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20세기 전반 농민경영의 변동양상 - 영광 신씨가의 작인층을 중심으로 -

        정승진 (Seung Jin Chung) 경제사학회 1998 經濟史學 Vol.25 No.-

        본고는 19세기에 걸쳐 농업생산의 발전 · 농민경영의 성장이 확인된다고 하더라도 발전의 이면에는 기술적 한계성 및 지역적 특수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구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활용한 자료는 1830-1935년간 영광 신씨가의 추수기를 비롯한 농업경영관련문서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9세기 이래 거대한 陳田化 경향으로 인해 추정士地生産性은 19세기 전기간에 걸쳐 하락하는 장기추세가 확인된다는 점, 생산관계 차원에서 19세기 전기간에 걸쳐 균질적인 소농의 양산, 그들의 강고한 존속이 확인되고 있지만, 그 경영내부에서는 구조적 취약성이 심화되고 여기에 생산성의 하락이 결합됨으로써 농민경영은 한층 불안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1890년대 중반을 순환의 低點으로 하여 생산성이 상승하면서 농민경영의 안정화를 위한 기술적 조건이 마련되고 있고, 작인존속률의 상승, 그에 따른 경작기간의 장기화가 실현됨으로써 전기에 보았던 농민경영의 구조적 취약성은 해소되면서 결국 농민경영의 안정화가 성취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湖南 東津水利組合 사업의 전개과정 -지역 농민의 존재형태를 중심으로-

        정승진(Chung, Seung-Jin)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9

        동진수리조합은 1925년 舊碧骨堤의 관개구역을 중심으로 창설된 대규모 저수지형 수리조합이다. 사업구역인 湖南平野는 당시까지 만성적 한발 및 수해에 노출되어 있던 개발의 ‘한계지’였다. 1910년대에 걸쳐 수리조합의 기획과 실패를 반복하던 ‘조합설립운동’은 1920년대 들어서 주요 용수원인 雲巖堤와 유역변경식 導水터널, 發電설비 등을 갖춤으로써 조합창설의 결실을 보았다. 이는 조선 최대의 도작지대에서 ‘제국적’ 레벨의 선진 기술을 전시하는 효과를 발하고 있었다. 한편, 일본인 중심의 조합사업에 대해 조선인들은 대규모 수리조합반대운동으로 자신의 입장과 분노를 표출하였지만, 식민지지주제가 심화되는 가운데 오히려 소유분해의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당시 소작농이 농촌의 다수를 점했던 호남지역사회는 총독부에 의해 대대적으로 선전되었던 선진 기술문명과 극명한 대조를 연출하고 있었던 것이다. Dongjin Irrigation Association(DIA), established in 1925, was a product of a large-scale developmental project by Japanese colonizers and General Government of Korea(GGK). DIA is located in Honam Plains (湖南平野), the rice-basket of Korean Peninsula, Southern Korea. The plains (20,000 ha.) had suffered from periodical natural disaster such as drought or flood damage. In the process of installation construction in 1925~28, DIA introduced a high-level scientific technology (especially, civil-engineering) in order to construct a large-scale reservoir, as a new water resource. GGK and newspaper in those days boastfully advertised the large-scale, high-tech irrigation & electric power facilities, however, Korean members of DIA burst frustration and violently demonstrated against the policy of DIA because of heavy association fees (組合費). After the early project was completed, land-holding of Korean members was growing frittered off in area of association. It was an inevitable result of colonial land-lord system in the first half of 1930s, the Great Depression.

      • KCI등재

        실패한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鄭勝振(Chung Seung-Jin)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59

        벽골제, 눌제와 함께 湖南의 3대 저수지로 알려진 益山의 黃登堤는, 조선의 ‘水利王’ 藤井寬太郞에 의해 臨益水利組合(1909년)의 주요 용수원으로 復舊·改修되었다. 그러나 사실상 신설된 황등지는 改修20여 년 만에 廢堤化되고, 이에 대한 대체 水源으로서 만경강 상류(高山川)에 庚川貯水池가 신축되었다. 결국 1930년대 중반 경천지(築設)에 의해 식민초기 황등지의 복구공사는 실패한 프로젝트로 판명되었다. 이 실패사례는 거액의 설치사업비가 소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平底型 貯水池’로서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과 동시에, 초기의 설치공사가 지역의 자연지리적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모험적이고도 무리한 사업이었음을 실증한다. 거시적으로 보면, 1920년대 益沃水組에 의한 大雅池(대간선수로)의 축설과 1941년 全北水組의 합병·창설이라는 일련의 대규모 사업이, 황등제 改修를 둘러싼 이같은 실패를 은폐했던 것이다. 황등제를 포함한 임익수리조합 연구는 韓國水利史에서 대규모 저수지형 수리조합의 嚆矢라는 추가적 사례를 축적하고 있다. 이 사례는 이후 익옥(1920), 동진(1925), 전북(1941)수리조합의 모델 케이스로서 식민지 지역사회에 대대적으로 전시·선전되었다. 특히, 재래 제언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저수지형 수조라는 유형론적 특질은 향후 한국 현대 수리·관개에서도 지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 요소와 근대(식민지)의 변화상을 결합하는 문제, 지난 100년간 수리관개의 근현대적 전개를 평가하는 문제 등은 향후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This paper brings light on the formation of the Imik Irrigation Association(臨益水利組合, hereafter IIA), through the repair work of Hwangdeung-je Reservoir(黃登堤) on and after the making process of Gyeongcheon-je Reservpot(庚川堤). This paper also exposes the secret of a colonial project in the context of Edward Said. The repair work of Hwangdeung-je Reservoir, actually the establishment of a huge reservoir, was the first case in Modern Korean Irrigation History as a large-scale project. In Honam Plains, so-called rice basket in Korea, it displayed a model case in colonial developmental history. In 1909, IIA was established by a ‘famous’ Japanese colonizer, Gantaro Huzii(藤井寬太郞). Although he invested huge capital in the early stage of irrigation project, surprisingly, he decided to close the repaired reservoir[黃登堤] in the middle 1930s, to establish a new reservoir as an alternative in the upper region of the Mangyeong-gang River(萬頃江). This fact directly shows the failure of large-scale developmental project in the colonial period. At that time a chain of irrigation projects in the valley of Mangyeong-gang River had concealed the failure of the Hwangdeung-je Reservoir Project.

      • KCI등재

        전통적 수리(水利)시설의 근대적 변동양상 ― 한탄강수계(漢灘江水系) 철원(鐵原)ㆍ연천(漣川)지구의 사례

        정승진 ( Chung¸ Seung-jin ) 수선사학회 2021 史林 Vol.- No.77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odern reorganization process of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such like Bo(洑) and Zeon(堤堰) in the modern transitory period, Korea rural. Zeon is a kind of reservoir, and Bo is an irrigation canal from the river-bank. In the perspectives of local society history, these traditional facilities in Cheorwon(鐵原) and Yeoncheon(漣川) county, Hantangang-river(漢灘江) valley, had continued long-term existence in the transitory period, colonial period. The case of Bo(洑) shows these characteristics well. This remarkable facts displays long-term sustainability of local irrigation community in a peasant community. Especially, historical materials in Joongang Irrigation Association(中央水利組合) of Cheorwon county present a lots of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upstream of the Hantangang-river. This case study brings light on the research of close corporate community in context of East Asian studies.

      • KCI등재

        20세기 임진(臨津)·한탄강(漢灘江)유역 수리(水利)·경지(耕地)실태의 장기변동-한수이북(漢水以北) 연천(漣川)지역을 중심으로-

        정승진 ( Chung¸ Seung-ji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 No.82

        예부터 한강(漢江) 이북(以北)의 기호지방(畿湖地方)을 일컫는 한수이북(漢水以北) 일대는 주요 하천인 임진강(臨津江)과 지류인 한탄강(漢灘江)을 중심으로 지역농민의 구체적 삶이 영위되었다. 태백산맥에서 발원한 상기 두 ‘물길’(水系)을 따라 사람들의 살림살이가 번성하고, ‘땅길’(도로), ‘철(도)길’이 열리며 동질적인 생활권이 유지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반도의 중심에서 임진·한탄강이 합류하는 연천군(漣川郡)은 휴전선을 배경으로 식민지의 유산과 남북분단이라는 격동의 한국사를 표상한다. 여기서는 ‘장기’의 20세기에 걸쳐 농촌사회의 저류에 흐르는 치수(治水) 및 수리(水利) 문제에 대해서 단순히 지역·환경을 규정하는 ‘무대배경’으로서가 아니라 농민들의 실재적 삶을 지탱하는 주요한 설명변수로 취급하는 가운데, ‘물길’이 초래한 농민사회의 구체적 생활터전 즉, 경지의 질적 상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Yeoncheon (漣川) County,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 major transportation point that the Japanese imperialists put great geopolitical importance on and in which they established the Kyeongwon Railroad (京元線) in 1914. After that, Yeoncheon had enjoyed its fame as a national networ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with Wonsan Port. However, Yeoncheon County had fallen behind other regions after the Korea War (1950-53), and couldn’t help but experience a so-called ‘geographical vacuum’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Especially, the farmland and irrigation condition of Yeoncheon was devastated in the Imjin & Hantan River Basin. The population had also declined in the 1950s. In the present state of the military tens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Yeoncheon will be per se a local representation symbolizing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like Cheorwon County. This paper has examined that, if we can penetrate through the blocked waterway and railway in Yeoncheon and Cheorwon, we can finally look for the passage to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 KCI등재

        호남(湖南)지역사회 속의 동진수리조합(東津水利組合) -장기사적 관점에서의 연구서설

        정승진 ( Seung Jin Ch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4 No.-

        이 글은 호남평야라는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또 碧骨堤가 상징하는 장기사적 관점에서, 동진강 일대 농촌사회의 변동과정을 수리·관개 사업을 통해 개관하려는 연구시론이다. 여기서는 한국의 고대 도작문명을 대표하는 벽골제와 근대 식민지기에 탄생한 東津水利組合의 장기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호남평야의 농촌·농업변동에 관한 본격적인 사례연구를 촉구하려는 것이다. 사례 대상인 동진수리조합은 1925년 구래 벽골제의 관개구역을 중심으로 창설된 대규모 저수지형 수리조합이다. 특히, 동진수조의 주요 용수원인 운암제는 유역변경식 導水터널과 發電설비를 갖춘 다목적 댐으로서 조선총독부에 의해 지역개발의 상징으로 ‘제국’ 전역에 대대적으로 선전되었다. This paper is the preliminary research on the dynamic change of Korean rural society, especially through the large scale irrigation project in the Honam Plain(湖南平野), in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society, as well as the long-term history. Taking a general view of the Byeokgol-je Reservoir(碧骨堤), the representative of the oldest Korean rice civilization, and thereafter Dongjin Irrigation Association (DIA, 東津水利組合), the so-called model case of general government of Korea(朝鮮總督府) in the colonial period, I would recommend it the serious attention of a fullfledged case-study of DIA regarding the irrigation system in the Dongjin-gang River Valley of the Honam Plain, the rice basket of Korea as well as the so-called ``treasure of Choson(朝鮮)``.

      • KCI등재

        근대동아시아 규율권력의 지방침투와 제국의 관변단체 ― 일본(日本)의 지방개량운동(地方改良運動)(1900~1918)을 중심으로

        정승진 ( Chung Seung-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2 No.-

        1868년 明治維新을 통해 근대국가로 전신한 日本은 1888년 市町村制, 1889년(明治憲法公布) 府縣郡制를 통해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를 완비한 후 부국강병과 실력양성의 기치 아래 地方改良運動(1900~1918)을 전개하였다. 淸日戰爭(1894)을 거쳐 러일전쟁(1904~1905)을 경과하는 전환기의 길목에서, 러일전쟁의 전후 공황대책으로 同운동이 착수되었음은, 신흥 제국을 표방한 일본 ‘內地’에서뿐 아니라 주변 동아시아 식민지(지역사회)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제국의 內實을 다지는 지방의 경제사업을 넘어 국가(內務省)가 주도한 농촌의 정신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이었다. 同운동은 農會나 産業組合과 같은 지역 단위의 실행단체를 통해 농촌의 부흥과 지방자치를 추구하였다. 특히, 구래 무라[村]공동체의 근대적 전신형태인 模範村[自治村落]은 당시 다양한 관변단체의 기초 조직으로 기능하며 同운동의 정신운동적 측면을 극단적으로 표출했다. ‘內地’에서의 同운동은 러일전쟁 직후 日人植民者를 매개로 조선에 비공식적으로 이식·도입되었고, 이후 1930년대 農村振興運動(1932~1940)을 통해 정책적 레벨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와 같은 제국 ‘내지’와 식민지(지역사회) 사이에 연출된 관변운동은 일제의 지배정책이 궁극적으로 同化主義에 기초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제 규율권력의 정책 목표는 직접 식민통치 하 農會나 産業組合과 같은 다양한 관변단체를 통해 식민지의 ‘民度’를 ‘내지’의 수준으로 끌어올려 物心兩面에서 ‘日鮮間融和’를 완성하려는 것이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ot of 'pro-government' spirit movement in the modern East Asia. In context of East Asian Studies, the problem brings light on causes of contemporary authoritarian regimes in Korea, Taiwan, and Japan. Meiji Japan, a newly-rising imperial state, established so-called Local Improvement Movement (LIM) in order to develop the rural society immediately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reafter, transplanted LIM into underdeveloped colonial society. In the case of Colonial Korea, Japanese-style LIM gave birth to Rural Improvement Movement (RIM, 1932~1940), eventually influenced the launching of Saemaeul-undong (New Village Movement, 1970s). LIM, from the early stage, claimed to advocate the spirit movement as well as the rural improvement (=economic project), hereby set their sights on establishment of model village, so-called autonomous village (自治村落) in local society. In the process, as an agent of LIM, many various subsidiaries appeared at that time, for example, Agricultural Society (農會), Financial Association (産業組合), Agricultural Cooperatives, etc. These Japanese-style 'pro- government' subsidiaries ultimately aimed for the local penetration of imperial discip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