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회피 경향 성소수자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지혜(Ji-Hye Kim), 전순영(Soon-Young Ch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회피 경향의 성소수자가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했으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와 2022년 5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약 60분씩 총 13회의 미술치료를 시행하였고, 전 회기의 녹음파일, 축어록, 회기별 작품, 그림 검사 결과와 연구자의 기록물을 자료로 수집하여 내러티브 탐구로 재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경험 이야기는 ‘집단생활: 괴롭힘과 불화, 가족과의 경험, 사회생활: 관계 맺기의 어려움, 섞이지 않는 “오리지널리티“’라는 주제로, 경험의 의미는 ‘지지받는 안전한 느낌, 현실적인 대안 찾기, 권위와의 불화 극복하기, “이제 눈도 뜰 때“’로 재구성하였다. 위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논의는 첫째, 사회적 회피 경향의 연구참여자는 미술치료 과정에서 연구자와의 유대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긍정성과 개방성을 확장하였다. 셋째,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성소수자 미술치료에 있어 개인의 성별 정체성과 성적 지향을 그 자체로 긍정하고 지지해야 한다는 긍정적 심리치료의 주요한 가치를 고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 what ways an LGBTI+ person with social avoidance tendency experienced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ose therapeutic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13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or 60 minutes in each session from May 2022 to September 2022. The record of all sessions, verbatim records, artworks, KFD test results, and the researcher's notes were collected as data to conduct a narrative inquiry. Their experiences consist of four parts: school life (bullying and discordance); experience with family; social life (difficulty in forming relationships); and “Originality“ that does not mix. The meaning of experiences can be categorized as ’a feeling of being supported and safe, finding realistic alternatives, overcoming discord with authority, and “Now it's time to open my eye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 experienced social support based on the bond with the researcher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 expanded their positivity and openness to new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Third,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sider the main values of affirmative psychotherapy in LGBTI+ art therapy.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평가염려완벽주의 미술영재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미미(Mi-Mi Han), 전순영(Soon-young Ch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염려 완벽주의 미술영재가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만 12세 미술영재 여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2년 3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주 1회 총 12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녹취록과 축어록, 임상일지, 관찰기록과 현장 메모, 심층 면담과 경험 인터뷰, 미술작품 사진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회기별 분석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숨겨둔 마음을 담아내다’, ‘주위의 시선과 완벽함을 위해 힘들게 살아가는 나를 인식하다’, ‘다양성을 수용하며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다’, ‘희망적으로 미래를 마주할 힘을 얻다’의 4개의 상위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는 외부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억압했던 부정적 감정과 갈등을 표출하고 해소하였으며, 타인의 관점으로 평가하던 자신에 대해 새로운 조망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경직되고 통제되었던 인지의 변화와 심리적 유연성이 증대되었으며, 걱정과 두려움보다는 희망적으로 미래를 마주할 긍정적 자원과 창조적 에너지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experienced in the art therapy process of art gifted students with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or this purpose, a 12-year-old art gifted female student with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as selected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a total of 12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March, 2022 to July, 2022.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recorded file, observational records and field memos, clinical journals, in-depth interviews, experiential interviews and artwork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4 upper themes could be induced together with 12 sub-themes: ‘I harbor a hidden mind’, ‘I recognize me who struggles to live a perfect life, being conscious of people’s attention’, ‘I accept me candidly, accommodating the diversity’and ‘I have got the power of facing the future hopefully’. In this process, the participant could vent out and relieve her negative emotion suppressed due to the fear of others’evaluation of her and thus, could have a new perspective into her viewpoint rather than assess herself from others’ perspectives. In addition, her cognition rigid and controlled would change with a higher psychological flexibility. Namely, she could discover a positive resource and creative energy facing the future hopefully, instead of fear and appreh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술치료를 통한 조현병 청년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윤영미(Yoon, Young-Mi),전순영(Chun, Soon-Yo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6

        본 연구는 조현병 청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삶에서 정체성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살펴봄으로써, 참여자가 무엇을 경험하며 어떤 의미를 주는지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과정에서 나타난 조현병 청년의 경험과 의미를 내러티브 방법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병한지 6년 이상으로 조현병을 진단받은 27세 청년이다. 연구 기간은 2020년 7월부터 9월까지이며, 일주일에 2번 90~120분씩 총 20회기에 걸쳐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재구성된 경험 이야기는 조현병 청년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큰 시간적 흐름에 따라 ‘관심 종자 같은 느낌’, ‘조현병과 우연한 조우’, ‘과거로의 여행’, ‘삶의 의미 있는 선택’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조현병 청년의 미술치료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경험의 의미는 ‘치유관계에서 편안하고 안전한 관계로 전환’, ‘사랑과 고뇌를 작품으로 승화’, ‘작품 속에서 나의 삶을 이해’, ‘미래로 향하는 길에서 꿈과 희망’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청년의 시기에 조현병으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 속에서도 미술치료는 자기이해와 자기수용의 자기 재구성(self reconstruction)으로 성장의 기회가 되었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e subject was a 27-year-old mal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more than 6 years ago. The subject is on medication after in-patient treatment in a closed psychiatric ward in city A. Twice-weekly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July 2020 to September 2020 for a total of 20 sessions of 90 to 120 minutes each. “Feeling Like Being an Attention Seeker,” “a Chance Encounter with Schizophrenia,” “A Trip to the Past,” and “A Meaningful Choice in Life” were the parts of the subject’s reconstructed life story as he strove to find his identity over time. Through art therapy, several themes were identified to give meaning to his experiences of finding his own identity. These themes included “Transition from a Therapist-Patient Relationship to a Comfortable and Safe Relationship,” “Transforming Love and Anguish into Work,” “Understanding my Life in the Work,” and “Dream and Hope Met on the Road to the Future.” For the subject, art therapy became an opportunity for growth through self-reconstruction, which consist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despite his medical condition, which generates anxiety and fear during an important period in his life. Art therapy has also helped the subject to live an independent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COVID-19 우울에 대한 자기치유를 위한 자전적 미술치료 내러티브탐구

        문태란(Tae-ran Moon),전순영(Soon-young Chun )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COVID-19 우울에 대한 자기치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이다. 자기치유는 2021년 5월부터 8월까지 자기치유 계획에 따른 미술 작업 14회기를 진행하였다. 목표는 ‘심리적 증상 탐색’, ‘자기탐색’, ‘창조성과 자아통합’, ‘기원’으로 나누었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로 미술치료를 통해 수집된 자료로서 연구일지, 사진, 문서, 작품 등이 있다. 현장 텍스트부터 나온 이야기는 4개의 주제로 ‘COVID-19로 인한 혼란과 고립감’ ‘나의 감정바라보기’, ‘자유를 위한 시도’, ‘재탄생’ 이다. 연구결과는 ‘내 마음의 혼란’, ‘무의식의 욕망’, ‘자연의 선물’, ‘혼란과 감정폭풍’, ‘내면세계의 신호’, ‘과거 속 여정’, ‘내면의 만남’, ‘내면의 울림’, ‘다시 태어난 인생길’과 같이 9개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이 과정은 미술치료사가 팬데믹 고립 상황 속에서 미술작업을 통해 자기 치유의 필요성과 의미를 일깨웠으며 치료사로서 자기성찰과 살아가는 힘이 되었음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 탐구과정은 미술작업이 COVID-19 팬데믹 고립 속에서 자기 치유의 필요성과 의미를 일깨우는 과정이었으며 살아가는 힘이 되었음을 드러내었다. This study was a narrative inquiry about an art therapist’s self-healing to address COVID-19-related depression. The self-healing was conducted from May 2021 to August 2021 via 14 artwork sessions, with the goal divided into “psychological symptom exploration,” “self-exploration,” “creative and self-integration,” and “prayer.” Data collected through art therapy included research journals, photographs, documents, artwork, and so on. The four themes from the text of the sessions were “identity confusion and isolation during COVID-19,” “observation of my emotions,” “attempts to gain freedom,” and “rebirth.”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nine implications were derived: which were “my mind confusion,” “the unconscious desire,” “the gift of nature,” “confusion and emotion storm,” “the signal of the inner world,” “the Journey in the past,” “meeting with the inner,” “the inner echo,” and “a reborn path of life.” This investigation process revealed that art work created a process of awakening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self-healing during COVID-19 pandemic isolation and fueled the power to live.

      • KCI등재

        공황장애 성인여성을 위한 색채중심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한미미(Han, Mi-Mi),전순영(Chun, Soon-yo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 성인여성이 색채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황장애를 진단받은 42세 기혼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주 1회 60분간 총 18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전 회기의 녹음파일과 축어록, 심층 면담, 경험 인터뷰, 회기별 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임상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기별 분석과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색을 충분히 체험하는 경험을 통해 감정의 균형을 회복하고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색의 공감각적 체험으로 경험의 이미지를 재구조화하여 색에 대한 연상을 긍정적으로 확대 및 변화시켰다. 셋째, 색의 속성과 상징의미를 활용하여 부정적 기억을 재구성하고 삶에 적응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넷째, 과거의 경험과 내부가 투사된 색을 통해 자기 모습을 대상화하여 조망함으로써 긍정적 자기개념을 확립하였다. 따라서 색채중심 미술치료는 공황장애 성인여성의 정서적, 인지적 변화와 확장을 이루어 긍정적 자기개념을 확립하였고, 삶을 적응적이고 수용적으로 조망하는 질적 변화와 성장을 이루어 미래의 희망을 고취하는 잠재력과 긍정적 자원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experienced in the color-centered art therapy process for an adult woman with panic disorder and what the experience means to. For this purpose, a 42-year-old adult woman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was selected. The case proceeded with color-centered art therapy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nd for a total of 18 sessions except for during a preparatory stage from September, 2000 to February, 2021.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recorded files of all sessions, in-depth interviews, photographs of art works and the resercher’s observation journal.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restored her emotional balance and improved her emotional control competence through sufficiently experiencing the colors sufficiently. Second, the association with colors was positively changed by restructuring the experience image as a synthetic experience of colors. Third, negative memories are reconstructed and adaptive meaning was given to life by using the properties and symbolic meanings of colors. Fourth, a positive self-concept was established by objectifying one s self through the past and internally projected colors. Thus, the adult woman with panic disorder would change her emotion and cognition to establish a positive self-concept; she also had the potential to gain and positive resources through the color-centerd art therap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김용숙(kim Yong-sook),전순영(Chun Soon-yo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K구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들 가운데 MMSE-K를 실시하여 총점이 19점 이하에 해당되는 경증 치매노인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 총 16명을 선정하여 무선배치하고 실험집단은 2017년 10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15회기 프로그램을 매주 1회씩 60분간 진행하였다.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어판 MMSE-K와 인물화 그림검사, KISE발달척도를 사용하여 점수를 측정하였다. 윌콕슨 검증으로 양적분석을 하고, 인물화 그림에서는 녹음과 관찰, 형식적․내용적 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치매노인의 하위요인인 4개의 영역과 전체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인물화 검사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서 빈도분포를 양적 분석한 결과 인지기능이 향상되었고, 질적 분석에서도 사전검사에 비해 형태․공간 인지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치매노인의 소근육 운동의 하위요인인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서 부분적으로 전체결과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셋째, 회기별 프로그램 질적 분석에서도 종이매체의 반복적 사용으로 치료적인 중재를 지속할 수 있는 인지적 자극훈련과 지속적인 손의 감각자극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 medium of paper on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 of the demented elderly. A total of 16, composed of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Participants used Seoul K-Gu Day Care Center and scored below 19 points in the MMSE-K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carry out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weekly, 60-minute session every Thursday for a total of 15 programs, excluding pretest and posttest, from Oct. 2017 to Feb. 2018. The Korean-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K), Human Figure Drawing tests and KISE development scale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s. Specifically,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qualitative analysis using recording, observation, and content analysis.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r categories as well as in the overall result. Als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categories of fine motor skills, including accuracy, cognitive movement, and writing skil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sult. In the program,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session suggested that cognitive stimulation training, which sustained therapeutic intervention by repetitive use of paper medium and continuous stimulation of hand sensation, positively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 of the demented elderly.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은영 ( Kim Eun-young ),전순영 ( Chun Soon-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 환자에 있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P정신병원에 입원중인 알코올 중독환자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을 무선으로 배정한 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1회, 각 80분씩 총 14회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적용 사전ㆍ사후에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효과 검증을 위해 각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중독 환자에 있어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자기표현에서 내용적 자기표현과 비언어적 자기표현이 향상 되었다. 둘째, 알코올중독 환자에 있어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알코올 중독환자에 있어 집단 미술치료의 회기별 효과를 살펴본 결과, 참여자의 자기평가에서 내용적 자기표현과 비언어적 자기표현이 향상되고 자아존중감이 향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중독환자에 있어 자기수용과 긍정적인 자기이해를 경험함으로써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알코올 중독환자의 심리재활치료 방법으로 임상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alcoholic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alcoholic patients admitted to P mental hospital in S city, 6 experimental group and 6 control group were allocated wirelessly, a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once a week, for 80 minutes each. 14 times were conducted, and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scal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lcoholic patients, through group art therapy, content-oriented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improved in self-exp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n alcoholic patients. Third, in alcoholic patients, in the changes of group art therapy sessions and participants' self-assessment, contentual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were improved, and they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up art therapy has improved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alcoholic patients by experiencing self-acceptance and positive self-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t can be usefully applied in the clinical field as a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treatment method for alcoholic patients.

      • KCI등재

        ETC를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를 통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실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전진옥(Jun, Jin-Ok),전순영(Chun, Soon-Yo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ETC를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실현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이다. 표현예술연속치료체(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 ETC)는 미술치료를 하는데 기본구조가 되며, 표현적인 경험과 창조성의 복구 능력에 대한 치료적 차원을 설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미술치료사로 내담자들을 만나며 느껴졌던 제한점과 부족함에 대해 각성과 자기 성찰의 필요가 절실한 시점에서 ETC의 수준별 치료 경험을 하였다. 내러티브형식으로 단계 마다 경험된 정보처리와 매체와의 상호작용에 관해서 기술하였다. ETC의 구성요소는 첫째, 동적/감각적 수준(Kinesthetic/Sensory Level), 둘째, 지각적/정서적 수준(Perception/ Affective Level), 셋째, 인지적/상징적 수준(Cognitive/Symbolic Level)이다. 그 다음은 어느 수준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치유적인 속성을 가진 창조적 수준(Creative Level)이다. 개별적 수준으로 체계적인 경험이 가능한 ETC를 통해서 신체와 오감, 지각과 정서, 인지와 통찰을 경험하였다. 미술치료는 미술치료사의 도움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자기 성찰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양한 매체와 미술치료의 기법도 중요하지만 치료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미술치료사 자신이 각성해야 할 필요를 ETC를 통해 경험하였고 치료사로서의 자기실현에 첫 번째 발을 내 딛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This study was a narratives inquiry of the self-realization of art therapists based on Expressive Therapy Continuum(ETC). ETC is the basic structure for art therapy, a structure that can explain the therapeutic dimension of expressive experience and resilience of creativity. At a time when the need was felt for awakening and self-reflection on limitations and deficiencies while meeting clients as an art therapist, ETC experienced level treatment. A narratives format describ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experience and interaction with the media. The components of ETC are 1) Kinesthetic/Sensory Level, 2) Perception/ Affective Level, and 3) Cognitive/Symbolic Level. The following can be seen at any level and in itself is a creative level with healing properties: Through the ETC, which is capable of systematic experience at an individual level, the body and its five senses, perception and emotion, recognition and insight were experienced. Art therapy is about expressing oneself and allowing self-reflection with the help of art therapists. Various media and art therapy techniques are important, but ETC has experienced the need to awaken itself as an art therapist, a big part of the treatment, and has taken the first step toward self-realization as a therapist.

      •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정서지능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시원(Si-won Kim),전순영(Soon-young Chun)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6 예술과 인간 Vol.2 No.2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정서지능 및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 B초등학교 4~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각 반 담임교사가 학교부적응을 보이는 아동 20명을 일차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20명의 아동 중 교사보고형 학교부적응 행동평정 척도에서 점수가 높은 순서로 18명을 선정하고 그 중 참여를 희망하고 부모 동의서를 제출한 아동 총 18명중 9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주 1회 사전 ·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로 매 회기 당 100분 동안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문용린(1996)의 정서지능 척도검사와 우소연(2008)의 학교생활적응 척도검사, 동적 집-나무-사람그림검사(K-HTP), 학교생활화(KSD)를 사전 · 사후검사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school-maladjusted children. For this study, among school children showing school maladjustment with parental consent of 4 to 6 grade at B elementary school in S city, 18 children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a total of 12 100 minute-long sessions once a week from May 1 to July 17, 2013 except the pre- and post tests. Tools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er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est by Mun Yongrin(1996)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est by Woo Soyeon(2008), Projection Drawing Test, K-HTP and KSD for the pre- and post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could show a significant effect of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by observing the resul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est and K-HTP for the pre- and post tests. Second, this program positive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of those children by observing the results of School Adjustment Scale Test and KSD for the pre- and post te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certainly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