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적 학문으로서 신학의 성찰성에 관한 문화신학적 탐구

        정용택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2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has been a tradition of reflexive theology, which can be called ‘cultural theology’, opposing Max Weber, who denied the possibility of theology as a modern scholarship. According to Weber, active modern scholarship does not offer any questions or answers about the meaning of existence as a presupposition. He places Christian theology, which possesses miracle and revelation, as the opposite of modern scholarship, which possesses no such presuppositions in an active sense. He warns that if one conducts academic analysis using miracles and revelations, then the discipline will destroy these presuppositions. Ultimately, Weber argues that theology cannot form part of modern scholarship in a proper sense as long as its epistemological foundation is based on a transcendental field outside of modern science. However, unlike Weber’s critique, the theological tradition with an ‘academic nature’ of modern meaning has continued that lacks special theological presuppositions. As Weber noted, there is a flow of 'cultural theology' that distinguishes it from ‘church theology’ that draws its presuppositions from outside of scholarship and pursues the value of religious salvation, not academic value, using the name of scholarship. Of course, the distinction between church theology and cultural theology is not due to differences in the theme or object of the theology. Rather, the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m is revealed in the way of dealing with ‘text’ first, and in how the existence of the subject interpreting the text is positioned. In particular, cultural theology shares the paradox of reflection of all modern scholarship in that it has been placed under the compulsory conditions of reflection that must context itself as part of the text by accepting the context of the text that it deals with. In this way, theology too is a modern scholarship driven by reflective reason since it is confirmed that it possesses the logical reflective structures unique to modern scholarship as described by Weber’s definition of modern scholarship; that is, it has no independent reference, precept, or foundation as scholarship. 본 논문은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가능성을 부정했던 막스 베버에 반대하여, 문화신학이라 불릴 수 있는 성찰적 신학의 전통이 존재해왔음을 주장한다. 일단 베버 에 따르면, 적극적인 의미에서 근대 학문은 자신의 존재 의미에 대해 그 어떤 질문 이나 답변도 전제로서 갖고 있지 않다. 그는 이와 같이 적극적인 의미에서 전제를 갖지 않는다고 하는 근대의 일반적 학문의 대척점에 기적과 계시를 소유한 그리스도 교 신학을 위치시킨다. 그는 만일 기적과 계시를 가지고 학문적 작업을 한다면, 그때 그 학문은 자신의 전제를 스스로 어기는 꼴이 될 것이라 경고한다. 결국 베버는 그 것의 인식론적 토대를 근대적 과학 바깥의 초월적인 영역에다 두고 있는 한, 신학은 제대로 된 의미의 근대 학문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베버의 비판과 달리 근 대 이후의 신학에서도 특수한 전제들을 갖지 않는, 그래서 근대적 의미의 ‘학문 성’(Wissenschaftlichkeit)을 지닌 신학의 전통이 이어져 왔다. 베버가 비판한 대로, 학문 바깥에서 그 전제를 끌고 들어와서 학문적 가치가 아닌 종교적 구원의 가치를 학문의 이름으로 추구하는 ‘교회신학’(Theology of Church)과 구별되는 ‘문화신 학’(Cultural Theology/Theology of Culture)의 흐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물론 교회신학과 문화신학의 구분은 신학의 주제 혹은 대상의 종류를 달리하는 것에 따른 것은 아니다. 오히려 교회신학과 문화신학의 실질적 차이는 첫째, ‘텍스트’를 다루는 방식에서 드러나고, 둘째, 텍스트를 해석하는 주체의 존재를 위치짓는 방식에서 드러난다. 특히 문화신학은 자신이 다루는 텍스트의 컨텍스트성(contextuality)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신 역시 텍스트의 일부로서 자신을 컨텍스트화해야만 하는 성찰성(reflexivity) 의 강제적 조건 아래 놓이게 되어버렸다는 점에서, 모든 근대 학문이 지닌 성찰성의 역설을 공유한다. 이처럼 근대적 문화신학의 전통에서도 베버가 말했던 근대 학문 특 유의 성찰성의 논리 구조가 발견된다는 점, 즉 학문으로서의 자신에 대해 아무런 준 거도, 전제도, 토대도 갖고 있지 않다는 바로 그 사실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신학 역 시 성찰적 사유에 의해 추동되는 근대적 학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보편적 기본소득의 바울신학적 정당화: 참여소득 이론을 중심으로

        정용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auline theological ground which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ly reviewed in the biblical justification of basic income. This study examines the Pauline theological justification of basic income focusing on the concept of grace/gift.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xamples of grace/gift in Galatians and Romans is the paradoxical fact that Paul strongly suggests the nature of the gift as a reciprocal obligation by perfecting the incongruity of grace/gift on the one hand and emphasizing recipient’s duty to the giver of grace/gift on the other. If we want to justify Universal Basic Income, at least in terms of God’s grace and Christ-gift, based on Paul’s letter, we must first acknowledge that it is a unconditioned and incongruous gift, without any ‘preconditions’ such as qualification or asset-test, and regardless of the existing dominant income value system of wage labor. However, Universal Basic Income as Pauline theological grace/gift is not non-circular or unconditional in the sense that there are no ‘postconditions’ at all. To justify basic income as a grace/gift, basic income must be presented as unconditioned (as the common argument of Universal Basic Income) but not unconditional (as opposed to the argument of Unconditional Basic Incom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Participation Income scheme,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l of Conditional Basic Income instead of Unconditional Basic Income, as a form of Universal Basic Income with Pauline theological justifi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ditionality and reciprocity of Participation Income are exactly the same as the conceptualization of Pauline theological grace/gift. Paul, like other ancient authors, conceptualizes grace/gift as a term referring to sphere of voluntary conduct, personal relations characterized by goodwill in the giving of a benefit or favor, and uses it as a reciprocal return or moral duty that is necessary for the continuation of the relationship generally. To sum up, insofar as that we attempt to justify basic income with the logic of grace/gift, Participation Income is the legitimate form of basic income that best corresponds to God’s grace, which is unconditioned but not unconditional, or the normative conditionality and reciprocity of Christ-gif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기본소득을 성서적으로 정당화하는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불충분하게 검토되었던 바울신학적 근거를 모색하는 데있다. 본 연구는 기본소득의 바울신학적 정당성을 은혜/선물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런데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의 은혜/선물 용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바울이 한편으로는 은혜/선물의 비상응성을 극대화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은혜/선물의 수여자에 대한 수혜자의 책무를 강조함으로써 선물의 호혜적 의무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는 역설적인 사실이다. 보편적 기본소득을 적어도 바울서신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은혜이자 그리스도-선물의 관점에서 정당화하고자 한다면, 우선 그 은혜/선물이 자격 심사나 자산 조사와 같은 그 어떤 ‘사전 조건’도 없이 그리고 임금노동이라는 기존의 지배적인 소득의 가치체계와도 무관하게 주어진다는점에서 무제약적이고 비상응적인 선물임을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바울신학적인 은혜/선물로서의 보편적 기본소득은 ‘사후 조건’이 전혀 없다는의미에서 비순환적이거나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은혜/선물로서 기본소득을 정당화하려면 기본소득은 (보편적 기본소득론 일반의 공통적인주장대로) 무제약적이지만 (무조건적 기본소득론의 주장과는 달리) 무조건적이진 않은 것으로서 제시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무조건적 기본소득 대신에 조건적 기본소득의 대표적인 모델인 참여소득정책을 바울신학적 정당성을 지닌 보편적 기본소득의 한 형태로 제안한다. 본 연구의 관점에서, 참여소득의 조건성과 호혜성은 바울신학적 은혜/선물의 개념화와도 정확히 일치한다. 바울 역시 고대의 다른 저자들과마찬가지로 은혜/선물을 자발적인 행위의 영역, 즉 혜택이나 호의를 베풀때 선의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사적인 관계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개념화하면서, 그것을 일반적으로 그 관계의 지속에 필요한 호혜적인 답례 내지는 도덕적인 의무의 의미를 담아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기본소득을 은혜/선물의 논리로 정당화하고자 시도하는 한에서, 참여소득이야말로 무제약적이지만 무조건적이진 않은 하나님의 은혜 또는 그리스도-선물이 지니는 규범적 조건성 및 호혜성에 가장 부합하는 기본소득의정당한 형태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금융화 시대의 민중신학에 관한 시론적 연구 ― 안병무의 ‘가능성’(Möglichkeit) 개념을 중심으로

        정용택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9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to undertake the theoretical task of ‘Minjung theology in the age of financialization’ based on Ahn Byung-Mu’s theory of Minjung-Event. In particular, it engages with the achievements of Critical Finance Studies that have captured a negation of the future and an exacerbation of the valuation of the present in the logic of money and finance.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the possibility in Ahn Byung-Mu’s thought as a resource of theological critique of financial capitalism, a system that produces social suffering by destroying the sense of the future as a possibility. To this end, Chapter II first examines Ahn Byung-Mu’s argument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vents’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Minjung instead of defining the Minjung conceptually. Minjung and events have a synonymous relationship in Ahn Byung-Mu’s Minjung theology. Subsequently, Chapter III reveals that the uniqueness of Ahn Byung-Mu’s theory of Minjung-Event lies in the emphasis on the possibility of the Minjung’s self-transcendence and eschaton-like nature. Based on these points, this paper reconstructs the process in which Ahn ByungMu’s concept of possibility develops into an argument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self-transcendence of the Minjung through the Minjung theological turn. Chapter IV critically analyzes contemporary financial capitalism, which forcibly imposes the alienation of futurelessness, based on Ahn Byung-Mu’s concept of the future as the possibility. Here, it is confirmed that the current capitalism systematically destroys the sense of possibility through the financialization of everyday life. Chapter V, the conclusion, argues that in contrast to the horizon of the future or time determined by the logic of finance, Ahn Byung-Mu’s concept of the future as the possibility and his understanding of the Minjung as an entity capable of self-transcendence can be used as a category of critique that reveals the unique temporality of the Minjung-Event akin to volcanic lava in history that represents that which is already actual is but is present only as the ‘not yet’ of the actual. 이 글은 안병무의 민중사건론을 바탕으로 ‘금융화 시대의 민중신학’ 이라는 이론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특히 화폐와 금융의 논리에서 미래의 부정과 현재의 가치평가의 악화를 포착해온 비판적 금융연구의 성과들과 대화하는 가운데, 가능성으로서의 미래에 대한 감각을 파괴함으로써 사회적 고통을 생산하는 금융자본주의에 대한 신학적 비판의 자원으로 안병무의 ‘가능성’ 개념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우선제Ⅱ장에서는 민중을 개념적으로 정의하는 대신에 민중을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사건’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안병무의 논의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안병무 민중신학에서 민중과 사건이 동의어적 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어서 제Ⅲ장은 안병무의 민중사건론의 독특성이 민중의 자기초월 가능성과 종말성에 대한 강조에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논점에 기초하여 안병무의 가능성 개념이 민중신학적 전회를 통해 민중의 자기초월 가능성에 관한 논변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재구성한다. 제Ⅳ장은 앞서 살펴본 안병무의 가능성으로서의 미래 개념에 기초하여 미래없음의 소외를 강제하고 있는 현대의 금융자본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서 오늘날 자본주의가 일상생활의 금융화를 통해 가능성의 감각을 체계적으로 파괴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결론인 제Ⅴ장에서는 금융의 논리에 의해 결정된 미래나 시간의 지평과는 대조적으로 안병무의 가능성으로서의 미래 개념과 자기초월 가능한 존재로서의 민중에 대한 이해가 이미 현실적으로 존재하되 그 현실적인 것이 ‘아직 아님’의 상태로 현존함을 나타내는 역사 속의 화산맥으로서의 민중사건의 독특한 시간성을 드러내는 비판의 범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