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봉농악의 계보학적 해독과 풍물굿 전승론

        전지영 ( Jeon Jiyoung ) 한국음악사학회 2018 韓國音樂史學報 Vol.61 No.-

        It has been argued that the transmission of P'ilbong Nong'ak 필봉농악 in terms of genealogy would be clear. Several essays have showed that genealogical record of p’ilbong nong’ak should be a transmission of Chon P’an-i 전판이 - Yi Hwa-ch'un 이화춘 - Pak Hak-sam 박학삼 - Song Chu-ho 송주호 - Yang Sun-yong 양순용 - Yang Chin-song 양진성. What would we derive from this genealogical schematization? Can we know better about the P'ilbong Nong'ak through this genealogy? The transmission is not technical lessons itself but ecological response to the techniques. It can be argued that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heritage is a kind of historical constructing process, rather than technical lessons or genealogical schematization. What is the ‘historical transmission’? It is a process for meaningful valuation on the basis of ‘the ecological present’. It is not a ‘term of the past’ but ‘term of the present’. The historical p'ungmulgut 풍물굿, i.e. nongak, transmission is a kind of integrated concept of lives, values, introspection of ‘the present’, rather than a line-drawing among authoritative art technicians. The transmission should be a planning for life and self-examination for activity direction.

      • KCI등재

        지역문화유산과 축제기획의 문제 인식

        전지영 ( Jeon Jiyoung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지역문화유산과 축제에 관한 보고서와 논설들에서 제시해온 축제전략이나 해결책은 축제기획상의 성공전략에 해당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역사의 단절을 겪고 거대한 사회변동을 겪은 한국 근현대사의 결과 역사적 연속성을 갖고 지역문화축제로 성장할 수 있는 콘텐츠는 현실적으로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축제의 원론을 제시하는 논설에서 모델로 제시하는 일본이나 프랑스의 마을축제는 한국의 현실과 거리가 먼 탁상공론에 해당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런 축제기획을 통해 원론적ㆍ본질적 축제의 장을 지향한다는 암묵적인 대의가 현실적인 축제기획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지역문화축제를 축제기획을 통한 ‘기획축제’와 본질로서의 ‘제의축제’로 구분하고, 양자의 괴리에 대한 현실적 지점을 논의하였다. 현실적으로 ‘기획’에서 ‘제의’로의 진입에 성공한 사례도 없고 성공을 위해서는 오랜 시간을 요하는 것임에도, 여전히 양자의 연결구가 미구(未久)에 열린 수 있다는 희망은 축제기획의 현실을 흐리는 위선일 수도 있다. Most of the strategies and solutions that have been suggested in reports and essay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cultural heritage and festivals are success strategies for festival planning. Due to the break in history and the modern history of Korea, which has undergone a huge social change, the contents that can grow into a local cultural festival with historical continuity are not sufficient in reality. For this reason, village festivals in Japan and France correspond to models far from reality in Korea. However, the purpose of pursuing a ritual festival through such ‘festival planning’ is an important part of festival planning today. In this paper, regional cultural festivals are divided into 'planned festivals' and 'ritual festival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discussed. In reality, there is no case of successful entry from 'planning' to 'ritual', and it takes a long time to succeed. Nevertheless, the hop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uld be opened soon is a hypocrisy that blurs the reality of festival planning.

      • KCI등재

        일반논문 : 국악교육의 본질과 한계에 관한 성찰

        전지영 ( Jiyoung J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국악교육은 국악에 대한 교육이며, 현실적으로 음악교육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창의성과 인성 교육의 측면에서 오늘날 국악교육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비판적 성찰이 요구된다. 국악교육의 출발점은 국악에 대한 개념에 있다. 하지만 오늘날 유통되는 국악이라는 용어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형성된 하나의 ``발명품``에 해당한다. 일제식 순응교육의 잔재가 이어진 채 그것이 국가주의ㆍ권위주의와 결합된 형태로 국악교육은 형성되었고,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삶과 예술에 대한 성찰보다는 당위적ㆍ권위적 학습구조와 작품중심주의적 한계에 빠져있었으며, 미래지향적 민족음악 교육이기보다는 대한민국이라는 지역적 한계에 갇힌 교육체계에 그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동안 국가주의적 국악교육은 있어왔지만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의미를 성찰하는 예술로서 국악교육은 존재하지 않았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그동안 국악교육의 진정성은 추구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국악교육은 지금과 같은 현상의 유지로는 시대성을 획득할 수 없으며, 그 건강성도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다. 국악교육이 여태까지의 한계를 딛고 교육적 진정성을 획득하는 길은 ``권력에서 기층으로, 국가주의에서 민족음악으로, 작품중심에서 삶 중심으로``의 변화를 시도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국악교육을 참된 ``음악교육``으로 진입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Currently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about Gugak education are almost related to phenomenal and technical aspects such as curriculum, textbook analysis, teaching method, etc. Though Gugak education as a meaning of educating Gugak(Korean traditional music) can be established on the definition of Gugak, it is still controversial in its historical and conceptional sense. In that the meaning of Gugak is ``controversial`` when Gugak education is ``progressing``, the introspection about the essential problems of Gugak education including its concept and existence value should be raised. The Gugak as a term distributed in contemporary south korea was an ``invention`` form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n government, which was related to nationalism and authoritarianism. It has adhered to technique-centered and work-centered viewpoint rather than humanity and art in essential meaning. It can be argued that the Gugak education as a human and social truth could not have existed, in that the Gugak education so far has been a nationalistic education. The normative line of Gugak education should start at the change ``from power to substratum``, ``from nationalism to people``, and ``from work-centered viewpoint to human life``. The current Gugak education system cannot reflect the spirit of the times and healthiness of the era.

      • KCI등재

        청소년의 감정조절전략이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전지영(Jiyoung Jeon),조성제(Sung-j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울산시 청소년 1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 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인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은 정서적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 중심 전략 요인은 정서적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감정 조절 전략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 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인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은 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 중심 전략 요인은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정 중심 전략 요인이 높을수록 정서적 불안정성과 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과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dolescents’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on emotional instability and stress. Study subjects included 124 adolescents from Ulsan cit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dolescents’ emotion control strategies on job burnout, it was found that emotion-centered strategy, a sub-factor of emotion control strateg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instabilit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cognitive-oriented strategy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motional inst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motion control strategies on stress, it was found that emotion-centered strategies, a sub-factor of emotion control strategy,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stres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cognitive-oriented strategy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tress. These results imply that higher emotion-centered strategies lead to lower emotional instability and stres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preparing plans to reduce the emotional instability and stress of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음악과 민족담론

        전지영 ( Jeon Jiyoung ) 한국음악사학회 2019 한국음악사학보 Vol.63 No.-

        오늘날 일제강점기는 전통예술에 있어 민족주의 차원 시련극복의 시대로 기억되고 있다. 우리는 그 시대를 이들의 활동을 정리할 때 민족문화의 수호자나 민족정체성을 위한 투사로 이해하고자 하는 욕망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런 민족주의 의식은 일제강점기보다 해방과 정부수립 이후 보다 강화되고 구체화된 것으로 보인다. 해방과 정부수립 이후 일제강점기에 대한 기억은 민족주의 투쟁사의 차원으로 새롭게 ‘구성’되고 구축되었으며, 그 구성과 구축의 기획은 국민국가 수립 정당성과 구획된 국가공동체 의식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조선음악 활동은 ‘민족문화를 위한 저항적 활동’으로 재해석되었으며, 그것은 일종의 국가에 의한 이념적 ‘발명’작업임과 동시에 지배질서를 위한 기억재편의 역사이기도 했다. 그 영향은 지금까지 남아있으며, 지금도 ‘국악을 하는 것이 곧 민족의 역사와 정통성을 수호하는 일’이라는 논리적 연결고리가 없는 이데올로기 단층이 공고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1910-1945) has been remembered as an era of overcoming ethnic national hardships, and we would like to understand that period musicians as the ‘national culture defenders’ or fighters for national identity. However, this kind of nationalism had been intensified after independence and government formation, rather t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memories of Japanese occupation period had been restructured and reinterpreted as a perspective of nationalistic liberation, the aim of which was justification of government formation and ethnic community spirit uplift. It was a kind of invention of tradition, which was the history of reorganizing memories for ideological nationalism. In consequence, there is a cultural custom that traditional music play itself should be a task for protecting national history and identity, which might be an ideological fault lacking of logical validity.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무형유산 ‘전승’ 논의

        전지영 ( Jeon Jiyoung ) 한국음악사학회 2019 한국음악사학보 Vol.62 No.-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예술적 상황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며, 향후 예술분야에 있어서도 기능적 차원이나 지식적 측면에서는 인공지능이 상당부분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는 무형유산 분야에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인공지능이나 4차 산업혁명이 기술차원의 영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회적 삶을 규정하고 지배하는 자본과 권력질서 차원에서 조망되고 비판되어야 한다. 그렇듯이 인공지능 시대의 무형유산 역시 기예능 차원의 전승 논의가 아니라 기성 전승질서의 권력적ㆍ이데올로기적 함정을 넘어서 새로운 개념규정과 의미맥락을 구축해야 할 대상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생태적ㆍ유기적 삶의 역사적 맥락에서는 무형유산의 ‘전승’이라는 인위적 개념의 인공호흡기가 불필요하듯, 향후 무형유산에 있어 ‘전승’은 윤리적 차원의 기표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제도와 권력에 의해 규정된 정태적 의미 장(場)을 비판하고 생태적 삶을 위한 ‘기획’으로 전승은 새롭게 담론화되어야 한다. There have been various arguments about the new arts paradigm upon the era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ny of them have predicted that the aspects of technique and knowledge in arts will replace humans. It is important that the signifier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ules not only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the capitalistic system and dominant order of society. The ‘transmiss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regarded as a term for technical point of view, but on the era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t should be reconstructed or re-signified. In the ecological and organic contexts of life, the term ‘transmission’ may not be necessary. The transmission inevitably has the artificial and compulsory point of view about cultural heritage. It can be argued that we should re-form the signifier ‘transmission’ upon the ethical and ecological point of view. We should aim for the era that the artificial and compulsory term of ‘transmission’ disappears. The ‘re-formation’ of transmission will be possible where we discourse it upon the ‘planning’ point of view for the ecological lif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아악의 의미왜곡과 고악론 검토

        전지영 ( Jeon Jiyoung )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8 No.-

        일제가 조선아악을 설명할 때 ‘세계 유례가 없는 고악(古樂)으로 동양의 자랑’이라는 식의 표현을 썼다. ‘조선음악 고악론’으로 명명할 수 있는 이런 논리는 일제가 지속적으로 언급했다는 점에서 일제의 식민통치 논리의 한 부분이다. 그것은 조선아악에 대한 진정한 존중감의 표현이 아니라 내선융화와 일선동조, 정체사관을 위해 개발된 논리였다. 낡고 진화되지 않은 조선의 이미지화 작업을 위해 조선아악이 동원된 것이었다. 아악부는 결과론적으로 조선아악 전승의 역할을 수행했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식민통치를 위해 활용된 기구이기도 했다. When the Japanese imperialists explained Chosǒn aak, they described it as an ‘old music unprecedented in the world’ or ‘the pride of the East’. This logic, which can be referred to ‘the theory of Chosǒn aak as ancient music’, was repeatedly mention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is sense, this theory can be understood as a part of Japanese colonial logic. It was not expressions of genuine respect for the Chosǒn aak, but it is a logic to develop the colonial perceptions on history such as ‘Naesǒn Ilch’e’ (‘Korea and Japan are One’) and ‘stagnant Chosǒn’. In other words, to stigmatize Chosǒn as an outdated and undeveloped country, Chosǒn aak was used by Japanese imperialists as an symbol of Chosǒn’s undeveloped state. The aakpu played a role in the transmission of the aak in the Chosǒn Dynasty, but it was also an organization used for colonial ru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후보

        조선중기 악사 허롱의 삶

        전지영(Jeon Ji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5 No.45

        조선중기 서성(徐渻, 1558~1631)의 시 『평해군에서 옛 악사 허롱을 만나다(平海郡逢舊樂師許弄)』는 당시 악사(樂師) 허롱(許弄)에 대한 기록을 싣고 있다. 이 시는 다양한 은유, 비유, 상징, 전고(典故)로 채워져 있어서 해독이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의 해석을 통해 허롱의 삶을 추적하는 것은 개인의 삶 이력 차원을 넘어서 조선중기 음악인 삶의 내면과 외면에 대한 고찰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허롱은 『금합자보』의 대급 악보 주인공인 허억봉의 동생이자 조선 침술의 최고봉인 허임(許任)의 작은아버지이다. 그는 양양의 관노출신으로 선상(選上)되어 장악원에서 활동하다가 임진왜란 발발 이후 지방을 떠돌면서 빈궁한 삶을 살았다. 그의 삶을 통해 당시 화려한 음악문화와 함께 악인(樂人) 삶의 모순적 이면을 살필 수 있다. Seo Seong(1558~1631), a bureaucrat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wrote a poem, I met an old musian Heo Rong in Pyeonhae, the southern district of Ganwon Province. This poem includes contents of the life of Heo Rong, splendid music culture at the time, and poor environments by war at that period. Heo Rong was a younger brother of Heo Eokcong who was the most famous musician of that period. Both of them was originally hereditary slaves of YangYang, the east district of Gangwon Province. The major instrument of Heo Rong was Gayageum, but the was famous for wind instruments as well. His life at the war period(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especially pitiable, so that Seo Seong sympathized with the impoverished environments as a musician. It can be argued that this poem is a kind of symbol represents the lives of mid-Joseon period musicians, thereby has a value as a fact of music hist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