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학과 진로체험 프로그램이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경로에 미치는 영향

        전열어(Chun Yeol eo),김경미(Kim Kyoung Mi),박현정(Park Hyun Jung),황혜영(Hwang Hy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연구는 간호학과 진로체험 프로그램이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경로에 미치는 영향 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 연구로 G시 소재 대학의 간호학과의 진로체험을 위해 방문한 고등학생 1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 다. 간호학과 진로 체험프로그램은 2014년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한 ‘현장 직업체험 프로그램 구성 방법’에 따라 개발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 가 후 대상자의 간호사 이미지에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간호학과 진로체험 프 로그램 참여 후 간호사 이미지 점수가 상승하였다. 또한 간호학과 진로체험 프로그 램 참여 후 고등학생들의 진로전환(p<.000), 진로 강화(p<.000), 진로보류(p<.035)에 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간호학과 진로체험을 통해 간호 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가짐으로서 전공학과 및 진로선택에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experience programs for nursing science department on the images and career path of nurses. The study targeted 122 high-school students visiting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in G City for career experience based on similarly prepared pre- and posttest design single control group. The career experience program of nursing science department was developed by ‘Onsite Occupation Experience Program Organizing Plan’ proposed by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Test result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e images of participants after career experience program (p<. 001). After participating career experience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eer switch (p<. 000), career strengthening (p<. 000), and career reservation (p<. 035), The study is meaningful in having provided an opportunity for high-school students to have proper images of nurses through nurse science department career experience programs so that they can choose major and career path properl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식습관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열어(Yeol-Eo Chun),황혜영(Hye-Young Hw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과 정신적․신체적 건강상태는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게 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청소년 시기인 고등학생들의 식습관과 건강상태를 확인한 결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현재 고등학생의 식습관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D도시의 일개 고등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건강상태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고등학생 중 ‘아침을 먹는 경우’가 40.4%로 나타났으며, 점심과 저녁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식사를 하였다. 전체 건강상태 호소는 2.28±.27점이었으며, 신체적 건강상태 호소는 2.45±.29점, 정신적 건강상태 호소는 2.11±.29점으로 이었다. 건강상태는 남학생, 아침을 매일 먹는 경우, 간식과 야식을 전혀 먹지 않는 경우가 높았다. 건강상태는 아침식사 여부에 따라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해 올바른 식습관을 통한 적절한 음식의 섭취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Correct dietary habits and cognitive․physical health conditions are important factors in becoming a healthy adult. However there have been lack of studies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impact driven from dietary habits on their health conditio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e method used was descriptive survey held to a total of 151 high school students in city D. Results indicated 40.4% students had breakfast. Most students ate lunch and dinner at school restaurant. specifically, following spread was noted health condition scores an average of 2.28±.27 as physical health condition resulted in 2.45±.29.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 resulted in 2.11±.29. Male students, who had breakfast every morning and not having snacks were elements that resulted with the highest health condition scores. Based on aforementioned statistic, health status was statistically influenced by breakfast. Thus, this research encourages ingesting qualitative food is essential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돌봄인성이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열어(Yeol-Eo Chun),황혜영(Hye-Young Hw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돌봄인성이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자발적인 동의하에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3,4학년으로 하였으며, 결과분석은 SPSS 23.0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돌봄인성은 212.71±27.53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평균 3.48±.60점,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은 3.87±.64점으로 나타났다. 돌봄인성과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돌봄인성이 우 수할수록 긍정적인 임상실습 만족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423, p=.000),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도 돌봄인성이 우수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678, p=.000). 본 연구결과 돌봄인성이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돌봄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ing character of nursing students,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was implemented under explanation of purpose and agreement of a total of 240 students attending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are nursing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The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3.0win program. As a result, the caring character of nursing students was 212.71±27.53,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3.48±.60, and the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was 3.87±.64.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characte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the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the higher the caring character the practice satisfaction (r=.423, p=.000) showed higher positivity. Also, higher caring character scores resulted in higher self-efficacy(r=.678, p=.000). The higher the caring charact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aring character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히포크라테스 기질 유형이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혜영(Hye-Young Hwang),전열어(Yeol-Eo Chu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히포크라테스 기질유형과 임상실습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3.4학년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자발적인 동의하에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23.0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히포크라테스 기질유형 중 점액질(안정형)이 105명(3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수행능력 점수는 평균 3.68±.56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 3.38±.64점이었다. 히포크라테스 기질유형과 임상실습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면, 히포크라테스 기질유형 중 담즙질(주도형)이 평균 3.86±.46점으로 임상실습 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F=5.438, p=.001),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우울질(신중형)에서 평균3.47±.55점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F=1.819, p=.144). 본 연구결과 기질유형에 따라 임상실습 수행능력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히포크라테스 기질유형에 따른 임상실습 수행능력을 증진의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는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ppocrates substrate type(DISC)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is study was implemented under explanation of purpose and agreement of a total of 300 students attending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are nursing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The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3.0win program. As a result, the Hippocrates substrate type(DISC) of nursing students had the highest mucus(stable).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was 3.68±.56, and th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was 3.38±.64.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mong the Hippocrates substrate types, bile duct (leading type) scored 3.86±.46, indicating that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was the highest. In relation to clinical stress, the clinical stress was 3.47±.55 in depressive (new medium),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Hippocrates substrate type(DISC),it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for preparing various strategies for improving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Hippocrates substrate type(DISC).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신미자(Shin Mi Ja),전열어(Chun Yeol 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파악하고 임상실습 수행능력과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임상실습 교육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6개월 이상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433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평균 3.58(±.39)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수행능력은 평균 3.65(±.50)점,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은 평균 3.83(±.5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및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 모두에 영향을 끼친 네 가지 요인은 연령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만족도 및 임상실습 만족도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임상실습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임상실습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resilience has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for clinical practice. The research was targeted to 433 nursing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more than 6 months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o indicate the effect that resilience has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ag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Als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indicated positive result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grasp the effect that resilience gives to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having significant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programs for improvement of resilience must be developed for the foundation of increase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통합시뮬레이션(분만-수술-신생아 간호)실습 프로그램의 효과

        이선희(Lee Sun Hee),전열어(Chun Yeol eo),김경미(Kim Kyoung Mi),박현정(Park H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는 간호학생에게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 그램을 적용 후 간호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통합시뮬레이션을 위해 ‘분만 중 태아사정과 제왕절개 수술 및 신생아 간호’에 대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통합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 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분만실, 수술실, 신생아실의 각 시뮬레이션 실습실에 2명의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실습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로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간호대학 4학년생 24명으로 실험기간은 2014년 11월24일부터 12월 15 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 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습 적용 후 간호학생 의 간호지식(t=-2.944 , p=.005), 임상수행능력(t=-19.858 , p=.000)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자기효능감(t=-1.891 , p=.065)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하기 않았다. 이 연구결과 통합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효과적인 교수학 습방법의 하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developed integrate-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nursing knowledge, self-confidence,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For the study, a simulation module for fetal assessment during childbirth, caesarean section and neonatal care’ was developed. To apply the integrate-simulation practice program, two students were placed in each simulation room of the delivery, operating, and nursery rooms for simulation practice. This study was a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four senior university students located at G city. Period was from November 24th to December 15th in 201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ration,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of the SPSS/WIN program.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rsing knowledge(t=-2.944 , p=.005) and clinical competence(t=-19.858, p=.000). On the other hand, self-confidence showed increase but was not significant(t=-1.891, p=.065).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 일개 간호대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선호 교수학습방법 분석

        황혜영 ; 전열어 ; 이선희 김천대학교 2015 김천대학교 논문집 Vol.36 No.-

        Purpose :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apprehend learn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of the Nursing department and to analyze the preference between the learning style and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plan efficient learning strategies. Method :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48 students from 1st to 4th year of a university in 'G' city, and the used tool was ILS(The Index of Learning Styles), a model revised in 2002 by Felder and Siverman(Felder-Siverman, 2004). Result : The learning style of nursing students were sensual 94.8%, visual 2.5%, active 69.8% and sequential 66.7% showed responses. The learning style according to scholastic year and sex appeared to prefer sensory, visual, active and sequential ways however was not statistically reliable. The teaching methods students preferred turned out to be lecture 63.0%, audiovisual methods 29.0%, presentation and debate 8.0%. Also teaching method preference in the active/reflective style(χ2=23.351, p=.000) and sequential/global style(χ2=8.214, p=.016) showed a slight difference statistically reliable. Conclusion : This research will help maximize efficiency of education by planning preferable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each learning styles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