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소결합제약을 통한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ㄴ/, /ㅇ/ 종성 오류 예측

        장향실(Chang, Hyangsil)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yllable error types of Chinese Learners through the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I put a limit on the syllables that have syllable-final consonants /n/, /ŋ/.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CAH). According to CAH, If Korean syllable structure is not same to Chinese syllable structure, Chinese learners product errors in syllable pronunciation. Based on this hypothesis, I pick out syllable error types that are likely to be occurred by Chinese learners. First, I surveyed blank types of syllable by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in Chinese. And then I studied syllable error types of Chinese learners that occurred due to blank types of syllable. But These are not all syllable error types. Pronunciation errors occur in syllable that have vowels which is not in chinese like /ㅗ/, /ㅓ/. This case doesn"t have anything to do with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But this syllable type is also taught in same category; syllable-final consonant /n/, /ŋ/ errors of Chinese learners.

      • KCI등재

        한국어 교육 활용을 위한 『한국어 표준 문법』 음운론 분야 개선 방안

        장향실(Chang, Hyangsil)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참조 문법으로서 『한국어 표준 문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음운론’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의 구체화가 필요한 부분, 누락되어 설명을 추가해야 할 부분, 기술이 불필요하여 삭제해도 무방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한국어 교육에의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기에, 한국어 교육적 목적과 관점을 고려한 내용을 ‘적용 문법’ 기술부에 제시하였다. 그런데 한국어 표준 문법 적용 문법 기술부의 내용이 원론적 수준의 필요성만을 언급하거나 혹은 중요한 내용을 누락한 경우, 불필요함에도 기술된 경우가 있어 이를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변이음 교육, 삼지적 상관속을 이루는 자음의 교육, 변별적 자질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것인데, 이 내용들은 설명이 좀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가 되어야 할 내용도 있는데, 운소 부분에서 음운구 억양의 특징이나 억양구 마지막 음절의 특징, 음절 부분에서 음절구조제약, 음소결합제약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음운 현상 부분에서는 교수-학습이 불필요한 음운 규칙에 대한 기술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표준 문법』에서는 ‘ㅂ’ 불규칙과 같은 현상에 대해 다중 기저형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굳이 제시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향후 개선을 전제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표준 문법』에 개선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용 음운론 교재 집필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thesis aims to propose various points to improv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include making detailed explanations, adding missed explanations, an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s in phonology. Standard Korean Grammar was schemed for many possible diverse ap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Korean Grammar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and view, which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grammar part.” However, its content is still at the level of “principal,” and even more missed some essential explanations. The following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First, there is a need for detailed explanations. The teaching of allophones, the teaching of distinguishing among the three-way plosives in Korean, and the use of distinctive features are necessary for detailed explanation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dding missed expla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phrase tonal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t syllable in the intonation phrase are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and unnecessary item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honological rules are also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Thir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is needed. A teaching method using multiple underlying forms of irregular conjugation such as “ㅂ” was proposed in Standard Korean Grammar. However, there is no need for explanations because the teaching method is not effective. This thesis is meaningful as it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about Standard Korean Grammar.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of the phonological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 KCI등재

        한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

        장향실(Hyangsil Cha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2 No.4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inter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ed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The papers analyzed for research trends were these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nomination lists by October 2023. Since the aspects and methods of interaction a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teaching-learning space is offline or online, I first categorized papers according to these two criteria, and then subdivided them into sub-area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s. Research on interac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to appear in the 2000s. The major turning points in the transformation of offline and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were around 2010. Until the early 2010s, almost all classes were held face-to-face, so research on interaction was centered on classroom instruc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high-speed internet in the 2010s greatly improved the environment for online education and diversified educational media.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tempts have also been made to utilize online educational media and contents. Serious research on interaction in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s has also been conducted since the mid-2010s. However, at this time, online classes were mostly based on stored contents. Then, in 2020,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lmost all classes were shifted to a non-face-to-face online format. As a result, online education mediums have diversified to includ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YouTube, mobile apps, online video lecture platforms, metaverses, and social media. As a result, interaction in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spurring research. Interaction research in off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has been focused on observing and analyzing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analyzing the interaction patter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specific ways to apply them to future classes and teacher training. Next, in the case of interaction research in online-bas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online learning is becoming more popular. However, the lack of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learner and learner, and learner and learning contents is still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And a new aspect of interaction in language education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is is the interaction with ChatGPT.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is revolutionizing the paradigm of mass education system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Therefore, research on interaction based on this is also an important future research task. 본고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상호작용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해 제안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2023년 10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및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과 대학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호작용의 양상이나 방법은 교수-학습 공간이 오프라인이냐 온라인이냐에 따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먼저 분석 대상 논문을 두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이를 다시 연구 주제나 방법 면에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오프라인과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 변화의 주요 전환점은 2010년 무렵이다. 2010년대 초까지는 거의 대부분의 수업이 대면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교실 수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2010년대에 초고속 인터넷이 상용화되면서 온라인 교육의 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교육 매체도 다양화되었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도 온라인 교육 매체와 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일어났다. 온라인교육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2010년대 중반부터 진행되었다. 다만 이 시기의 온라인 수업의 형태는 저장형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아직 원격 수업에 대한 관심은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다 2020년 COVID 19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형태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온라인 교육 매체가 학습관리시스템(LMS), 유튜브, 모바일 앱, 온라인 화상 강의 플랫폼, 메타버스, SNS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중요문제로 대두되면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오프라인 교수-학습 환경의 상호작용 연구는 교수-학습자 간, 학습자-학습자 간상호작용 양상을 관찰·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대부분 상호작용 양상 분석에 머물러 있다. 그러므로 향후 수업 적용이나 교사 훈련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온라인 기반의 교수-학습 환경의 상호작용 연구의 경우,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 내용 간의 상호작용 부족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한편 언어교육에 있어 새로운 측면의 상호작용에 주목할 필요도 있다.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등장은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이라는 지표에 기반한 대량 교육체계의 패러다임에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앞으로의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