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순정만화의 젠더 전복 모티브에 나타난 앤드로지니 환상과 젠더화의 불만

        정승화(Joung Seung-Hwa)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순정만화에 자주 등장하는 남장여자, 남녀쌍둥이, 성전환, 소년애 등의 젠더 전복의 모티브가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한국에서 널리 읽힌 이케다 리요코의 <베르사이유의 장미>와 한국 순정만화의 대표적인 작가로 꼽히는 황미나, 강경옥, 이정애의 주요 작품을 분석한다. 이들 순정만화에 나타나는 젠더 전복의 모티브는 성적 주체로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갈등과 불안, 이원적 젠더 구조의 전복에 대한 욕망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순정만화에서 나타나는 젠더 전복 모티브가 여성의 앤드로지니 환상과 관련됨을 분석하였다. 정신분석에서 앤드로지니 환상은 어머니의 페니스의 결여를 부인함으로써 여자 아이가 그녀 자신의 결여를 부인하는 심리를 반영한다. 앤드로지니 환상은 여성의 열등성에 대한 부인과 이분법적 젠더체계에 대한 위반의 욕망을 내포하고 있다. 순정만화에서 젠더 정체성은 젠더 전복의 모티브를 통해 미결정되거나 전환가능한 것으로 재현된다. 이것은 여성의 성적 분화에 대한 거부와 비성적인 존재로 남아 있고자 하는 욕망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순정만화 장르가 사랑에 관한 서사라는 점에서 순정만화에 등장하는 젠더 전복의 드라마는 이분법적 젠더체계에 기반한 섹슈얼리티의 고정된 범주를 문제시한다. 성전환 등의 젠더 전복 모티브를 통해서, 성정체성 역시 불안정화되고 이성애나 동성애, 양성애 등의 고정된 성정체성으로 한정되지 않는 개방된 섹슈얼리티에 대한 추구의 욕망을 드러낸다. 야오이 장르는 젠더 전복의 모티브와 연속성을 갖는데, 여기서 젠더의 의미는 텍스트 내의 문법적 위치에 불과한 것으로 축소된다. 젠더 전복의 모티브에 익숙한 순정만화의 독자들은 젠더나 섹슈얼리티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누구와도 동일시 할 수 있는 앤드로지니 가상 공간을 만들어 낸다. 여성 독자들이 즐겨 읽는 순정만화에서 젠더를 문제시하고 그 경계를 교란시키는 젠더 전복 모티브가 주로 사용된다는 사실은 순정만화를 이분법적이고 위계화된 젠더 정체성에 대한 불만과 그 구조를 전복시키고자 하는 여성독자의 욕망에 관한 서사로 볼 수 있게 한다. Concerned about analyzing the meaning of gender reversal motives in girls' comics which have such characters as female transvestites, male-female twins, transsexuals, male homosexuals, etc. threatening gender dichotomy boundary, this article analyzes the main works by such those representative authors as Mina Hwang, Kyoung-ok Kang, and Joung-ae Leeng, including 〈Rose of Versailles〉 by a Japanese author, Ikeda Riyoko, which had popularity in Korean society. Gender reversal motives reveals conflicts, anxiety, and desire for reversal of gender dichotomy, experienced by girls in the process of growing to be gendered women and sexual subjects. In this article, gender reversal motives in girls comics is interpreted to show girls' fantasy of androgyny. Violation of gender dichotomy itself provides the core of enchantment of those stories to the characters in those works and its girl readers. Androgyny fantasy denying the mother's lack of penis reflects the psychology of girls denying their lack. Gender identity is represented to be undetermined or transformable through gender reversal motives in girls' comics, which can be analyzed to reveal the denial of gender differentiation and to express the desire to stay ungendered / asexual in girls' psychology. As girls' comics is the narratives of love and romance, girls desire for love can be read in gender reversal dramas of girls' comics. In gender reversal motives, girls' desire for love and sexuality goes beyond such sexual identities as heterosexuals, homosexuals, or bisexuals. The fact that girls' comics which girl readers read enthusiastically consists of gender reversal motives problematizing gender dichotomy and disturbing the boundary means that girls' comics are the narratives of girl readers' discontents of gender dichotomy and gender hierarchy and simultaneously the narratives to reverse those structures.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자살에 대한 사회적 책임론의 형성

        정승화 ( Seung Hwa Jo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6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자살에 관한 사회적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에서 근대 자살의 사회적 문제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식민지 시기 자살통계의 도입은 한 사회 전체의 자살자의 증가나 자살률의 문제로서 자살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식민지 시기 행정관료들은 자살의 증가를 문명의 진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나 복잡해지는 사회생활에 따른 어쩔 수 없는 희생으로 보는 시각이 강했다. 하지만 생활고로 인한 자살의 증가는 점차 심각한 사회문제로 논의되기 시작하였고 식민지 자본주의 경제구조와 급격한 사회변화와 연관된 문제적인 사회현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본 논문은 신문과 잡지에 실린 논설을 중심으로 식민지 시기 자살 담론에서 자살에 대한 사회적 책임론이 강하게 부상하였음을 발견하였고 이를 사회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 시기 자살담론을 사회진화론을 바탕을 한 민족주의 우파의 사회관, 사회주의적 사회관, 상호부조를 바탕으로 한 사회연대론적 사회관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사회관에 따른 자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자살에 대한 사회적 책임론은 사회연대의 윤리를 기반으로 타인의 고통과 절망에 공감하면서 동시에 자살의 원인이 되는 사회제도나 경제구조를 개혁하려는 실천적인 운동을 포괄하는 것이었다. 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의 자살에 대한 옹호론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강조는 생활고에 찌들고 장래에 대한 전망을 가질 수없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비판을 자살자에 대한 공감과 생존권에 대한 주장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This article p aid attention to how suicide became a social issu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iscourses of suicide in the colonial government official documents and colonial intellectuals`` discourses in the newspaper editorials and articles. Those discourses were categorized by view of society; the nationalist right wing``s view based on the social evolution theory, the socialist view and the social solidarist view based on the mutual-cooperation and sympathy for others. After the modern mass media like newspapers, magazines, novels, etc. and knowledge of statistics were introduced, suicide began to be said as a social problem not individuals``calamity. Colonial government officials regarded the increasing suicide rate as the natural outcome of intricate social life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context of the impoverishment of rural communities resulting in the exodus of peasant from agricultural area and the severe lack of food under the colonial economy, however, most intellectuals considered suicides to be caused by the miserable economic condition in that period. The nationalist right wing saw the suicidal as the losers i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suicide as an expression of personal immorality and cowardice and evasion from the national task. Confronting the nationalist view of suicide, socialist discourses criticized suicides as the outcome of socio-economic inequality. As another advocates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for suicides, social solidarists argued that suicides were the manifestation of national despariwhich most people experienced under the colonial oppression. In a lot of newspaper editorials, intellectuals lamented for suicidal accidents and urged the social reform as a means to decrease suicides. In the competition among those discourses, suicide was constructed as a social problem asking social responsibility for i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우정(友情)’이라는 심리전 : 1960년대 한국에서의 펜팔 운동에 관한 연구

        정승화 ( Joung Seung Hwa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81 No.-

        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에서 전개된 펜팔 운동이 각국 국민들의 사적 친밀성의 형성을 통해 냉전체제의 안보를 공고히 하려는 관심에서 추진된 캠페인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문화적 냉전의 맥락에서 펜팔 운동을 조명하고자 한다. 냉전 체제 하 미국은 자유진영의 수호자로서의 새로운 미국 정체성을 형성하고 미국적 가치와 미국적 생활 방식, 미국식 민주주의를 새로운 국제주의 시민성으로 구성해내면서 냉전 체제의 집단 안보를 구축하려는 문화정치적 기획을 추진하였다. 1960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한국 방문과 미국 친선우편배달부의 방문을 계기로 한국에서도 정부가 후원하는 펜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62년에는 국제친선우편배달부를 세계 각국에 파견하여 30만 통의 펜팔 편지를 전달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펜팔을 통한 ‘국제 친선’과 민간 교류의 활성화는 냉전 시기 미국의 대외정책의 기조로 강조되었던 활동이었고 미국 대통령들이 직접 펜팔에 참여할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한 활동이었다. 1960년대 한국에서 전개된 펜팔 운동은 미국의 냉전 문화정치학에 공명하면서 추진된 운동이었다. 펜팔은 5·16 쿠데타 이후 발전된 한국을 세계에 홍보하는 공보 활동의 한 수단으로 간주되었고 펜팔 편지쓰기는 민간외교관이라는 자부심을 심어주면서 민족주의적 주체성을 내면화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 펜팔을 통해 형성된 우정과 결연 관계를 통해 형성된 친밀한 감정이 국가 간의 관계에서의 우호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은 한국과 미국 양국의 정부가 공유한 외교적, 심리적 전략이었다. 펜팔 운동이 강조한 ‘민간 외교’ ‘국제 친선’ ‘자유진영의 연대’는 주권국가 간의 평등하고 우호적인 국제 관계를 상상하게 하였다. 이는 중심의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이라는 불균등한 관계에서 비롯된 긴장과 불만, 민족주의적 비판을 ‘우정’이 환기하는 평등의 감각을 통해 해소하려는 ‘우정의 심리전’ 프로젝트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a pen pal campaign launch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old War. It focuses on the 1960s South Korean pen pal campaign, which was sparked by attempts to reinforce the security of the Cold War 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private intimacy between citizens of different countries. Under the Cold War system, the US established a new American identity as guardians of the Free World and constructed a new international citizenship inspired by the American values and lifestyle and by an Americanized democracy. This served its cultural political agenda to build communal security in the Cold War system. The pen pal campaign launched in South Korea in the 1960s resonated with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Cold War in the US. The pen pal initiative was established as an information activity and was exploited to help citizens internalize their nationalistic subjectivity by giving them a sense of pride as civic ambassadors. The solidarity of the Free World through “non-government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friendly relations”, which was emphasized by the pen pal campaign, created the illusion of equal and friendly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sovereign states. The pen pal campaign can be summarized as “psychological warfare in the name of friendship” designed to resolve tensions and dissatisfactions, and to tame the nationalistic critics in the central US and peripheral South Korea through the sense of equality evoked by “friendship.”

      • KCI등재

        한국 근대 가족의 경계와 그림자 모성

        정승화(Joung, Seung Hwa)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3

        본 논문은 식모 또는 첩으로 살았던 여성의 구술생애사에 나타난 가족 관계 경험을 통해 한국 근대 가족의 경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모성 경험의 다양성을 토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남의집살이’라는 빈곤 여성의 삶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남의집살이’는 고용살이와 입주가정부처럼 고용계약을 통해 남의 집에 들어가 사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한국 근대사 속에서는 임금을 받지 않는 식모살이에서부터 애보기, 수양딸, 첩살이와 같이 남의 집에 들어가 가족원이 되거나 가족처럼 살지만 공식적인 가족의 지위를 갖지 못하고 그렇다고 고용관계도 아닌, 가족 관계의 그림자로서의 속성을 갖는 남의집살이가 많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식모에 관한 연구는 주로 여성노동의 관점에서 연구되었고 전근대적 신분관계의 연장인 하녀로서의 성격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가족과 함께 거주하며 친밀성을 형성하는 유사가족으로서의 성격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 연구가 거의 없다. 또한 유사 가족적 지위에서 의식주를 함께 하는 방식으로 존재했던 중하층 계급의 남의집살이와 식모살이의 경험, 그리고 비공식적 혼인관계에 놓여있던 빈곤 여성들의 노동 경험이나 가족 관계는 근대 가족 연구나 여성 노동 연구 모두에서 배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으로 인해 가족의 경계에서 친밀성과 여성의 노동,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거래되고 배치되는지에 관한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차원이 충분히 인식되기 어려웠다. 본 논문은 전후 한국 여성의 삶 속에서 남의집살이 경험은 식모살이와 비공식적 혼인관계가 구별되지 않는 하나의 연속체로서의 성격을 가짐을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여성의 가족 경험과 노동 경험은 매우 밀접하게 뒤얽혀있고 친밀성의 교환과 경제적 거래가 혼재되었다는 사실 그 자체가 빈곤층 여성의 가족 경험이자 노동 경험의 중요한 특성임을 조명하고자 한다. ‘그림자 모성’은 본 연구자가 고안한 분석적 개념으로, 첩이나 씨받이 등 비공식적 혼인관계를 포괄하여 한국 근대 핵가족의 경계 바깥에 존재했던 여성의 모성 경험의 비가시화를 지시하면서 동시에 모성 이데올로기 하에서 가려져 있던 빈곤한 여성들의 모성 경험과 노동 경험의 다층적 차원을 드러내기 위한 용어이다. This article raises a question of the boundary of modern families in South Korea and discusses the diversity of mother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woman who lived as a ‘maid-concubine’ on the boundary of family during the economic development period. By drawing an attention to the Kang’s oral history who was born in 1933 and has lived as a concubine or/and domestic helper,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 boundary between an institutional position and a noninstitutional position might be unclear in women’s experiences. They might be neither the serious member of the family nor the employee. They lived in the shadow, giving care work to support the modern family. I use the term “shadow mothering” in order to refer to the invisibility of extramarital women’s mothering and it is to uncover the diversity of low class women’s mothering beyond the ideological mothering in the normal family. By analyzing the narrative in the context of the purchase of intimacy, I argue that their position was the outcome of modern family’s strategies to mobilize women’s care labor as unpaid family labor force through the overlapped dimension of sexual contract and labor contract.

      • KCI등재

        치유적인 것은 정치적인가

        정승화(Joung, Seung Hwa)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1

        논문은 최근 널리 확산되고 있는 치유 문화가 발휘하는 정치적 효과를 비판하는 관점에서, 페미니즘 내부의 치유적 접근을 둘러싼 논쟁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치유 문화에 관한 비판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미국 사회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여성운동 제2 물결의 의식고양 운동과 여성주의 상담의 발달 과정에서 치유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을 둘러싸고 전개되어 온 논쟁에 주목하였다. 치유 산업이 확장되고 치유 담론이 개인의 고통을 설명하는 문화적인 해석과 세계관으로 확산되었을 때, 사회 문제는 개인의 문제이자 심리의 문제로 탈정치화된다. 본 논문은 치유 담론의 자장 안에 있는 여성주의 실천은 고통을 호소하는 여성 개인들의 심리적 내면에 집중함으로써, 여성주의 본래의 정치적 기획의 의미를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주장한다. From a perspective of criticizing the political effects of therapeutic culture which is spreading wide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ebates about therapeutic approaches in feminism. I explore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rapeutic culture and shed light on argumen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eutic and the political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raising movements and feminist therapy during second wave feminism in the U.S. When therapeutic industries are pervasive and therapeutic discourses dominate cultural interpretation and the world view, and explaining individuals’ suffering, social problems become depoliticized by being represented as individuals’ personal issues and psychological matters. This article argues that feminist practices in the reach of the therapeutic discourses focus on individual women’s psychological internal world and by doing this, are in danger of deteriorating the significance of feminism as a political project.

      • KCI등재

        ‘우정(友情)’이라는 심리전*

        정승화(Joung, Seung Hwa)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1 No.-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a pen pal campaign launch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old War. It focuses on the 1960s South Korean pen pal campaign, which was sparked by attempts to reinforce the security of the Cold War 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private intimacy between citizens of different countries. Under the Cold War system, the US established a new American identity as guardians of the Free World and constructed a new international citizenship inspired by the American values and lifestyle and by an Americanized democracy. This served its cultural political agenda to build communal security in the Cold War system. The pen pal campaign launched in South Korea in the 1960s resonated with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Cold War in the US. The pen pal initiative was established as an information activity and was exploited to help citizens internalize their nationalistic subjectivity by giving them a sense of pride as civic ambassadors. The solidarity of the Free World through “non-government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friendly relations”, which was emphasized by the pen pal campaign, created the illusion of equal and friendly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sovereign states. The pen pal campaign can be summarized as “psychological warfare in the name of friendship” designed to resolve tensions and dissatisfactions, and to tame the nationalistic critics in the central US and peripheral South Korea through the sense of equality evoked by “friendship.” 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에서 전개된 펜팔 운동이 각국 국민들의 사적 친밀성의 형성을 통해 냉전체제의 안보를 공고히 하려는 관심에서 추진된 캠페인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문화적 냉전의 맥락에서 펜팔 운동을 조명하고자 한다. 냉전 체제 하 미국은 자유진영의 수호자로서의 새로운 미국 정체성을 형성하고 미국적 가치와 미국적 생활 방식, 미국식 민주주의를 새로운 국제주의 시민성으로 구성해내면서 냉전 체제의 집단 안보를 구축하려는 문화정치적 기획을 추진 하였다. 1960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한국 방문과 미국 친선우편배달부의 방문을 계기로 한국에서도 정부가 후원하는 펜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62년에는 국제친선우편배달부를 세계 각국에 파견하여 30만 통의 펜팔 편지를 전달 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펜팔을 통한 ‘국제 친선’과 민간 교류의 활성화는 냉전 시기 미국의 대외정책의 기조로 강조되었던 활동이었고 미국 대통령들이 직접 펜팔에 참여할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한 활동이었다. 1960년대 한국에서 전개된 펜팔 운동은 미국의 냉전 문화정치학에 공명하면서 추진된 운동이었다. 펜팔은 5․16 쿠데타 이후 발전된 한국을 세계에 홍보하는 공보 활동의 한 수단으로 간주되었고 펜팔 편지쓰기는 민간외교관이라는 자부심을 심어주면서 민족주의적 주체성을 내면화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 펜팔을 통해 형성된 우정과 결연 관계를 통해 형성된 친밀한 감정이 국가 간의 관계에서의 우호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은 한국과 미국 양국의 정부가 공유한 외교적, 심리적 전략이었다. 펜팔 운동이 강조한 ‘민간 외교’ ‘국제 친선’ ‘자유진영의 연대’는 주권국가 간의 평등하고 우호적인 국제 관계를 상상하게 하였다. 이는 중심의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이라는 불균등한 관계에서 비롯된 긴장과 불만, 민족주의적 비판을 ‘우정’이 환기하는 평등의 감각을 통해 해소하려는 ‘우정의 심리전’ 프로젝트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개별 부처 브랜드가 정부신뢰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승화(Seung-Hwa Jou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개별 정부 부처를 브랜딩이 가능한 대상으로 인지하고, 중앙부처 브랜드 자산이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토대로 측정문항과 가설적 구성차원을 수립하고 중앙부처의 브랜드 자산이 궁극적으로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개별 중앙부처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수집한 측정문항을 정제하여, 요인분석한 결과인지도, 기능적 자산, 감성적 자산의 세가지 차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중앙부처의 인지도는 기능적 자산과 감성적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별 중앙부처의 기능적 자산과 감성적 자산은 개별 중앙부처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별 중앙부처 신뢰는 대통령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중앙부처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를 밝히고 실증 분석하여 객관적 비교가 가능한 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cognized a individual central department of the government as an object that can be branded. Therefore, it was studi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central department’s brand equity on the credibility of the government.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easurement items and hypothetical construc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n the impacts of the central department’s brand equity on the government’s credibility were assessed. To summarize, the measurement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ere refined to discover the components of the central department’s brand equity. The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firstly showed that brand equity is consisted of awareness, functional and emotional assets. Secondly, it was found that awareness level of the central depart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and emotional assets. Thirdly, functional and emotional assets of individual central department significantly affect the credibility of the central department. Lastly, the credibility of individual central departments positively influences the president’s credibility. This study has an importance in a sense that it defines the elements of central department’s brand equity, and provides a frame for an objective comparison.

      • KCI등재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와 지식권력의 재구성

        정승화 ( Seung Hwa Joung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科學 Vol.106 No.-

        The compilation of the encyclopedia is not the summation of knowledge but also functions to structure the knowledge system by selecting and relocating knowledge. This paper explores how the meaning of an encyclopedia and the value of knowledge have changed in the digital age where looking up the definition and the meaning of words through the online search-engine becomes common.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kipedia, as it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ts editing policies re-structures the knowledge production and its power. And it will examine the new type of the authority, i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system and the cooperative work structure of Wikipedia project. As it has the openness that everyone can participate in editing, Wikipedia is regarded as a more democratic knowledge production system. However, it has a certain hierarchy constructed with the group culture created by earlier participants. The group culture of collective intelligence often excludes ``new entrants``, women and the Third World, and, as a result, it tends to reproduce the male-centered western knowledge-power. Wikipedia criticizes the credentialism and the professionalism in that only experts have been qualified to produce the knowledge. But it does not criticize the powers re-embedded in the established knowledge-power. Rather, Wikipedia`s policies, such as the reliability, the verifiability, and the neutral perspective, tend to reproduce the power of the media organizations and the institutionalized knowledge based on the male dominant Western centrism, if we don``t pay attention to the gendered Western centrism. The knowledge-power operated i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Wikipedia is not critically scrutinized enough. As it is at risk of making the exclusion of the social minority invisible, gendered Western centrism in the knowledge-power within the digital encyclopedia needs to be more critically discussed.

      • 치과대학과 치의학전문대학원의 건강보험 관련 교육실태

        김진범(Jin-Bom Kim),정승화(Seung-Hwa Jeong),양정강(Joung-Kang Yang) 대한치과보험학회 2010 대한치과보험학회지 Vol.1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data for the strengthening of dentists" competency on the managemen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in Korea. Methods: Questionnaires designed by authors were distributed to eleven dental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of dentistry in December of 2007 year. Results: Exclusive educational subjects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are offered at seven among nine universities. Eight among nine universities open educational subjects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at grade 3 or 4. Five among nine universities educate educational subjects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6-8 hours and over. Universities opening exclusive educational subjects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or educating subjects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four 6-8 hours and over were estimated to educate the practical training related to the reimbursement claims for the patient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siderably. Nine among ten universities responded educational time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was insufficient. Conclusions: To enhance the operational competencies manag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exclusive educational subject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time rela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 KCI등재

        유튜브 정치·시사 채널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박상현(Sang-Hyun Park),김성훈(Sung-Hoon Kim),정승화(Seung-Hwa Jou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시사 채널의 이용 동기와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이다. 유튜브 정치 · 시사 채널의 정치 정보 습득을 이용과 충족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고, 이후 정치사회화의 인지-태도-행동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서울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정량 온라인조사를 진행하였다. 유튜브 정치 · 시사 채널의 이용 동기로는 ‘정치풍자의 오락성’, ‘심리적 안정’, ‘매체 편리성’, ‘정보 추구’의 4개 요인이 관찰되었다.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은 경로 분석을 진행하여 검증하였다. 유튜브 이용 동기 중 ‘매체편리성’과 ‘정보 추구’ 동기가 정치 지식 습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치 지식은 정치 관심과 정치효능감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정치 관심은 정치효능감 증가에 영향을 미쳤고, 정치효능감은 정치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실무적 함의를 각각 토론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motivations of using YouTube channels related to politics and its effects on political socializ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the political channels of YouTube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en, the effects of the variable factors which can influence the perception-attitude-action of political socializations were reviewed. To understand aforesaid aspect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ale and female adults between 20 to 50-year-old. There were four factors observed for the motivations of using YouTube channels of politics, which were ‘entertainment of political satire’, ‘mental stability’, ‘convenience of the media’, and ‘pursuit of information’. The impacts on political socialization were verified with path analysis. Among the various motivations of using YouTube channels, ‘convenience of the media’ and ‘pursuit of information’ were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ed the acquirement of political knowledges. Political knowledges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increasing people’s interest in politics, and their sense of political efficacy. Increased interest in politics led to higher level of sensing political efficacy, then higher political efficacy positively motivated people to participate in politic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