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富)의 "최소한의 사용"(usus pauperis)과 "온건한 사용"(usus moderatus)

        정원래 ( Won Rae Jeong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0 역사신학 논총 Vol.20 No.-

        The problem of poverty is still a global phenomenon in 21 century. Many found generally the reason of poverty both in the aspect of social structure and of individual existence. The modem Christianity has influenced by the trend. But there has been the other positions on poverty in the historical tradition of church and religions. One of them is "voluntary poverty". The "involuntary poverty" which must be solved und the "voluntary poverty" which is a self-alternative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theme in the Church and theology. In first case they demand of the solidarity with the poor those who were represented as orphan, widow and foreigner In second, the "voluntary poverty" could be understood as a protest against a church and public which have come to embrace wealth, luxury, and ostentatious power. The History of Francis and Franciscan order during the 13-14 century presents 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ideal of "voluntary poverty" and that practice, in addition, it teaches us well how the Minorite have to do with the controversy on the practical poverty. The people in 13 century tried to follow the Gospel and Christ`s life which emphasized the poor life. This poverty movement had two social aspects: on one side it was against the church which became wealth through feudal-system und secularized priest, on the other side, it regard as a protest against the waste of aristocrats and against the luxurity of merchants, The key point of poverty movement was the imitation of Christ. Francis of Assisi realized most fully this pius ideal of the thirteenth century. After the conversion, he lived without compromise in the absolute poverty. The biblical words, Matt. 9:21; Luk. 9:3 and Matt. 16:23 influenced on his ideas. To live without property in the Rule Francis` mean the reject of not only the material rich but also the property in mind. Because Francis thought that the denial of property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gain the poor in mind which the Gospel thaught. He und his disciple were those who chose the "voluntary poverty" for the imitation of Christ. It happened to the inconsonance between those who would follow strictly Francis` original Ideal, and those who wanted to respect Francis` intention, but would revise the Rule, because of amount of new friars and of changing environment. The stricter party, so called the Spirituals/the Observants, the other party, the Conventuals. The Spirituals would emphasize a simple life of Christ-like poverty, and The Conventuals wanted to accept the use of gifts, buildings and privileges, Gregory IX., 1230, <Quo elongate>. explained the Rules of the Minorities and declared the Francis` testament to have no binding force. It allowed the order to employ an "agent" to receive and expend money for their immediate necessities. Innocent IV. made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for necessities and for the convenience of brethren to use money, and he made the pope owner of all property, landes, houses und goods used by friars, The reason why the popes involved so often in the dispute on poverty in the order was probably that "the order exercised an almost unbounded popular influence". Nicholas III., in the bull <Exiit qui seminat>, 1279, again mad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usus iuris" and "usus facti" und confirmed the letter right to the order. He proclaimed also that the pope is the ultimate owner of the property of the order. Therefore, the Spirituals opposed the pope, saying that "the spirituals wanted the Rule and the Testament, not papal glosses." In the controversy on the practical poverty Nicholas III acknowledged that Franciscan vow to observe the gospel "might seem to ensnare the soul of the vower," in that such a promise taken absolutely, could not be kept. The Spirituals opposed to the popes views. In the controversy on the theoretical poverty, Michael of Cesena, Ockam, and others, took the position that Christ and his Apostles didn`t hold at all property. But John XXII. declared in the bull <Cum inter nonnullos>, 1323, it hersey to hold that Christ and the Apostles held no Possessions. Those who resisted this interpretation were pronounced, rebels and heretics. The peace of the Franciscan Order continued to be the concern of pope after pope until, in 1517, Leo X. terminated the struggle of three centuries by formally recognizing two distinct societies within the Franciscan body.

      • 종교개혁 시기의 세 가톨릭 권력자들 -교황들, 카알 5세, 그리고 프란시스 1세-

        정원래(Jeong, Won Rae)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4

        종교개혁의 시작과 더불어 가장 영향력이 컸던 권력자들은 교황, 카알 5세 그리고 프랑스의 프란시스 1세이다. 이들은 모두 가톨릭 신자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의 발발과 확장과 확고하게 자리 잡는 것을 막지 못했다. 이는 각자가 하나의 교회, 하나의 제국이라는 중세적 사고에 따라서 협력하기 보다는 스스로의 이익과 목표를 위해 갈등해고 대립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진영을 잘 다루어 다시 제국을 통합시키려는 카알 황제에 맞서, 자신의 권위의 손상을 염려하여 끊임없이 방해한 교황들, 그리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황제에 맞서 전쟁을 일으키는 프란시스 1세는 결국 개신교가 스스로 위상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도움이 되었다. 이들 중 교황은 종교개혁의 직접적인 원인 제공자이자 강화시켰으며, 카알 황제는 제국의 통합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개신교에 양보를 한 인물이자 교회 개혁을 위해 공의회의 주창자로, 프란시스 1세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심지어 개신교인들을 지원하기 까지 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중세적 사고가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With the beginning of the Reformation, the most influential powers were the Pope, the emperor Karl V, and Francis I of France. Although they were all Catholics, they did not prevent the outbreak of the Reformation, its growth, and its steadfast positioning. The reason was that they conflicted and opposed each others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s and goals. They didn’t cooperate with others in the medieval idea of one church and one empire. Popes in this era, who constantly feared the damage of their authority, were against the emperor Karl V, who was trying to reunite the Reformation camp and wants to integrate the empire, and Francis I, who causes the war against the emperor for the benefit of his own country. It was an important help for the Reformation to settle firmly. The Popes stood as a direct cause of the Reformation, and the Emperor Karl V. made many concessions to Protestantism for the integration and defence of the empire. Francis I even supported the Protestants for their own benefit. This shows that the traditional medieval idea, one church and one emperor is disappearing.

      • KCI등재

        하나님의 형상 개념에 내포된 인간 창조의 목적 토마스 아퀴나스의 하나님 형상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정원래 ( Jeong Won Ra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1 성경과신학 Vol.99 No.-

        성경은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고 말한다. 이 성경 말씀은 신학에서 인간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신학에서는 하나님의 형상에서 인간의 본질과 인간이 하나님과 맺고 있는 관계성을 드러내었다.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의 존재론적이며, 관계론적 측면을 드러내는 것으로 탐구되어 왔다. 하나님의 형상에서 인간 창조의 목적을 상고해 내려는 시도들은 역사를 통해 계속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많은 신학자는 imago와 similitudo의 구분에서 창조의 형상과 영광의 형상을 추론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성경의 근거와 언어적 근거에 의해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거절되었다. 또한 하나님의 형상을 각 구속사적 단계에 맞추어 사유하는 시도도 있었다. 이러한 시도에서 창조의 형상, 재창조의 형상 그리고 영광의 형상이라는 단계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제시는 인간의 목적이 무엇인지 분명히 하고,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의 역동성과 하나님과 인간이 맺고 있는 관계를 잘 드러내고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이러한 시도는 꽤 설득력있게 전개되었다. The Bible says that humans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This biblical tex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n theology. In theology, the image of God revealed the essence of m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God. The image of God has been explored as revealing the ontological and relational aspects of human beings. Attempts to contemplate the purpose of human creation in God’s image have continued throughout history. For this purpose, many theologians have deduced the image of creation and the image of glory from the distinction between imago and similitudo. However, this distinction was rejected in Reformed theology on the basis of biblical and linguistic grounds. There was also an attempt to think about the image of God according to each stage of the redemptive history. In this attempt, the steps of the image of creation, the image of re-creation, and the image of glory were presented. This distinction makes it clear what the purpose of man is, and reveals well the dynamism of man living here and n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n Thomas Aquinas, this attempt unfolded quite convincingly.

      • KCI등재후보

        13세기 교황권의 절정: 법과 여론의 전쟁

        정원래 ( Jeong Won-rae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9 역사신학 논총 Vol.34 No.-

        13세기 교황권이 절정에 도달한다. 이처럼 12/13세기 교황권이 강성해지는 과정은 세속군주들과의 권위에 대한 싸움에서 승리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세속군주와의 싸움에서 교황들의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되었던 것이 법과 여론이다. 즉 이 시기의 교회와 국가의 갈등은 법적인 측면과 여론적인 측면에서 전개되었다. 이 싸움에서 교회는 세속군주들을 압도할 수 있었는데, 특히 교회는 세속군주들보다는 체계가 잘 잡힌 교회법, 그리고 교황의 권리를 세상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수단을 보유했다. 즉 수도사들을 통해 교회는 황제의 권위를 비판하고, 황제들의 주장에 대한 비판을 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법과 여론을 통한 교회와 세속군주의 싸움이 12세기와 13세기에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교황은 절대적인 권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물론 이러한 반작용으로서 세속법과 국가의 정비를 재촉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의 교회법과 국가의 법들은 각각의 권위의 상호협력이라는 초대교회이래의 정신을 포기하고, 한 권위가 다른 권위를 압도하고 지도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싸움의 극적으로 잘 드러내는 것이 교황청과 프리드리히 2세의 싸움이며, 그 결과이기도 한 제1차 리옹 공의회이다 The papacy of the thirteenth century reaches its climax. It means that the papacy won the battle against secular monarchs in authority. The most powerful means of the popes in this fight against secular monarchs were law and public opinion. In other words, the conflict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this period has been developed in terms of legal and public opinion. In this battle, the church was able to overwhelm the secular monarchy, especially the church, which had a well-structured church law and a way of publicity to publicize the rights of the pope to the world. Through the monks -Franciscans and Dominican, the church preached the emperor's fault to the people and criticized the emperors' claims. The fight between the church and the secular monarchs through these laws and public opinion was fierce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and the Pope was able to secure absolute authority over secular monarchs. Of course, this reaction has also prompted the secular law and the state. This period abandoned the spirit of the mutual cooperation ofeach authority since the early church. Instead, one authority attempted to overwhelm and direct other authority. The dramatic manifestation of this struggle is the fight between the Pontiff and Friedrich II in 13th century, and the result is the first Lyon council(1245).

      • KCI등재후보

        13세기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교도 대전』(Summa contra Gentiles)에서 드러난 이교도(Gentiles)에 대한 이해 및 라이문두스 룰루스 등의 선교 전략을 통한 현재의 다문화에 대한 접근

        정원래(Jeong, Won Rae)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7 No.-

        21세기의 한국교회에서 가장 깊숙한 영향을 미치는 한 부분이 문화다. 그러나 오늘날 문화는 매우 다양하고, 또 변화가 급속하여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가치관과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함은 물론, 복음 증거의 사역에도 비기독교인들에 대한 접근과 복음 전달의 방법들에 대한 새로운 태도가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 앞에서, 필자는 13세기 서구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만남에서 드러난 기독교인들의 태도들을 통해서 오늘날 다문화 상황을 살펴보고, 우리의 태도와 행동들에 대한 유익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교도 대전』(Summa contra Gentiles)에서 이교도(gentiles)에 대한 이해와 접근의 방법들을 살펴보고, 실제로 복음 사역에 종사했던 라이문두스 룰루스(Reimundus Lullus)의 선교 전략을 고찰하였다. 이 둘은 문화적 만남에서 소극적이거나 방어적이라기보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다. 즉 그들을 만나고, 대화하고, 이해하며, 오류와 편견을 바로잡고자 시도한다. 그들은 상대방을 청취하며, 동시에 기독교 신앙을 이교도들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를 노력하였고, 인간의 이성을 넘어서는 신앙의 내용들에 대해서는 겸손한 자세를 요청한다. 이러한 ‘열린 마음’들이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문화가 만나던 13세기를 살아가던 이들의 태도였다. 하지만 “열린 마음”이 그들에게 타 문화와 종교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님은 분명하다. 이들은 누구보다도 ‘기독교 신앙의 진리’를 확증하는데도 열중하였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성적 고찰을 신뢰하되, 기독교 신앙의 진리에 대해서도 열렬히 변증한 인물이며, 이러한 변증을 위해 기독교 진리를 누구보다도 열심히 연구한 자들이다. 이러한 논리를 전개하기 위해 필자는, 먼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교도 대전』의 저술 동기와 목적을 살펴보며, 토마스가 “이교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드러내었다. 실상 이교도에 대한 정의가 곧 그들에 대한 토마스의 접근 방법을 내포하기 때문이다(Ch. II). 이어서 토마스가 신앙적 진리를 이성적 탐구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이성의 영역을 초월하는 것을 구분한다. 전자에서 토마스는 이교도들과 서로 대화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후자에서는 신앙적 진리를 둘러싼 오류와 편견을 바로잡으려 수고한다. 즉 이성을 초월적 부분에 적용하는 이성의 사용의 한계를 지적하며, 신앙적 진리에 대한 공격과 오해를 변호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Ch. III). 이어서 라이문두스 룰루스의 선교 전략에서는 실제로 이슬람을 향한 선교를 어떻게 진행되어 나타났는지를 설명하였다(Ch. IV). The christians approach to the mordern multicultural society is to be considered in these study.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cultural conflict in the 13th. century, because Christian culture and Islamic culture we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greatly then. Specially, I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gentiles in Thomas Aquinas’ Summa contra Gentiles as well as the missions-strategy of Reimundus Lullus. They showed well the christians approach in the context of cultural conflict. Most of all, I researched the definition of gentiles by Thomas Aquinas' umma contra Gentiles, then what his attitude about gentiles is, how he discuss with them, which Topics, etc. Thomas was divided into the two kinds of divine knowledge. The one is knowledge of God what can be known by natural reason, the other is knowledge of God that can only be known in the light of Christian revelation. Therefore, the former is pursued by means of reason, the latter does not depend on rational criteria. The judgement of knowledge is limited. In the case of the first. it is possible for us to discuss with gentiles. In the latter, we must be humble in the teaching of the Church. According to Reimusdus Lullus showed I the Missionsstrategy in the 13th. century. This revealed, how the people the gospel to the Muslims gave. Thomas Aquinas and Reimundus Lullus, both lived in a culture clash, but they were not hostile or closed. Rather with an open mind, they tried to talk with gentiles.

      • 기독교 문화유산과 시대적 의미

        정원래(Won-Rae Jeo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7 종교문화학보 Vol.14 No.-

        21세기에 한국에서도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은 크게 증대되었다. 기독교계 역시 자신들의 문화적 유산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비로소 시작했다.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은 몇 가지 목적과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기독교 문화가 지닌 역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기독교 문화유산을 신앙목적 혹은 다른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문화유산의 발굴, 보존 및 연구 등의 활동들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기독교 문화유산이 지닌 역사적 시대적인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첫째, 문화유산의 과거적 의미로서, 한국의 기독교문화유산은 기독교의 본질적인 신앙에 드러내고 그 신앙적 전통을 이어준다. 그리고 한국이라는 시간과 공간적 배경이 지닌 새로운 형식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둘째, 한국의 기독교문화유산은 현재의 신자들의 정체성을 밝히고 스스로를 이해하게 하며, “바른” 신학과 신앙에 참여함을 확인해준다. 셋째, 기독교적 문화유산은 인과관계에 종속적인 미래가 아니라 종말론적 의의와 가치를 제공한다. 신앙공동체들이 어떤 지향점을 지녀야 하는 지를 시사해 준다. 따라서 기독교 문화재의 발굴, 보존 및 연구 등에 많은 관심과 더불어 전문적인 노력들이 필수적이다.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has increased greatly. Christianity has also begun to study and care for their cultural heritage.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has several purposes and directions. There is a review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Christian culture, research to utilize Christian cultural heritage as a religious purpose or other resource, and discovering, preserving and studying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Christian cultural heritage. First, as a past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Korea's Christian cultural heritage is revealed to the essential faith of Christianity and maintains its religious tradition. And it is expressed through a new form with a time and space background of Korea. Second, Korean Christian cultural heritage identifies current believers' identities, makes them understand themselves, and confirms their participation in “right” theology and faith. Third, Christian cultural heritage provides eschatological significance and value, not a future dependent on causality. It suggests what faith communities should have. Therefore, professional efforts are essential along with much interest in the discovery, preservation and research of Christian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인간은 행복할 수 있는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의 관점에서

        정원래(박사) ( Won Rae Jeo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4 No.-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에 대한 구상(konzeption)은 당시의 철학적인 행복이해와 신학적인 행복이해로부터 발전되고 있다. 이때 철학적인 행복은 인간의 행위를 통해서 도달 가능한 그 무엇으로 표현되며, 신학적인 행복은 하나님의 은총을 통해서 주어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두 행복에 대한 구상에서 토마스는 행복의 이해를 위한 종합적인 안을 이끌어 낸다. 이 연구에서는 토마스의 행복의 구상과 관계하여 인간의 본성과 인간의 행위만을 고찰의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행복의 주제는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질 이해에 기초하고 있다. 즉 토마스에게서 인간은 이성적인 행위안에서 행복을 파악하고, 추구하고 또한 도달하는 존재로 이해된다. 나아가 토마스는 이러한 이성적 행위들에서 이 세상적이고, 불완전한 행복을 완전하고, 종말론적인 행복/하나님과 연결을 시키고 있다. 이 이성적 행위들은 현재, 지금에만 인간의 행위에 결정적인 뿐만 아니라, 종말론적 삶에서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인간 이성의 행위에 해당하는 지성과 의지의 행위가 하나님의 앎과 사랑으로 파악되는 까닭이다. 그리고 이러한 온전한 하나님의 앎과 사랑을 토마스는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토마스적 인간은 이 세상적인 행복에서뿐만 아니라 또한 종말론적인 행복에서 인간의 정체성과 인격성 그리고 자의식을 상실하지 않는다. 따라서 토마스적 인간은 여기서 지금 의미 있고 책임 있게 행동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를 넘어서 그는 영원한 행복에, 특별히 하나님에 대한 인식과 사랑에서, 참여할 수 있다. Es stellt fest, dass sich die Gluckskonzeption des Thomas von Aquin aus der philosophischen und der theologischen Gluckskonzeption entwickelt wurde. Dabei wird das philosophische Gluck als etwas durch die menschlichen Handeln Erreichbares bezeichnet, das theologische Gluck als das durch die Gnade Gottes Gegebene. Aus diesen beiden Gluckskonzeption hat Thomas von Aquin ein Synthese fur das Verstandnis des Glucks gezogen. In dieser Untersuchung handelt sich nur um die Natur des Menschen und um die menschlichen Tatigkeiten in Zusammenhang mit der Gluckskonzeption Thomas’. Das Thema des Gluckes besteht im Verstandnis des Menschen als die vernunftigen Wesen. Nach Thomas kann der Mensch auch in den vernunftigen Tatigkeiten das Gluck erfassen, erstreben und erreichen. Weiterhin hat er in diesen vernunftigen Tatigkeiten das diesseitigen, unvollkommenen Gluck auf das jenseitgen, vollkommenen Gluck/Gott beziehen. Darum konne der thomanische Mensch nicht nur im diesseitigen Gluck, sondern auch im jenseitigen Gluck seine Identitat, Personlichkeit und sein Selbstbewusstsein verlieren: Darum kann der thomanische Mensch hier und jetzt sinnvoll, verantwortlich handeln, zugleich damit und daruber hinaus konne er an der ewigen Gluckseligkeit teilhaben, besonderes in der Erkenntnis und Liebe Gottes. Durch solch ein Verstandnis fur Gluck und Mensch kann die Theologie uber die christliche Welt hinaus mit anderen Kultur, Religionen, Gesellschaften und Generation zur Diskussion stehen.

      • 종교개혁과 30년 전쟁

        정원래(Won Rae Jeong) 신학지남사 2018 신학지남 Vol.85 No.2

        In the sixteenth century, Protestant, Catholic, theologians and rulers all were obsessed with “great religious passions” regardless of their status. and they insisted that the confession of their faith should be carried through the world with force.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era was regarded as ‘nothing more important than the truth of God’ and all their political and personal ambitions were subordinated to that. Indeed, many large-scale conflicts in the Reformation era were a product of religious passions. Thus, the Reformation started with a religious enthusiasm. Reformers such as Luther, Zwingli, and Calvin, and even rebellious Reformers, were also excellent figures in their religious passion. Everything in this era was subordinated to religious zeal. But this religious enthusiasm inevitably led to conflicts. In particular, the Reformed and Roman Catholics conflicted directly in many regions. However, it was the Peace of Augsburg Treaty that temporarily restricted large-scale conflicts in Germany. The religious enthusiasm has been amplified, resulting in a massive war that the inner weaknesses of the Peace of Augsburg Treaty could no longer afford. The destructive war that took place over the course of three decades retreated the religious passion from almost every the public to the private. The era of the Reformation began with a religious enthusiasm, but it ended regretfully with religious indifference. It was the Treaty of Westphalia that symbolized this phenomenon. At the same time, the Treaty of Westphalia brought a new era: mod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