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칼빈의 신학방법론으로서의 성경극중주의 : 양비론(兩非論)과 양시론(兩是論)을 오가는 ‘이중개념주의’와 ‘복잡성의 중도’ 사이에서

        전대경 ( Jun Dae Kyung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ACTS 신학저널 Vol.35 No.-

        본 연구는 복음주의 신학방법론과 그 맥을 같이 하는 칼빈의 신학방법론으로서 성경극중주의를 제시한다. 규명하려는 것은 칼빈의 신학방법은 성경극중주의라는 것이다. 먼저, 중도에 대한 정치학적 개념인 ‘이중개념주의’와 ‘복잡성의 중도’, 그리고 인지언어학적 개념인 ‘개념 혼성’에 대해서 살핀다. 다음으로, 칼빈의 성경극중주의 방법론을 다룬다. 그 다음으로, 문자적 해석과 은유적 해석 사이에 서 있는 칼빈의 이중개념주의적 극중주의 성경해석 방법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성령 은사에 대한 칼빈의 모호성과 복잡성의 중도적 해석을 다룬다. 이를 통해, 칼빈의 중도 신학방법론은 말씀에 뿌리를 내리고 그 중심을 잡는 변증법적 ‘개념 혼성’으로서의 성경극중주의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칼빈의 성경극중주의 신학방법론은 이중개념주의적 복잡성의 중도로 보일 소지가 다분하다. 칼빈은 성만찬, 국가론, 은사론 등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한다. 칼빈의 이러한 극중주의 방법론은 때로는 중립에서 좌측과 더불어 우측에 대항해 격정적으로 싸웠고 때로는 중립에 있으면서 우측과 더불어 좌측에 대항해 격정적으로 싸우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서도 상대의 단점을 비판함과 동시에 장점을 흡수하고자 하는 비판적 수용의 자세도 보인다. 이러한 칼빈의 이중개념주의적 극중주의는 말씀에 중심을 두려고 했지 세상의 좌우 진영 가운데 서려고 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는 칼빈의 신학방법이 중도라는 주장을 단순히 부연하기 위함이 아니며, 그렇다고 그것을 부정하고자 함도 아니다. 오히려 이 둘을 뛰어 넘어 칼빈주의 신학이 중도주의라는 주장에 대한 옹호론과 비판론을 종합하고자 한다. 그래서 칼빈에게서 분명하게 발견되는, 하지만 다소 모호해 보일 수도 있는 그 중도주의적 신학방법을 더 구체화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치학적 용어인 극중주의라는 말을 차용하여 성경극중주의라는 새로운 개념(개념혼성, conceptual blending)으로 칼빈의 신학방법을 표현한다. 중도주의는 그 모호성으로 인하여 이중개념주의라고 비판을 받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도에 대한 비판적 용어들을 성경극중주의의 장점을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차용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는 말씀에 그 중심을 두지 못하고 신학적 성향과 정치적 성향을 서로 혼동하여 이를 등치시켜 오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가, 말씀에 뿌리를 깊이 내려 그 중심을 잡고, 때로는 우측에게 선지자적 사명으로 비판을 하며, 때로는 좌측에게 제사장적 비판을 하는 칼빈의 성경극중주의가 한국 개신교 교계와 신학계에 뿌리내리게 되는 마중물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suggests Biblical-Radical Centrism as John Calvin’s theological method which falls in line with a stream of Evangelical theological method. It is to clarify that Calvin’s theological method is Biblical-Radical Centrism. First, political terms ‘biconceptualism,’ ‘complexity of via media,’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term, ‘conceptual blending’ are examined. Then, Calvin’s biconceptual Biblical Hermeneutical Radical Centristic method which is located in between literal and allegorical interpretation Lastly, Calvin’s moderate interpretation of ambiguity and complexity on Spiritual gifts is dealt. Thus, it is argued that Calvin’s via media theological method is Biblical-Radical Centrism, which firmly establishes its center of gravity as the word of God. It is obvious that Calvin’s Biblical-Radical Centrism can be possibly seen as a biconceptual complexity of via media. Calvin stands in the middle for his understandings on sacrament, government, Spiritual gifts, etc. Calvin, with his radical centrism method, whereas standing in the middle, sometimes fought with the left against right and other times with the right against left. In the meanwhile, as he was criticizing both, he was critically embracing the two. This Calvin’s biconceptual radical centrism was not just seeking to stand in the middle but to stand on the Word firmly. This paper’s research is neither just a reiteration that Calvin’s theological method is via media, nor to refute it. Rather, it is to embrace and synthesize both the optimism and the criticism of his via media and go beyond them. Henceforth, surely be found, but yet ambiguous via media theological method is to be explained with more. In order to do that, we could adopt the political term, radical centrism, creating a new concept by conceptual blending, Calvin’s theological method, Biblical-radical Centrism, is to be delineated. Via media is often criticized as biconceptualism for its ambiguity. In this article, adopting these somewhat critical concepts to shape up and reinforce the method of Biblical-radical centrism. Today, in Korea Society, it is quite often mistakenly regarded as a theological tendency as a political inclinatio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ttempts the prime water that Calvin’s Biblical-radical centrism would be firmly rooted down for the Christian and theological environment which then can prophetically criti cize the right while correcting.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인공지능과 바른 목회 : homo deus와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극과극의 두 모티프를 중심으로

        전대경 ( Jun Dae Kyung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0 No.-

        특이점주의자들은 그들이 기술적 특이점으로 지목한 해인 2045년경에는 인공지능이 스스로보다 더 지적 능력이 좋은 인공지능을 만들어내는 것을 계속 반복하여, 마침내는 인류 지능의 종합보다 더 뛰어난 지능을 가진 슈퍼 인공지능이 탄생할 것이라고 예견한다. 이들의 말이 사실이라면, 그 때에는 누가 인공지능이고 누가 인간인지 분간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즉,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되고(homo ex machina), 인간도 인공지능이 될지(homo est machina)도 모른다. 그런데 특이점주의자들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한 발 더 나아가, ‘기계의 몸을 갖게 된 우리는 무한의 능력을 갖고 영생을 하게 되어 신처럼 될 것(deus ex machina)’이라고 주장하기까지 한다. 즉 기계를 매개로 하여 인간은 신이 된다(homo deus)는 것이다. 인공지능을 통한 미래에 대해 유토피아적이거나 디스토피아적으로 극단적인 전망을 쏟아내는 이 시대에, 우리는 인공지능에 대해서 목회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어떻게 보아야 할까? 과연 AI 목회자가 개발되면,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목회와 선교에 크게 일조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은 목회함과 신학함에 있어서 득이 될까? 독이 될까? 이것이 바로 이 소고 전체에 깔려 있는 연구 질문이다. 인공지능을 통한 기술적 특이점주의의 주장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로, 특이점주의자들은 인공지능이 마음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뜻은 인공지능 자체가 인간처럼 생각과 마음을 가질 수 있다는 말도 되며, 인공지능이 인간의 마음을 담을 수 있기에 인공지능으로 인간의 그 존재와 의식 등이 모두 그대로 옮겨갈 수 있다는 말도 된다. 둘째로, 특이점주의자들은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하여 영원히 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마치 자동차의 부품을 교체하듯이, 체세포 복제를 통해 배양된 몸의 각 부분들을 이식수술 받을 수도 있으며, 나노공학의 발달로 몸의 각 부분들을 나노로봇으로 대체하게 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우리 스스로의 몸을(심지어 뇌까지도) 기계 자체로 바꿀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셋째로, 특이점주의자들은 인공지능의 기하급수적인 발달로 인하여 그 속에 존재하는 우리가 모두 신과 같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열역학 제 2법칙(엔트로피의 법칙)이 열린 계(Open System)인 우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말이다. 이들의 주장을 종합하면, 무신론자들인 특이점주의자들에게 ‘신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계를 통해 우리는 모두 신이 된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는 2 가지 이유로 인해서 실현하기 불가능할 것이라고 본고에서 주장한다. 이는 무어법칙의 폐기, 닫힌 계(Closed System)인 우주 내에서 열역학 제 2법칙에 위배됨이 바로 그것들이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먼저, 인공지능을 통한 homo deus는 과학적으로도 실현 불가능할 것임을 논증한다. 그런 다음, 목회는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야 하며, ‘자신의 영광’을 추구하는 자기신격화적인 homo deus는 오늘날의 많은 잘못된 이단적 목회들과 그 맥락을 같이함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에 대해 ‘사이버 영지주의’나 ‘데카르트식 심신이원론’이라는 평가는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논증함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인공지능의 목회에의 적용 가능성과 유용성에 대해 다룬다. 규명하려는 것은 다가올 혹은 이미 다가온 4차산업혁명시대에 인공지능을 잘못 쓰면 독이 되지만 잘 쓰면 약이 되어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귀하게 쓰이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Technological Singularitarians predict that by 2045 - the year that they point out for technological singularity - AI will be able to create more intelligent one than itself. They insist that, by repeating this self-evolution procedures, Super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has more intelligence than the sum of the entire humanity, will advent. If this is true, it must be almost impossible to distinguish humans from AI machines and vice versa. Thus, homo ex machina(human from machine) and homo est machina(human becoming machine) might come true. Singularitarians do not be hesitant to go further to argue that “if we have mechanical bodies, we can live forever, and finally become like gods.” By this deus ex machina, homo deus(human becomes god) is actualized. In the era that prospects two extreme inevitable versions of the future either utopian or dystopian with regard to AI, how do we have to see this AI in the perspectives of pastoring and theology? If AI Pastor is invented, would it contribute to the inland pastoring and abroad missions? If so, would AI be advantageous or disadvantageous for pastoring and doing theology? This is the research question that underlies at the bottom of this article. The arguments that technological singularitarians insist, with regard to AI, can be summarized mainly into three points. First, they argue that AI can have mind. This means AI not only can have thought and mind like humans but human existence and consciousness can be also moved to AI since it can hold human mind. Secondly, singularitarians assert that people can live forever by the help of the development of AI. Due to the progression of medical technology, as people replace parts of their vehicles, they could reinstate the parts of their bodies with the organs that have been cultivated by th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or with nano-robots that are engineered by nano-technology. Furthermore, they insist that even human brain can be replaced with machine. Thirdly, for the exponential development of AI, while claiming that the 2<sup>nd</sup> law of thermodynamics can not be applied to our open system universe, we all residing in AI will be like gods. In sum, for atheists singularitarians, “there is no God, but they will all become like gods by the help of machines.” It is, however, denied in this article for two reasons: Frist of all, Moore’s law, which is the core theory to insist technological singularity, is recently expired. Second of all, their arguments are against the 2<sup>nd</sup> law of thermodynamics for the universe is a closed system according to most of renowned physicists. To argue this, it is firstly examined that homo deus is improbable to be achieved scientifically. And then, it is argued that pastoring is, intrinsically, to pursue “the glory of God” not “self-glorification” or “self-deification,” as it is shown that homo deus is in along with violated pastoring of many heretic cults. Lastly, by the assessment regarding AI as “cyber-gnosticism” or “mind-body dualism” is not appropriate, the utility and feasibility of application of AI to pastoring for “glory of God” is dealt. It is to clarify that in the forthcoming, or even already came,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if AI is rightly used as medicine - of course, it could be poison if it is misused or abused - it can be a precious tool for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후보

        루터와 칼빈의 로마서와 야고보서 이해를 통한 개혁주의 이신칭의 재조명 : 이행칭의가 아닌 신행일치를 위하여

        전대경 ( Jun Dae Kyung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4 No.-

        본 연구는 마틴 루터와 존 칼빈의 이신칭의를 재조명한다. 이를 통해, 루터와 칼빈의 이신칭의 이해에 대해 개혁 교회가 실천적인 측면에서 오해가 없지 않았으며, 종교개혁 당시의 상황과 너무도 닮은 한국 사회와 교회에 ‘루터와 칼빈의 이신칭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증한다. 먼저, 루터와 칼빈의 로마서에 나타난 칭의 이해를 다룬다. 다음으로, 루터가 독일어 성서 번역판 초판에서 야고보서를 ‘지푸라기 서신’이라고 불렀지만, 이는 루터의 최종적인 입장이 아니며, 존 칼빈의 입장도 아님을 밝혔다. 그런 다음, 루터와 칼빈의 칭의는 성화(선한 행동)와는 동떨어져 해석될 수 없음을 밝힌다. 루터와 칼빈의 ‘칭의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더불어, 오늘날의 부패한 한국의 사회와 교회 상황에 꼭 필요한 ‘삶으로 연결되는 성화 이해’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큰 귀감을 줄 것이다. 루터와 칼빈의 칭의는 말씀을 듣고 믿음으로 인하여 구원을 받은 후에, 내적인 거룩함과 기도를 넘어, 말씀을 따라 서 이웃을 사랑하며 사는 삶으로 연결된다. 전자는 루터의 『로마서 강의』와 칼빈의 『로마서 주석』 및 『기독교 강요』에 잘 나타나 있다. 후자는 야고보서에 관한 루터의 『설교』와 칼빈의 『야고보서 주석』에서 이러한 그들의 견해가 잘 나타나 있다. 루터와 칼빈의 야고보서 이해는 이신칭의를 버리고 이행 칭의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신칭의는 신행합일(信行合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초년에 야고보의 사도성과 야고보서의 정경성을 의심했던 루터가, 그의 말년에는 야고보의 사도성과 야고보서의 정경성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칼빈도 이러한 루터의 최종적 입장에 동의하며, 야고보의 사도성과 야고보서의 정경성을 의심치 않는다. 칼빈도 신행합일이 이신칭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임을 역설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It is argued that the Reformed Church has understood the reformers’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only partially. It is to clarify that since Korean Church and Society resemble those of the era of the Reformation, a second great awakening or spiritual reformation is needed in Korea. First, Luther and Calvin’s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Luther’s Lecture and Calvin’s Commentary ― including his Institute ―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are being dealt. Secondly, it is clarified that Luther's quote of James as the “epistle of straw” in his first edition of the German New testament is neither his final position nor John Calvin’s. By doing so, it is examining that Luther and Calvin's doctrine of justification cannot be understood apart from good works. Luther and Calvin’s understanding of James is not to abandon “justifica-tion by faith” and adopt “justification by works” but to assert that Christians claiming “justification by faith” ought to be “men of faith.” In his early years, it is true that Luther had doubts regarding the epistle of James. However, in his latter years, he never doubted on the apostleship or canonicity of James. John Calvin agrees with the latter Luther's position and asserts that Christians ought to have consistency of faith and action.

      • KCI등재후보

        복음주의 성경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이웃됨”의 의미 - 누가복음의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를 중심으로 -

        전대경 ( Dae Kyung Ju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6 No.-

        성경에서 “이웃됨”의 의미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본문은 누가복음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복음주의적 “이웃됨”의 의미를 잘 설명해준다. 복음주의적인 연구가 되기 위해서 본문의 주제와 그 의미 대하여 성경적이고 전통적이며 현대적인 방법으로 탐구한다. 성경 본문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올바로 해석해야하기 때문에, 성경해석학적 방법론이 필요하다. 성경해석학적인 방법론을 위해서 해석학의 3가지 방향성인 이해, 번역, 해설의 단계를 따른다. 본문의 상황 이해를 위해서 복음서에 산재해 있는 랍비와의 대화를 비교, 대조, 분석, 종합하고, 당시의 상황에서 유대인들이 이해했던 “이웃됨”에 대해서 조사한다. 당시 유대인들은 그 어떤 주변국의 민족들보다도 사마리아인들을 더 경멸했다. 본문에 대한 신학적인 의미는 주로 정통성과 비정통성의 논쟁이 될 수 있는데, 본문에서 그리스도는 “이웃됨”에 있어서 정통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 정통성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답한다. 정통 가르침을 잘 이행함이 정통 성의 기준이며 가치라고 그는 답한다. 헬라어 문법적 연구를 통해서도 잘 나타난다. 랍비는 예수께 “누가 `나의` 이웃입니까?”라고 소유격으로 묻지 만, 예수는 “누가 `너에게` 이웃이 되느냐?”라며 여격으로 답한다. 즉, 이웃 은 내가 규정하는 객체가 아니라, 이웃은 주체이다. 이웃의 범위를, 과거 의 유대인들이나 오늘날의 우리들처럼, 우리가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 리가 그들에게 이웃이 되는 것이 “이웃됨”이라는 것이다. 오늘날의 한국의 상황에 적용하고 해설을 하면, 우리에게 사마리아인은 새터민이나 조선족 일 수 있다. 가장 가까운 그들을 일본인, 중국인, 동남아시아인, 미국인, 러 시아인, 아랍인 등보다 우리는 더 멀게 대하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성경은 그들도 우리의 이웃이라고 말한다. 이웃의 범위를 확장하라는 뜻이 아니 라, 이웃의 범위는 없으며, 우리가 그들에게 이웃이 되라는 것이 복음주의 성경해석학적 “이웃됨”이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construing Biblical texts for the meaning of Evangelical “neighboring” is Lucan Good Samaritan story.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cept of “neighboring” in the perspective of Evangelical Biblical Hermeneutics based on this Biblical text. It ought to be Biblical,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o be an evangelical research. The methodology follows the 3 folded orientations of Hermeneutics: understanding, rendering, and demonstrating.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in the text, including how Jewish people understood “neighboring,” it is examining the illustrations of Jesus and Rabi distributed in the books of Gospel with these methods: comparing, contrast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Jewish people looked down on Samaritans more than any people or nations around them. The most profound theological issue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text must be the controversy between orthodoxy and unorthodoxy. In the text, Christ says it is useless to insist orthodoxy which does not follow the teachings of orthodoxy as to “neighboring.” An unorthodox would be more likely orthodox if he/she follows the orthodox lessons. It is also well revealed from a Greek grammatical analysis. The rabbi asks Jesus “who is `my` neighbor?” with a genitive case. Jesus, however, answers “who is the neighbor `to you?`” with a dative case. In that, a neighbor is not the object of an act that `I` define, but the subject. We are not supposed to define or refine the boundaries or levels of neighbors as Jewish people or others did or do, but to become their neighbors is the core lesson of “neighboring.” Applying it to the context and environment of contemporary South Korea, North Korean immigrants or Chinese people of Korean descent can be Samaritans to us. Although they are kinnest both in linguistics and genealogy, we might consider them further or even less than Japanese, Chinese, South East Asian, American, Russian, or Arab. An yet, the Bible tells us that they are our neighbors. It is not for us to enlarge the definition and boundary of neighbor, but to eliminate them so that we would be their neighbors. It is the key of Evangelical “neighboring.”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 목사의 가능성과 그 문제: 마음, 영혼, 혹은 ‘의식적 의지’의 본질을 중심으로

        전대경 ( Dae Kyung Ju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2 No.-

        AI와 종교는 오늘날 뿐 아니라 앞으로는 점점 더 큰 연관을 갖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크게 3가지 때문이다. 첫째, AI가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사회와 교회는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회가 영향을 받으면 교회도 그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둘째, AI의 도래와 더불어 트랜스휴머니즘 같은 새로운 종교(믿음 혹은 신앙)들이 생겨난다. 특이점 주의가 한 좋은 예이다. 셋째, AI에게 전자인격 혹은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인격을 주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해서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는 철학이나 법학을 넘어 신학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일각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사람들은 내면적 공허함으로 인해 더욱더 교회를 찾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 공허함을 채울 수 있는 것은 “영성”이고 이것은 오직 하나님만이 해주실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혹자는 ‘설교자는 하나님과의 영적 교제를 통한 성령의 감동과 더불어 자신의 체험과 “인격”이 포함되어야 하기에, 로봇 설교자의 설교는 비성경적’이라고 한다. 여기에 우리 논의의 핵심이 있다. 로봇 설교자는 인간 설교자를 대체할 수 없다. 인공지능의 기능이 아무리 훌륭해도 마음이 없기에 인격이 없고, 인격이 없기에 영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소고에서는 인공지능은 결코 목사를 대체할 수 없지만 목회를 돕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영성의 부재라는 현대 교회의 내부적 위기와 인공지능이라는 외부적 위기를 다룬다. 다음으로, 신경과학, 심리학, 심리철학의 도전을 다룸으로써 인공지능에게 ‘자율적 지능’(마음)의 가능성이 불가함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이 교육에 활용 되는 사례와 블록체인에 대해서 살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은 목사의 기능적 역할은 제한적으로 할 수 있겠지만, 마음과 인격 그리고 영성이 없기 때문에 목사 자체를 대체할 수 없음을 밝힌다. 즉 인공지능은 부목사(assistant pastor)가 아닌 목회비서(assistant to the pastor)로서의 역할을 위해서만 가능함을 주장한다. AI and religion will become more and more relevant today as well as in the future.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this: First, AI will have a huge impact on society. Society and the Church are very closely connected. When society is affected, the church is affected accordingly. Secondly, with the advent of AI, new religions(or beliefs) arise. Transhumanistic singularitarianism is a good example. Third, there continues to be a claim that AI should be given the character of an electronic person or moral agent. This problem is a theological problem beyond philosophy or law. Some argue tha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ople will find more and more churches due to internal voidness. The inner hollowness can be filled with spirituality, which God only can provide. It is rightly argued by a pastor that AI preacher is nonbiblical because the preacher must include his experience and personality in addition to the spirituality through his/her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This is the key to our discussion. Robot preachers can not replace human preachers. No matter how wonderful the fun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ould be, AI can not be a pastor since it has neither mind, nor personality, it is absurd to expect spirituality from it. In this article, it is argu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never be a substitute for a pastor, but can be a great tool to help for pastoring. First, it deals with the internal crisis of the modern church, which is mostly the absence of spirituality, and the external cri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ly, by dealing with the challenges of neuroscience, psychology, and philosophy of psychology, the in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have “autonomous intelligence”(mind) is examined. Lastly, the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education and the block chain are dealt. Through this, although artificial intelligence may do, in a limited sense, some functional role of pastor, it can not replace pastor itself due to the lack of mind, personality, and spirituality. It is clarifi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only possible for the role of assistant to the pastor, not assistant pastor.

      • KCI등재후보

        다윈의 창조론

        전대경 ( Dae Kyung Ju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0 조직신학연구 Vol.34 No.-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창조론이라는 주제는 우리에게 매우 생소하다. 다윈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바로 진화론이다. 그래서 우리는 다윈의 진화론에 더욱 익숙하다. 아니 오히려 다윈의 진화론에만 익숙하고 다윈의 창조론은 전혀 들어본 적도 없고 상상해본 적도 없다고 해야 더 정확할 것이다. 다윈의 진화론은 무신론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무기이다. 총을 들고 전쟁을 나가는 군인에게 있어서의 총알과도 같은 것이 바로 무신론자들에게 있어서의 진화론이다. 창조론을 주장하는 무신론자는 있을 수 없다. 창조를 인정하는 것은 창조자를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창조론을 주장하게 되면 그(녀) 스스로 더이상 무신론자일 수가 없게 된다. 무신론자들은 다윈의 진화론을 무기로 창조론과 창조자를 공격하고자 한다. 하지만 정작 다윈은 『종의 기원』을 왜 발표했을까? 무신론자들의 가장 큰 무기를 만들어주려고 했을까? 그렇다면 다윈도 무신론자였을까? 아니면 무신론자들의 통념(myth)이나 희망과는 반대로 다윈은 무신론자가 아니었으며 단순한 ‘자연과학자’가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의 창조 과정을 연구한 ‘자연신학자’는 아니었을까? 본 소고는 이러한 질문들에 나름 답을 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찰스 다윈의 작품에 나타난 창조자로서의 하나님 이해(신론, 신관, 신학 혹은 신앙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를 다룬다. 규명하려는 것은 다윈은 결코 무신론자가 아니었으며, 그는 유신론자이자 창조론자였을 뿐 아니라 자연신학자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의 이론을 무신론자들이 사용하는 것은 다윈의 본래 의도와는 상충되기 때문에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먼저, 다윈의 교육사적 생애를 통해 그가 무신론자가 아닌 유신론자였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다윈의 『종의 기원』에 나타난 창조관에 대해서 다룬다. 마지막으로, 다윈의 작품으로부터 자연계시를 통한 신인식 가능성으로서의 자연신학을 살펴본다. Charles Darwin(1809-1882)’s creationism must be somewhat odd to us. The word that clings to Darwin is evolutionism. Thus, we are more familiar with Darwin’s theory of evolution. It would rather be more correct to say that we are only familiar with Darwin’s evolutionism and have never heard of or imagined Darwin’s creationism. Darwin’s creationism is the main weapon for atheists. For atheists, it is like bullets and guns for soldiers going to the battle field. There can be no atheist who asserts creationism. Since conceding creation is admitting the creator, insisting on creationism can no longer be an atheist him/herself. Atheists eager to attack creationism and creators with Darwin’s theory of evolution. However, why did Darwin publish The Origin of Species ? Was it for him to try to build the greatest weapon for atheists? Was Darwin atheist, then? Or, contrary to the myth or hope of atheists, was not Darwin the atheist, and not just a “natural scientist” but a “natural theologian,” who studied the process of God’s creation?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underlying this paper. In this article, Darwin’s understanding of God as the creator is dealt. It is argued that Charles Darwin has never been an atheist.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at it is absurd that atheistic use of Darwin’s evolutionism as their main weapon since it is against Darwin’s original intention. Darwin was a theist who was trying to prove the procedure of the mystery of God’s Creation. So, through his work, Origin of Species , he has striven to interpret and describe God’s design for His creations.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의 영성

        전대경 ( Dae Kyung Ju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0 조직신학연구 Vol.35 No.-

        21세기에 접어들어 한국교회 뿐 아니라 세계의 모든 교회가 영성이라는 주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오히려 교회뿐 아니라 타 종교, 그리고 신학뿐 아니라 타 학문이 이 영성이라는 주제에 근자에 오히려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성’이라는 말은 좋게 표현하면 매우 포괄적인 의미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말로하면, 이 ‘영성’이라는 것에 대해서 여러 학문과 종교 그리고 심지어 기독교 내에서 조차도 정의가 서로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것은 그 어디에도 적용가능 하지만, 막상 그 본질은 알 수 없는 그 어떤 것이 되고 말았다. 매우 혼잡한 개념의 ‘영성’ 이해 때문에, 기독교 내에서도 ‘영성’을 정적주의에 국한 시키거나 혹은 신비주의로 빠지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어선의 신학과 영성은 우리에게 신비주의나 정적주의 그 어디에도 빠지지 않는 중도의 영성을 가르쳐준다. 피어선의 신학은 ‘이것 혹은 저것’이 아닌 ‘이것과 저것 사이’의 진리를 붙잡으면서 양쪽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음과 동시에 둘 모두를 말한다. 그러므로 피어선의 영성은 오늘날의 영성의 올바른 방향을 잡아줄 뿐 아니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올바른 영성으로 인한 축복을 가르쳐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영성을 나름대로 정의해볼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진정한 영성은 바로 기독교 영성임을 규명할 것이다. 그런 다음 영성에 대한 다소 극단적인 이해 형태인 교의학적 정적주의와 은사주의적 신비주의 이해를 비판적으로 다룰 것이다. 그런 다음 피어선의 영성을 통해 올바른 기독교 영성을 제시할 것이다. 규명하려는 것은 영성은 교의학이나 은사주의 혹은 삶 그 어느 하나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닌, 그렇다고 지나치게 넓은 범위도 아닌 하나님의 자녀로서 그분의 유업에 참예하는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그리스도인의 거룩한 삶임을 피어선의 영성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not only Korean Church but the whole Church over the world are interested in the theme of, namely, “spirituality.” To be more specific, it might be right to say that other religions and secular academics seem to have more interests in spirituality than Christian Church and theology. Therefore the word “spirituality” has wide range in meanings on the bright side; but on the dark side, it became something that we can not clarify exactly even in the church and theology. Since the definitions of “spirituality” differ among denominations and organizations, it can be applied to any area, but can not be defined clearly what itself means. For this confused definition of “spirituality”, there are two extreme reflections, firstly who sees it through “dogmatic quietism,” and secondly who sees it through “charismatic mysticism.” In such a circumstance, A. T. Pierson’s theology and spirituality teach us mediatorial spirituality which does not lean neither to “dogmatic quietism” nor to “charismatic mysticism.” Pierson’s theology tells not a theology of “either A or B” but of “between A and B” which does not lean on any one side but embraces both sides. Therefore, the spirituality of A. T. Pierson not only shows us the right direction to today’s confused rampant concept of spirituality, but also teaches what the goal of Christian life ought to be through genuin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irst, the concept of “spirituality” in the Christian History is dealt. And then, it is examined that the true spirituality is Christian spirituality and “charismatic mysticism” is also in a category of spirituality with “dogmatic quietism.” Last but not least, it is explored that how A. T. Pierson understands the spirituality. It is to clarify that spirituality is neither limited just in dogma or charismaticism or Christian life, nor a too broad meaning, but a holistic meaning of Christian holy life resembling Christ in the Holy Spirit, through the spirituality of A. T. Pi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