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능성 쌀 및 쌀 가공산업의 신성장 산업화 방안 연구

        전남수 경남발전연구원 2013 정책포커스 Vol.- No.-

        ○쌀은 우리의 주곡작물로서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나, 식생활변화에 따라 간편식을 비롯한 각종 편이식과 다양한 쌀 가공제품에 대한 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주식용 쌀 소비는 감소하고 있음. 최근 쌀 가공산업을 통한 소비 확대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쌀 가공식품 원료의 나라미와 수입쌀 대량 이용은 농업과 농식품산업의 연계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 따라서, 지역의 기능성 쌀과 가공용 쌀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이 요구됨 ○기능성 쌀과 가공용 쌀 산업은 경남 쌀 산업의 다양성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분야로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가공용 초다수계 품종을 제외한 가공특수미 품종의 재배면적은 전국적으로 5만 ha (전체 벼 재배면적의 6.1%)로 확대되고 있으나, 지역적응성 품종개발과 이용, 영세성과 원료공급의 안정성 등 문제 해결의 필요성 ○경남 쌀 가공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경영규모의 영세성 극복과 시장과 상품에 대한 고정관념 타파,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성 강화, 영세성 극복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쌀을 재배하는 생산자와 쌀 가공산업체의 조직화가 필요 ○생산자를 대상으로 기능성 및 가공용 쌀 전용 생산단지 조성과 지역적응성이 높은 품종을 활용한 가공용 쌀 계약체결 및 생산자의 조직화로 구조적 영세성을 극복하고, 가공용 쌀 수확 후 처리를 위한 고품질 저장시설에 대한 지원이 요구됨 ○쌀 가공식품 업체에게는 쌀 가공식품 생산단지 조성 및 조직화로 지역 브랜드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원료조달비용 절감과 공장가동률 제고 및 유통비용 감소와 브랜드 역량강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또한 지역내 공공급식업체 공급과 쌀 가공식품 식자재 대량 수요처와 협력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쌀 가공제품의 안전성 강화와 전문인력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쌀가공산업의 발전과 육성을 위한 인력을 공급하고, 산학관연 쌀 가공식품 R&D 지원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기술수요에 대응하는 인프라 조성이 요구됨

      • 경남의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전남수,길수민,김도한,허무룡,강호철,문태헌,손창환,이은진 경남발전연구원 2011 중점정책연구 Vol.2011 No.-

        Urban farming varies considerably, but researchers are the main driving body beside the community and available budget. Urban farming also varies from city to another and between provinces, however, mostly it focuses on food production and Gyeongnam possess the potential of urban farming. In general, there is a negative opinion on urban farming that focus on food production, as there are concerns about heavy metal contamination from the polluted urban environment. Beside heavy metal accumulation in crops due to pollution from heavy traffic areas and factories, heavy fertilization from organic compost will also bring in nitric acid pollution. Therefore, urban farms in highly polluted urban areas should be protected with plastic films or other material that are capable to reduce contamination. Phytoremediation is one potential of urban farming to reduce pollution and associated problems in city areas as well as to beautify the scenery and improve urban environment, which will be more effective and adaptable if driven by purpose and adopted by policy planners. Recycle of resources is not fully utilized at present and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about it. Yet, recycle of resources have many beneficial effects for resources circulation in rural and urban areas, which might be adaptable in this green-growth era. Introduction of garbage recycle system will create variable beneficial chances, such as insect industry, new profit sources, creation of jobs, and other independent social strata. New business models could connect to garbage recycle that might connect to available urban farming and ultimately construct a circular structure through urban farming. Urban agriculture should not be considered only as a farming for food production, but it should be considered in a wider spectrum, such as expansion of green areas, reduction of urban heat-island phenomenon, reduction of energy required for heating during winter and coolingin summer, and many other environment related problems. Urban agriculture may also enhance the social welfare of the community. Therefore, if there is a focus on reduction of social expenses that would improve the local profit, a creative policy is needed. Eventually, urban agriculture in Gyeongnam as a concept should be expanded not only for food production, but for beautiful scenery, respiration, enjoyable and relaxation farming that would satisfy the demands and drive creative businesses.

      • 경남 친환경축산 활성화 방안

        전남수,조이곤 경남발전연구원 2012 정책포커스 Vol.- No.-

        ○한미 FTA 체결로 인한 농업부문 생산액 감소는 15년간 총 12조 2,252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15년차 기준 시 가장 큰 피해 분야는 축산업으로 전체 피해의 67%(8,193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시장개방으로 인한 수입축산물의 국내유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수입 쇠고기의 국산 쇠고기 둔갑은 소비자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고, 최근 지속되고 있는 국제곡물가 상승으로 축산물 생산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료가격이 상승한 실정임. 친환경축산 사료의 경우 일반사료에 비해 2~4배 정도 가격이 높은 상황에서 친환경축산물 생산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임 ○한미FTA 등 대외 축산환경과 축산물 소비시장의 변화는 경남 축산업의 도전을 요구하고 있음. 친환경축산업은 축산 시장개방에 대응하고, 기존의 가축사육규모 대형화에 따른 각종문제 해결을 위한 축산업의 생존 전략이라 할 수 있음 ○국산 한우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는 매우 높았으나, 대부분의 소비자가 수입 쇠고기의 한우고기 둔갑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더불어,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과 신뢰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농식품시스템 구축과 축산농가의 적극적 공감대 형성을 통한 참여, 친환경축산물 유통시스템 구축, 철저한 사후관리가 경남 친환경축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필요한 시점임 ○따라서, 경남 친환경축산업 발전을 위해 아래의 정책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함 ○첫째, 사료생산 자급률 향상 ?사료 자급률 향상을 위한 도내 농지이용율 향상과 지역별 생산조직 구축 및 지원이 요구 ?4대강 사업으로 경작행위가 금지된 강변 고수부지의 사료용 맥류생산 사업 적극 재시도 ?해외농업개발을 통한 사료자급률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음 ○둘째, 친환경축산을 위한 공동사육사 유도 및 지원으로 도내 영세 축산농의 규모화를 지원 ○셋째, 학교급식 로컬푸드 활성화 ?2013년 7월부터 로컬푸드의 우선구매가 시행될 수 있도록 준비 ○넷째, 소비자 신뢰도 제고 ?친환경축산물 및 GAP 인증 축산물의 철저한 사후관리를 위해 지역 내 우수 인증기관의 이용 시 인증비용 지원 방안 검토

      • 경남 약용작물산업 육성 방안

        전남수,조이곤 경남발전연구원 2012 정책포커스 Vol.- No.-

        ○약용작물산업은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한약재 수요가 증가하고, 개방화에 따른 대체작 물로서 약용작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약용 작물의 생산ㆍ가공ㆍ유통ㆍ체험관광을 포함한 서비스산업과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전후 방연관산업의 확대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경남에서도 「약 용작물산 업 육 성 및 지 원조례(2011년)」의 제정과「약용 작물 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약용 작물을 경남 농업의 신 소득원으로 육성 하기 위해 5년간 총 150억 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음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선도사업과 대부분의 영세한 경남 약용작물산업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략 모색이 요구됨에 따라 경남 약용작물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경남 약용작물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음 ○경남의 경우 「약용작물 육성 5개 년 계획」수립 등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영세한 재배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시도를 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임 ○따라서 기존의 개발된 상품의 발전을 지원하는 Push 전략과 새로운 상품 개발을 지원하는 Pull 전략을 기반으로 경남 약용작물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함 ?지역 밀착형 품목의 상품화와 축제를 활용한 연계 발전 방안 (식용 및 신선채소용 약용 작물산업 육성 , 개발된 상품의 효능을 연구하고 지원하는 지원 시스템 구축, 유통 체계 개선 ) ?선택 과 집중, 그리고 미이용 자원의 창의적 활용 (재배분야 개선, 재배 기술 개선, 천수답과 산지 이용 활성화를 통한 재배단지 조성 및 규모화 추진) ?Push 전략과 Pull 전략(산청한방약소연구소의 적극 활용, 약용작물 종자보급센터 유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