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군정 참여 미국선교사ㆍ관련 인사들의 활동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안종철(An Jong-Chol),정병준(토론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0 No.-

        이 논문은 해방 직후 미군정에 참여한 선교사 및 관련인사들의 입장과 활동을 다루었다. 전후에 선교사 혹은 자녀들은 미군정 측이 한국 통치를 위해 가장 주목한 집단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19세기 말부터 한국의 의료와 교육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고 한국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축적한 유일한 집단이었기 때문이다. 해방 후 이들은 우선 한국에 군정관리와 자문관으로 입국해서 미군정에서 활동했다. 선교사 관련 인사들은 태평양전쟁기에 미국정부의 대일전 수행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고 한국에서 선교사업과 ‘민주주의’의 확립을 같은 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군정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그러나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남한에 선교사들이 공식적으로 입국하기 시작한 것은 남한주둔 미전술군의 감축과 물가안정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이후였다. 한국에 1946년 초부터 입국하기 시작한 선교사들은 대체로 1947년 말부터 1948년 초에 걸쳐서 선교부를 다시 구축했다. 선교사들 중 가장 중요한 교파는 북장로교 측이었는데 귀환한 이들 중 상당수는 대체로 식민지 시기 신사참배문제에 대해 당국에 협조적인 인물들이었다. 특히 H. H. 언더우드는 선교사들의 귀국을 돕고 선교부 재산을 다시 찾을 수 있게 해준 가장 중요한 인사였다. 새로운 환경 속에서 북장로교 측은 교회, 학교, 병원 등에 대한 재정지원을 통해 한국 개신교계에 대한 영향력을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미군정과 우호적인 관계에 있었고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대해 우호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미군정에 참여했던 H. H. 언더우드와 J. E. 피셔이다. 아울러 이승만의 오랜 친구 H. B. 헐버트는 대한민국의 탄생을 가장 열렬히 환영했다. 선교사들 중 미군정과 남한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 인사들도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해방 전 YMCA에서 활동한 A. C. 번스와 숭실전문학교 교장 아들인 G. M. 맥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해방 전후로 미 국무부에서 활동했고 미국 대학의 교수를 역임했다. 물론 이들은 남한의 개혁이 소련과 북한에 대비되는 더 건강한 반공체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한편 이승만을 수반으로 하는 신생 대한민국 정부는 선교사들의 활동에 우호적인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했다. 선교사들에 대한 훈장수여, 국장 수준의 장례 등은 그 단적인 예이다. 선교사들과 정부의 우호적 관계는 이승만을 수반으로 하는 신생 공화국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This article deals with American missionaries’ activities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JIK) just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 The USAMGIK noticed the importance of this group in liberated Korea given the fact that they had worked in the realm of education, medicine, etc in Korea since the late 19th century. Some former missionaries or their children participated as officers or advisors in the USAMGIK as they collaborated with the U. S. government in the war aims against Japan during the Pacific War. Due to colonial experience, they also thought that Christianity and ‘Democracy' were not two different entities. Since there were physical difficulties in securing their return, only after a number of military members left and the economic stability, missionaries were able to come back to their former mission field. As missionaries had appeared since early 1946. they reestablished their missions around late 1947 and early 1948. The most important denomination was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CUSA) and most returning members were ones who had tried to cooperate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in terms of Shinto Shrine worship issue. Horace. H. Underwood was the key figure in that he helped the return of missionaries while securing mission properties. Under the new circumstances, PCUSA revived its influence through the financial aid to churches, schools, and hospitals, etc. Most missionaries preserved positive views on the birth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presentative persons were H. H. Underwood and J. Ernest Fisher who joined the USAMGIK. Also, Homer B. Hulbert was an ardent supporter of the new Republic. Some persons with missionary background such as Arthur C. Bunce and George M. McCune, both State Department officials and university professors, showed critical attitudes towards the ROK as well as the USAMGIK. They argued that only the meaningful social reforms would brought more healthy regime to Korean peninsula with anti-Communistic tone. The ROK with the president Syngman Rhee tried to mak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missionary activities. Medal awarding and state-level funerals for the deceased missionaries were a few exampl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aries and the ROK shed some light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Re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