비와 대책을 실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에 반하여 댓글 내 공중의 반응은 이슈가 고조기로 전개됨에 따라 점차 미세먼지의 원인제공자라 인식하는 중국에 대한 성토와 미세먼지에 대한 정부 대책의 부족 및 정책적 실효성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가 다수를 차지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미세먼지 이슈는 코로나-19 이슈로 인하여 잠시 소강상태인 것처럼 보이지만, 추후 사회적 이슈로 재부각 될 가능성이 높기에, 위험 관리 측면에서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강조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y differences of the discourses related to the fine dust risk issue between the online news articles and the replies, and the periodical changes of the overall discouorse trends along with four issue stages between the two. For the end, this study used several big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a keyword frequency analysis, a topic modeling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fter collecting newspaper article and reply data (a total of 33,307 news articles and a total of 201,237 rep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news articles and replies used different terms in different ways in order to frame the dust issue over time.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risk communication manag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정부의 소통 중심적 갈등 관리를 위한 제언: 갈등 시 합의 도출을 위한 참여와 숙의의 조절적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정원준 ( Wonjun Chu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 한 후 추진하고 있는 탈원전 에너지 정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이 고조되어 있던 상황에서 갈등원인에 대한 인식들과 갈등해소 지표 중 하나인 사회적 ‘합의’와의 인과구조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혹은 재개’ 사례를 배경으로, 이 에너지 정책 갈등의 원인을 ‘행정적 요인,’ ‘쟁점 본질적인 요인’ 그리고 ‘환경적 요인’으로 보는 공중의 인식이 갈등 진행 속에서 ‘소통 참여’ 기대수준과 ‘숙의’ 기대수준이라는 두 조절변인(moderator)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종속변인인 ‘합의’의도에 영향을 주는 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위원회가 출범한 2017년 7월 중순에 층화적 샘플링 방식으로 전국에서 모집된 7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행정적, 쟁점 본질적 그리고 환경적 갈등원인 인식은 사회적 합의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본 연구의 조절변인인 숙의 기대정도는 이들 갈등요인들과 상호작용을 하여 부정적인 합의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완화하였다. 하지만, 소통참여 기대는 행정적 그리고 환경적 갈등원인 인식에만 유의미한 완충작용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장하는 소통 중심적 갈등관리가 갖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Based on the current public conflict related to Shin Kori 5 and 6 nuclear reactor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active roles of publics’ perceptions of the conflict types in the consensus intentions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 in a positive way, moderated by communicative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Especially, this study is interested in investigating possible buffering effects of the communicative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in terms of communication-based democratic conflict management. Using 700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publics’ perceptions of the conflict types negatively influence the level of consensus. However, they are positively buffered by the two moderators.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