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비교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양국의 핵심역량 정책 도입 과정과 국가 교육과정 구성 측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일본이 한국보다 교과 교육과정 구성에 더 많은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핵심역량으로서 ‘자질·능력’을 지식·기능, 사고력·판단력·표현력, 태도의 세 가지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 틀에 따라 교과 내용을 재구조화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이러한 구분과 재구조화는 역량 교육과정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나게 한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일본의 일반·범용적 역량이 모든 교과에 걸쳐 강조 또는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경우도 범교과 역량을 기반으로 총론의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by comparing core competency curricula in Korea and Japan. In Korea and Japan, policy studies on key competencies were conducted research institutes and reflected in their policies and national curriculum. The two countries maintained the entire curriculum framework. However, while Korea is presenting subject competency and skills, Japan has different goals and contents depending on i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In this regard, Japan has made more changes than Korea within the curriculum framework. Restructuring the subject contents according to their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such as Japan, needs to be reviewed. However, like Japan s general competency, Korea also needs to explore its cross-curricular competency.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학생 선택의 가능과 한계

        정영근(Jeong, YoungKeun),이광우(Lee, KwangWoo),이근호(Lee, Keun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고는 고등학교에 별도로 과정을 제시하지 않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전적으로 학교 자율로 두어져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학생의 진로·적성을 고려한 학생의 선택권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선택제 변용을 고찰하고 J고의 동아리활동 운영 사례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학생 선택의 가능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후기 중등교육 단계의 고등학생은 진로 정체성 확립에 고민하는 특성을 지녀 일부 제기되고 있는 학생의 방임적 선택 가능성 및 학습 계통성 문제보다는 학생에게 제공되는 선택 틀과 선택 절차에 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선택 틀과 선택 절차는 학생의 선택 행위를 제한하는 통제 기제로도 작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J고의 동아리활동 운영 사례에서 볼 때 학생은 선택 행위나 활동에 대해 그들의 향후 진로나 진학이라고 하는 기준으로 끊임없이 의미 부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학생 선택의 한계가 아니라 그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이고, 학생 선택의 한계는 제공되는 선택 틀과 절차에서 비롯되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본고는 선택의 틀과 절차 조정으로 그가 능성을 넓혀 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In Korea, the Revised 2009 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does not prescribe any course and subject as required and gives complete autonomy to each school in organizing its own curriculum. This makes the matter of school and student s choice an important issue in implementing school curriculum. In this context, we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student s choice in high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traced over time the changes regarding student s choice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carried out a case study of how J high school deals with the matter of student s choice in implementing club activities which is one of important areas of high school curriculum. After a careful analysi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e found out the most prominent problem concerning student s choice is not student indifference and inability in choosing his/her own curriculum. Rather, there are still many structural and procedural restricts that hinder student s choice, and thus student cannot freely exercise the rights to choose his/her own curriculum. We conclude that student s choice should be encouraged more and this can be possible when we remove those structural and procedural constraint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민용성(Min, YongSeong),이주연(Lee, Joo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고는 핵심역량을 둘러싼 정책적 논의와 틀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틀을 구안하여 핵심역량 교 육과정의 기본 구상과 골격, 반성적․비판적 견해를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의 골격은 「교과 역량-기능-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행능력으로 표현되는 ‘기능’은 내용 요소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성취기준에 반영되었으 며, 기능과 활동을 바탕으로 역량 수업과 역량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구도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지식의 배제가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데 머물지않고 학생의 생활 및 삶과 연결하여 지식을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오히려 교과의 본질을 더 잘 드러나게 함과 동시에 교과를 더 잘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접근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이 보다 발전적으로 제고되기 위해 교과의 틀이나 경계를 흔드는 것보다는 교과 교육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총론의 핵심역량을 범교과 학습과 결합시켜 일반적․범용적 역량으로서의 총론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되도록 모색할 필요가 있 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key competencies and to explore how key competency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nd what possibilities can be found. To this end, the study devis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2015 revised curriculum, while reviewing the reflective and critical views on the design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designed to reflect key competencies on the existing subject curriculum framework. The key competency curriculum consists of ‘subject competencies –skill –activit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identified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and skill and activiti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addition, the key competencies of General Guideline and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interrelated, but these two are not hierarchical relationships, or one is not included in the other.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 but it is meaningful in itself.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ossibilities of competency curriculum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subject curriculum and in cross-curricular themes.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박순경(Park, Soonky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 논의되어 온 교육내용 적정화를 교육과정 적합성의 의미와 관련시켜 재음미하고 적정화 방안을 밝혀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에서 교육과정 분야에서 적합성의 등장 배경 및 의미, 적합성과 적정화의 관계, 교육과정 개정사에서 보이는 적정화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 분야에서 적합성은 1960년대 말 미국에서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적합성 측면을 비판하고 학생의 요구 및 실생활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강조하면서 등장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제4차 교육과정 개정을 계기로 적합성 문제가 다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적정화 지침 내에 적합성 관련의 지침이 다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적정화를 기하는 데 교육내용 적합성을 고려한 적정화 구도를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교육내용 적정화는 단순히 내용의 양과 수준의 양적 문제에만 한정되지 않고 적합성의 관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도모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relevance[jukjunghwa] of contents in view point of relevance of curriculum.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research contents. First,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advent of matter of relevance in the area of curriculum are considered in the study. Second, the relation between relevance[jukjunghwa] and relevance[jukhapsung] in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is considered in the study. Third, this study considers the viewpoint of relevance[jukhapsung] and investigates its distinguishing marks based on the guidelines of relevance[jukjunghwa] in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ce[jukhapsung] in the area of curriculum appeared from criticizing the aspects of relevance[jukhapsung] in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and emphasizing contents suiting students' demands and their actual life in the end of 1960's. Thereafter the relevance[jukhapsung] has been treated as one of viewpoints considering relevance[jukhapsung] of curriculum in 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selection of its contents. The relevance[jukhapsung] appeared from the 4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Second, relevance[jukjunghwa] has been treated as a viewpoint adjusting the quantity and levels of contents since 4th national curriculum was revised. The matter of relevance[jukhapsung] was treated within the guideline of relevance[jukjunghwa] in 4th, 6th, and 7th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ird, this study suggests the framework of relevance[jukjunghwa] considering relevance[jukhapsung] of contents. Based on this framewo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ideline of relevance[jukjunghwa] of the revision of the 4th,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The matter relevance[jukhapsung] relating to learner, society, learning, objective, contents is indicated in the guideline of relevance[jukjunghwa] in 4th national curriculum. The matter relevance[jukhapsung], however, is of litter importance in the revision of the 5th national curriculum. The matter relevance[jukhapsung] is presented again in the revision of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partially. In conclusion, relevance[jukjunghwa] of contents should plan considering not only quantity and level of contents but also viewpoint of relevance[jukhapsung].

      • KCI등재

        초·중학교 교육과정 이수 기준의 도입 필요성 및 방향 탐색

        이승미 ( Seungmi Lee ),정영근 ( Youngkeun Je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1

        우리나라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50조와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등이 존재하지만, 특히 초·중학교에서 개개인의 학생이 학년/학교급의 교육과정을 이수했다는 기준으로서 무엇을 어떠한 수준으로 통과해야 하는지와 그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지원 방안이 미비하여 학년/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초·중학교에서 학생들의 학력 저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를 형성할 뿐 아니라 이에 근거한 공교육에의 의도적 소홀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 교육 현장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초·중학교 교육과정 도입 필요성 및 방향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한계를 보완한 교육과정 이수 기준의 도입과 이의 활용을 위하여 해당 학년/학교급에서의 학습 결손을 확인하고 이를 보정하여 다음 단계로 진급을 도모하는 ‘보정주의’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Korea has Article 50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which describes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However, for individual students to meet the criteria for completing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criteria for these standards should be passed, and the support measures are accordingly insufficient. As a result, as the grade/school level rises, it not only forms a structure in which students’ educational background degradation problems are likely to occur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ut also intentionally neglects public education based on thi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introducing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a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ordinary citizens through a survey.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two were proposed. First, standards of curriculum completion that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should be introduced. Seco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hould check students’ learning deficits at each grade/school level using the standards of curriculum completion and correct them to promote students to the next grade/school level.

      • KCI등재

        이동통신시장의 상호접속료 정책이 소득분위별 후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추환(Chuhwan Park),한성수(Sungsoo Han),정영근(Youngkeun Je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본 논문은 이동통신시장에서 상호접속료가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현재 상호접속료 정책은 사업자 전체를 규제하는 개별요율제와 함께 TD·BU모형을 혼합한 장기증분원가 체계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산정모형과 정책적 요인이 소비자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log선형함수를 이용한 소비자 후생의 측정과, 정책변수를 더미화 한 소비자 후생 결정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 후생은 2009년 기준으로 약 6조원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기준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다. 상호접속료의 하락은 소비자 후생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별요율제와 현재의 장기증분원가 체계는 소비자 후생과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책 프레임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market’s interconnection charge on consumer welfare between 2000 and 2010 by estimating price elasticity of demand with using log linear model and augmented Alexander et al(2000)’s model.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 welfare is about 6 trillion won in 2009 and an upward trend. In the 2nd analysis, the decline in interconnection charge raise consumer welfare but, asymmetric interconnection and current TD-BU LRIC system have negative(-) relation with consumer welfare. Hence we need to revise interconnection policy fr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