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정보량과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설명가능한 링크 예측

        전설희(Seolhee Jeon),이광희(Kwang Hee Lee),김명호(Myoung H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7 No.9

        최근에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는 노드 분류, 그래프 분류, 링크 예측 등의 그래프 마이닝/머신러닝에서 훌륭한 성능을 보였다. 많은 그래프 임베딩 기법들이 그래프에서의 노드 간의 유사도를 벡터 공간에서의 거리로 표현하고자 한다. 실제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를 임베딩하여 심층학습을 하면 이웃 노드들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많은 잠재적 요소들에 의해 정보가 얽히기 때문에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의 결과를 해석할 수가 없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은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의 좋은 링크 예측 성능과 링크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상호정보량 기반의 방법을 제안한다. 상호정보량을 활용하여 두 노드 간의 유사도를 최대화하는 로컬 서브그래프를 찾고 노드 간의 연결에 대해 통계적으로 설명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기존 그래프에서 링크 예측에 중요한 노드와 간선을 추출한 서브그래프를 다시 학습하여 링크 예측의 좋은 성능을 보인다. 동시에 상호정보량에 기반하여 링크 예측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Recently, graph neural networks(GNNs) have shown good performance in many graph mining/machine learning tasks such as node classification, graph classification, and link prediction. Many graph embedding techniques attempt to represent the similarity of nodes in local subgraphs as the distance in vector space. Deep learning for real-world graph-structured data poses great challeng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as the entangled information is induced by complex interactions of neighborhood nodes together with many latent factors. To overcome this difficulty, we propose a mutual information-based method to have a good performance on link prediction as well as to produce an interpretable subgraph for the link. Mutual information is used to find a subgraph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ximizing the similarity of two nodes and to give an explanation statistically. Our method effectively predicts the link by utilizing subgraph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nodes and the edges for link prediction. At the same time, it gives a compact explanation for link prediction by mutual information.

      • KCI등재

        조직문화가 공무원의 적극행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전설희 ( Jeon Seol-hee ),장재성 ( Jang Jae-seong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3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7 No.1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 소속 국가공무원 247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가 조직공정성을 매개하여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직 간 문화 차이를 Cameron & Quinn(1999)의 경쟁가치모형을 토대로 집단문화, 위계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로 분류하여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적극행정 세 변수의 관계를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합리문화, 발전문화는 적극행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은 적극행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합리문화와 적극행정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효과를, 집단문화와 적극행정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통제변수와 관련하여 연령이 높을수록 적극행정 인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앙행정기관 본부보다 소속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의 적극행정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 적극행정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연령, 기관 특성 등이 적극행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부지향적 문화의 강화와 조직공정성 개선을 위한 내부홍보 및 교육 등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active administration by mediating organizational fairness, targeting 247 state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ulture classifies into hierarchical culture, collective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based on the competitive value model of Cameron & Quinn (1999), and hierarchical re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tive administration. Second, organizational fair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tive administration. Third, as a result of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culture and active administration,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culture and active administra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mpact on active administr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literature in that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fairness, and active administra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 was also discussed. In addition, based on empirical evidences, policy alternatives such as internal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were presented to strengthen external-oriented culture and organizational fair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